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홍석주 정노 75.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굶주리게 되는 것은 본문
제75장
民之饑, 以其上食稅之多. 是以饑. 民之難治, 以其上之有爲. 是以難治. 民之輕死, 以其生生之厚. 是以輕死. 夫惟無以生爲者, 是賢於貴生也.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굶주리게 되는 것은 그 위가 (일부러 일삼아) 거두어들이는 조세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굶주리게 된다.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다스리기 어렵게 되는 것은 그 위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다스리기 어렵게 된다.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죽음을 쉽게 보게 되는 것은 그 삶이 그 (유위가) 두터운 바를 생겨나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죽음을 쉽게 보게 된다. 따라서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음으로써 (백성을) 살아가게 하고 일삼는 임금, 그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백성을 일삼고) 살아가게 하는 바를 귀하게 여기는 임금보다 (그 다스림이 오래 보여지게 되는 바가) 뛰어나게 된다.
上多稅, 而民饑, 人, 所易知也. 上有爲, 而民難治, 則知之者, 益尠矣. 生生之厚, 而反輕於死, 尤人, 所不能知也. 故先言其易知者, 以形其不能知者.
(그) 위가 (일부러 일삼아 거두어들이는) 조세를 많아지게 하게 되면,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굶주리게 된다는 말은 사람들이 이른바 (그 뜻을) 알아차리기 쉬운 말이다. (그러나 그) 위가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면, 백성이 다스리기 어렵게 된다는 말은 이른바 그것을 알아차리는 사람이 드문 바를 더하는 말이다. (그) 삶이 그 (유위有爲가) 두터운 바를 (일부러 일삼아) 생겨나게 하게 되면, (백성이) 죽음을 (일부러 일삼아) 쉽게 보는 바로 되돌아가게 된다는 말은 이른바 (사람들이) 알아차릴 수 없는 말이다. 따라서 (노자는) 먼저 그 알아차리기 쉬운 바를 일컬음으로써, 그 알아차릴 없는 바를 드러냈다. 〔홍석주가 “알아차리기 쉽다, 알아차리는 사람이 드문 바를 더한다, 알아차릴 수 없다”라고 한 까닭은 이기상지유위以其上之有爲의 위爲를 ‘일부러 일삼는다’가 아니라 ‘일삼는다’로 해석하고, 이기생생지후以其生生之厚의 두 번째 생生을 ‘생겨나게 한다’가 아니라, ‘삶’으로 해석했기 때문인 듯하다〕
輕, 易也. 賢, 勝也.
경輕은 쉽게 본다는 말이다. 현賢은 ~보다 뛰어나게 된다는 말이다.
上, 有爲, 而民, 難治, 其義, 已見五十七章六十五章. 生生之厚, 而輕死, 其義, 見五十章.
“민지난치民之難治, 이기상지유위以其上之有爲.” 이 (문장의) 뜻은 이미 제57장, 제65장에서 살펴졌다. “민지경사民之輕死, 이기생생지후以其生生之厚.” 이 (문장의) 뜻은 제50장에서 살펴졌다.
天, 汲汲. 於厚其生者, 必不能不勞, 其神, 以養其形, 是神, 爲形役也. 如是. 而神不弊者, 未之有也. 神弊, 而形能獨久者, 亦未之有也.
하늘은 (물을 길어내듯) 그 삶을 (일부러 일삼아) 두텁게 하는 사람을 덜어내고 덜어낸다. (따라서 그러한 사람은) 반드시 잘하지 못하게 되고, 일삼지 못하게 된다. 그 (무위無爲가) 신령스러운 바(神; 心·性)가 이른바 그 형상(形; 身·命)을 (먹여) 기르는 바를. 그 (무위無爲가) 신령스러운 바가 그 형상이 부려지는 바를 일삼는 바를. (그러한 사람은) 그것과 더불어 같이 하게 되는데, 따라서 (그) 신령스러운 바가 어그러지지 않는 사람, (그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신령스러운 바가 어그러지게 되는데, 따라서 (그) 형상이 홀로 오래 보이게 되는 사람, 또한 (그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 않게 된다.
無以生爲者, 不以形累其神. 不以形累其神, 則神完. 神完而形不全者, 亦未之有也.
(그러나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음(無; 無爲)으로써 살아가고 일삼는 사람은 (그) 형상이 그 신령스러운 바를 얽히고설키게 하지 않게 된다. (그) 형상이 그 신령스러운 바를 얽히고설키지 않게 하게 되는데, 따라서 (그) 신령스러운 바가 온전해지게 된다. (그) 신령스러운 바가 온전해지게 되는데, 따라서 (그) 형상이 온전해지지 않은 사람, 또한 (그 자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 않게 된다.
夫能知無以生爲者之, 賢於貴生. 則知無爲以治者之, 賢於有爲矣.
따라서 (백성을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 無爲)로써, 살아가게 하고, 일삼을 줄 아는 임금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爲로써, 백성을 일삼고) 살아가게 하는 바를 귀하게 여기는 임금보다 (그 백성의 삶이 오래 보여지게 하는 바가) 뛰어나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음無爲으로써, (백성을) 다스릴 줄 아는 임금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음有爲으로써, 백성을 다스리)는 임금보다 (그 다스림이 오래 보여지게 되는 바가) 뛰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