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불교 (66)
독립출판 무간

35. 대상大象 大象章, 所以次前者, 前章, 無方之用, 利物, 忘功. 故次, 此章, 顯忘功之人, 爲物所歸往. 就此章內, 文有三重. 第一, 明物之歸依, 皆獲利益. 第二, 擧樂餌爲譬, 表理敎虛玄. 第三, 示非色非聲, 而妙用無盡. 대상大象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설명했기 때문이다. “(일부러 일삼은) 방향(을 가짐)이 없음, 그것이 (도道의) 일삼음(의 모습)이다. (따라서 도道는) 천하를 이롭게 하지만, (그러한 자신의) 공功을 잊어버린다.” 따라서 (이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이게 되었는데, (따라서) 이 장은 설명한다. “(천하를 이롭게 하지만, 그러한 자신의) 공功을 잊어버리는 사람은 천하가 되돌아오고 찾아드는 바를 일삼게 된다.” 이 장의 안을 살피건대, 문단이 세 번 거듭됨을 가진..

30. 이도以道 以道章, 所以次前者, 前章, 正明爲君蒞物, 不可執滯有爲. 故次, 此章, 卽明爲臣輔君, 亦須去兵用道. 就此一章, 義開三別. 第一, 明佐時, 用道, 決定息兵. 第二, 明用道之人, 果, 無矜伐. 第三, 明有爲, 乖道, 必致危亡. 이도以道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분명하게 설명했기 때문이다. “군왕이 되기를 일삼거나 (군왕으로서) 백성을 (자신의 다스림에) 다다르게 하고자 한다면,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을 붙잡거나 집착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이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이게 되었는데, (따라서) 이 장은 이어서 설명한다. “신하가 되기를 일삼거나 (신하로서) 군왕을 보좌하고자 한다면, 따라서 이른바 (군왕이 일부러 일삼은) 군대를 내버리게 하고,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이..

01. 도가도道可道 道可道章, 卽是第一大段, 標道宗致. 就此章中, 又開四別. 第一, 略標理敎. 第二, 汎明本迹. 第三, 顯二觀不同. 第四, 會重玄之致. 도가도道可道 장은 (상권을 크게 나눈 세 단락 중) 첫 번째 큰 단락으로 도道에 대해 개요하고 있다. 이 장은 다시 네 개의 문단으로 나뉜다. 첫 번째 문단은 (자연 곧 도道 곧 본성으로서의) 리理와 교敎에 대해 설명한다. 두 번째 문단은 (도道의 자연한) 본체本와 작용迹에 대해 설명한다. 세 번째 문단은 (자연 곧 도道 곧 본성 곧 리理 곧 교敎를 실현하는) 2가지 방법의 차이를 설명한다. 네 번째 문단은 다시 한번 거듭 어렴풋할 것을 강조한다. 第一, 略標理敎. 첫 번째 문단, (자연 곧 도道 곧 본성으로서의) 리理와 교敎에 대해 설명한다. 道可道, ..
주문했던 책이 도착했다. 노자권재구의. 중국 송나라 임희일이라는 분이 주석한 도덕경이다. 다른 것보다... 번역을 하면서, 나 스스로 행복하길. 그렇게 되길 빈다!
37장 道常, 無爲, 而無不爲. 侯王若能守, 萬物將自化. 化而欲作, 吾將鎭之以無名之樸. 無名之樸, 亦將不欲. 不欲以靜, 天下將自正. 도道는 언제 어디서나 그러한데,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는데, 그러므로 일삼지 못하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제후와 임금이 만약 (도道를) 지킨다면, ..
36장 將欲翕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바야흐로, 구부리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펴주어라. 바야흐로, 약화시키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강화시켜라. 바야흐로, 폐하고자 ..
34장 大道泛兮! 其可左右. 萬物恃之以生而不辭. 功成不名有. 愛養萬物而不爲主. 常無欲. 可名於小. 萬物歸焉而不爲主, 可名爲大. 是以聖人終不爲大, 故能成其大. (만물과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질 만큼 그 트임이) 큰 도道는 텅 비어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왼쪽으로도 가고, 오른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