목록분류 전체보기 (2278)
독립출판 무간
제76장 人之生也柔弱, 其死也堅强. 草木之生也柔脆, 其死也枯稿. 故堅强者死之徒, 柔弱者生之徒. 是以兵强則不勝, 木强則共. 强大處下, 柔弱處上.사람이 살아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연하지만, 사람이 죽으면 단단하고 굳세다. 풀과 나무가 살아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무르지만, 풀과 나무가 죽으면 단단하고 딱딱하다. 따라서 (유위에 대해) 단단하고 굳센 바는 죽음의 무리이고, (유위에 대해) 부드럽고 연한 바는 삶의 무리이다. 따라서 군대가 굳세게 되면 (우쭐한 채) 이기지 못하게 되고, 나무가 굳세게 되면 (잘린 채) 기둥이 된다. (따라서 유위에 대해) 굳센 바가 큰 바는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대로 오래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의) 아래에 자리하게 되고, (유위에 대해) 부드럽고 연한 ..
제75장 民之饑, 以其上食稅之多. 是以饑. 民之難治, 以其上之有爲. 是以難治. 民之輕死, 以其生生之厚. 是以輕死. 夫惟無以生爲者, 是賢於貴生也.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굶주리게 되는 것은 그 위가 (일부러 일삼아) 거두어들이는 조세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굶주리게 된다.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다스리기 어렵게 되는 것은 그 위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다스리기 어렵게 된다.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죽음을 쉽게 보게 되는 것은 그 삶이 그 (유위가) 두터운 바를 생겨나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죽음을 쉽게 보게 된다. 따라서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음으로써 (백성을) 살아..
제74장 民不畏死, 奈何以死懼之. 若使民常畏死, 而爲奇者, 吾得執而殺之, 孰敢. 常有司殺者殺. 夫代司殺者殺, 是謂代大匠斲. 夫代大匠斲, 希有不傷手矣.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찌 죽임으로써, 백성을 두렵게 하겠는가? 이른바, 백성으로 하여금, 늘 그러하게 죽음을 두려워하게 하는, 옳지 못한 바를 일삼는 사람, 내가 붙잡아, 그를 죽여야 하겠지만, 어찌 (내가) 감히 (그렇게 하겠는가)? (이른바) 늘 그러하게 가지는 바가 있어야 한다. 법령이 죽이는 바를. 이른바, 법령을 대신해 죽이는 일, 이것은 이른바 뛰어난 장인을 대신해 나무를 깎는 일이다. 이른바, 뛰어난 장인을 대신해 나무를 깎는 사람, 손을 다치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드물다. 此, 承上章, 而言, 專欲人, 省刑去殺也.이 장은 ..
제73장 勇於敢則殺, 勇於不敢則活. 此兩者, 或利或害. 天之所惡, 孰知其故. 是以聖人猶難之. 天之道, 不爭而善勝, 不言而善應, 不召而自來, 坦然而善謀. 天網恢恢, 踈而不失.감히 (유위를) 일삼는 데 날쌘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사람을 죽이게 되고, 감히 (유위를) 일삼는 데 날쌔지 않은 사람은 (저절로 그러하게) 사람을 살리게 된다. 이 두 사람 (중), 누가 이로운 사람이고, 누가 해로운 사람인가? (이른바) 하늘이 미워하는 바, (감히 유위를 일삼는 사람이며) 누구도 그 (하늘이 그를 미워하는) 정도와 수준을 알아차릴 수 없다. 따라서 성인은 이른바 (감히 유위) 그것을 (일삼기) 어려워한다. (이른바) 하늘의 도道는 (일부러 일삼아) 다투지 않는데,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이기기를 잘하고, ..
제72장 民不畏威, 大威至矣. 無狎其所居, 無厭其所生. 夫惟不厭, 是以不厭. 是以聖人自知不自見, 自愛不自貴, 故去彼取此.백성이 (저절로 그러한 재앙, 환란, 형벌, 법령과 같은) 위威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면, (몸이 일부러 일삼아 사라지게 되거나 망가지게 되는) 큰 위威가 이르게 된다. (따라서 임금은) 그 (저절로 그러하게 가지는 바가 있는 백성의) 거처를 깔보거나 얕보는 바를 가지는 바를 없애야 하고, 그 (저절로 그러하게 가지는 바가 있는 백성의) 재화에 대해 만족스럽게 여겨야 한다. 이른바, 오로지, (임금은 그것에 대해) 만족스럽게 여겨야 하는데, 따라서 (백성이 그것을) 싫어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위威를 두려워하게 되며, 따라서 큰 위威가 이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성인은 (자신이 가지..
제71장 知, 不知, 上, 不知, 知, 病. 夫唯病病, 是以不病. 聖人不病, 以其病病, 是以不病.(안으로 유위를 맑게 하고, 조용하게 함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줄이는 것, 밖으로 무위를 자신의 위로 높이고, 자신을 무위의 아래로 낮추며, 무위에 대해 부드러워지게 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아래에 자리하는 것, 이 두 개의 씨앗을) 알아차린 사람이 알아차리지 못한 사람인 듯한 것은 (그것을 알아차림으로써, 덕스러움德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사람은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알아차려야 하는데,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되면, 눈이 장차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대로 보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귀가 장차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대로 듣는 바를 가지..
제69장 用兵有言, 吾不敢爲主而爲客, 不敢進寸而退尺. 是謂執無兵, 攘無臂, 行無行, 仍無敵. 禍莫大於輕敵. 輕敵幾喪吾寶. 故抗兵相加, 哀者勝矣.(아주 먼 옛날) 군대를 일삼았던 사람은 이러한 이치를 가지는 바가 있었다. “나는 감히 (먼저 군대를 일삼아 적敵에게 나아가는, 그러한) 주인이 되는 바를 일삼지 않고, (적敵이 먼저 나와 맞서게 된 다음에 적敵에게 나아가며, 그때조차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백성의 성性·명命이 다치게 되는 바를 슬프게 여기는, 그러한) 손님이 되는 바를 일삼는다. (나는) 감히 (나의 군대가) 한 치를 나아가게 하지 않고, 한 척을 물러나게 한다.” 이것은 이른바 (나의 군대에게 무기를) 붙잡게 하지만, (일부러 일삼아 붙잡은) 무기를 가지는 바가 없게 하고, 팔의 소매를 걷어 ..
제70장 吾言甚易知, 甚易行, 天下莫能知, 莫能行. 言有宗, 事有君. 夫唯無知, 是以不我知. 知我者希, 則我貴矣. 是以聖人被褐懷玉.내가 하는 말은 아주 알아차리기 쉽고, 아주 일삼기 쉽지만, 천하는 알아차리지 못하고, 일삼지 못한다. (내가 하는) 말도 (천하로 하여금, 열매 맺게 하고자 하는) 씨앗을 가지는 바가 있고, (내가) 일삼는 바도 (천하로 하여금, 열매 맺게 하고자 하는) 씨앗을 가지는 바가 있다. 그러나 이른바 (천하는 그것을) 알아차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데, 따라서 나를 알아차리는 (바를 가지는) 사람이 없다. (천하에) 나를 알아차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이 드문데, 따라서 나는 귀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보푸라기가 이는) 거친 삼베 옷을 입은 채..

易性第八 제8장, (일삼음에 있어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모습을 바꿈에 대해 논한다. 上善若水. (일삼음에 있어서) 최상의 잘함은 물(의 모습)과 같다. 上善之人, 如水之性. (일삼음에 있어서) “최상의 잘함”을 가진 사람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나 일부러 일삼는 바爲가 없는) “물水”의 모습과 같이한다. 水善利萬物而不爭,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기를 잘하지만,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을) 다투지 않고, 水在天爲霧露, 在地爲源泉也. “물水”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가 없는) 하늘(의 모습)에 자리함으로써, (“만물”이 목을 축이는) 이슬(霧露; 生命)을 일삼고, (일부러 일삼는 바爲가 없는) 땅(의 모습)에 자리함으로써, (“만물”이 ..

37. 도상무위道常無爲 道常無爲章, 卽是第三段. 文, 正明結會. 就此章內, 文開兩別. 第一, 結道宗. 明寂. 而常動. 第二, 結學人宗. 顯玄妙. 極重玄. 도상무위道常無爲 장은 이른바 (『상경上經』을 크게 나눈 세 단락 중) 세 번째 단락이다. (따라서 이 장의) 문장은 (이 단락의) 결론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 장의 안을 살피건대, 문단이 펼쳐져 2개로 나뉜다. 첫 번째 문단은 도道의 본체宗에 대해 결론짓는다. (따라서) 설명한다. “(도道의 본체宗는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이) 잠잠함이다. 따라서 (도道는) ‘늘 그러하게’ 일삼는다.” 두 번째 문단은 (도道를 닦고) 배우는 사람이 본체宗로 삼아야 할 바에 대해 결론짓는다. (따라서) 설명한다. “(도道를 닦고 배우는 사람이 본체宗로 삼아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