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11장. "있음이 쓸모 있게 되는 것은 없음이 그 쓰임새가 되기 때문이다." 본문
三十輻 11
三十輻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서른 개의 바퀴살이 더불어 하나의 바퀴통에 끼여 있는데, 그 (가운데가 깎이고 뚫려서) 텅 비어 있기 때문에, 수레로서 쓰임새를 가진다. 진흙으로 빚어서 그릇이 되는데, 그 (안쪽으로 깎이고 뚫려서) 텅 비어 있기 때문에, 그릇으로서 쓰임새를 가진다. 문과 창이 있고, 그 (안쪽으로 깎이고 뚫려서) 텅 비어 있기 때문에, 방으로 쓰임새를 가진다. (다시 말해) ‘있음有’이 쓸모 있게 되는 것은 ‘없음無’이 (그) 쓰임새가 되기 때문이다.
轂, 車中之, 容軸者也. 軸輪之, 股也. 轂, 惟虛中. 故可以行車.
“바퀴통轂”은 “수레車”(를 구성하는 “기물器”) 가운데 하나로서, 바퀴축軸을 감싸는 바者이다. 바퀴축軸이 돌아가게 하는 (바인)데, (바퀴축과 맞닿는 부분이) 넓적하다股. “바퀴통”은 무릇 (그) 가운데가 (깎여서 넓적하고, 뚫려서) 텅 비어 있다. 따라서 (바퀴축을 돌릴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바퀴를 굴릴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수레”를 끌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레”로써 (물건을 나르는 쓰임새가) 일삼아질行 수 있게 된다.
埏埴, 陶者之, 器也. 虛而員. 故可以成器.
“埏埴”은 진흙으로 빚은陶 바者로서, (그렇게 만들어진) “기물(器; 그릇)”이다. (그 가운데가 뚫려서) 텅 비어 있고, (깎여서) 둥글다. 따라서 “그릇”으로써 (물건을 담아내는 쓰임새가) 일삼아질成 수 있게 된다.
戶牖, 室中之, 通明處也.
“문戶”과 “창牖”은 “방室”(을 구성하는 “기물”) 가운데 하나로서, (“방”으로) 들어가게 하거나通, (“방”을) 밝아지게 하는明 바處이다.
此三者, 皆是譬喩虛者, 之爲用. 故曰: 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車器室, 皆實有之利也. 而其所以爲車爲室爲器, 皆虛中之用. 以此形容, 一無字, 可爲奇筆!
(“바퀴통”, “埏埴”, “문과 창”) 이 세 가지는 무릇 ‘텅 빈 바(虛; “없음 無”)’를 비유한 것이자, (‘텅빈 바’) ‘그것이 쓰임새가 됨’을 비유한 것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있음有’이 쓸모 있게利 되는 것은 ‘없음無’이 (그) 쓰임새用가 되기 때문이다.” “수레”, “그릇”, “방”은 무릇 “‘있음’이 쓸모 있게 됨”의 실상(實; things)이다. 또한, “수레가 (수레로서 그 쓸모 있음이 일삼아지게) 되고”, “방이 (방으로서 쓸모 있음이 일삼아지게) 되고”, “그릇이 (그릇으로서 쓸모 있음이 일삼아지게) 되는” 이유(所以; event), 그것은 무릇 텅 빈 가운데(虛中; “없음無”)의 “쓰임새” 때문이다. 이로써 말하건대, (노자의 이) 한 “無” 자字, 뛰어난 설명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13장.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니다." (0) | 2019.12.01 |
---|---|
노자권재구의 12장. 일부러 일삼은 다섯 가지 색깔은 사람의 저절로 그러하게 참된 눈으로 하여금 분별하여 보게 한다. (0) | 2019.11.10 |
노자권재구의 10장. "혼으로써 백을 담거나 실어라." (0) | 2019.10.31 |
노자권재구의 9장. '이미' 가득 찼는데, '더욱' 채우는 일, 그것은 그만 둠만 같지 못한 일이다. (0) | 2019.10.25 |
노자권재구의 8장 (0) | 2019.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