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10장. "혼으로써 백을 담거나 실어라." 본문

권재산책

노자권재구의 10장. "혼으로써 백을 담거나 실어라."

독립출판 무간 2019. 10. 31. 20:21


載營魄 10

 

 

載營魄. 抱一, 能無離乎? 專氣, 致柔. 嬰兒乎? 滌除, 玄覽. 能無疵乎? 愛民治國. 能無爲乎? 天門開闔. 雌乎? 明白四達. 能無知乎? 生之, 畜之. , 而不有. , 而不恃. , 而不宰. 是謂玄德.

으로써 백을 담거나 실어라. (그렇게) 하나로 어우러지거나 아우러진 채, 나누어짐이나 갈라짐이 없게 할 수 있는가? 의 씀을 오롯하게 하고, (자연自然한 본성에) 따름의 극점에 다다르라. (그렇게) 어린아이 같이 할 수 있는가? (마음의) 먼지를 닦아내고 티끌을 씻어내어, 어렴풋함이 드러나게 하라. (그렇게) 나눔이나 가름을 없게 할 수 있는가? 백성을 아낌으로써 나라를 다스려라. (그렇게) 무위無爲한 마음을 가질 수 있는가? 하늘의 문이 열리거나 닫히듯이 하라. (그렇게) 자연自然할 수 있는가? (앎이) 미치지 않는 바가 없게 하라. (그렇게) 앎이 없음을 앎으로 삼을 수 있는가? (자연自然으로써) 낳고, (무위無爲로써) 길러라. (자연自然으로써) 생기게 하라, 그러므로 소유하지 마라. (무위無爲로써) 이루게 하라, 그러므로 의지하지 마라. (무위無爲·자연自然으로써) 자라게 하라, 그러므로 주도하지 마라. 이것이 이른 바 어렴풋한 덕스러움.

 

 

, 魂也. 神也. , 精也. 氣也. 此三字, 老子之深意. , 猶車載物也. 安一載字在上? 而置營魄二字於下? 如謎語然! 魄以載營, 則爲衆人. 營以載魄, 則爲聖人. 合而言之, 則營魄爲一. 離而言之, 則魂魄爲二. 抱者, 合也. 其意, 蓋曰: 能合. 而一之. 使無離乎! 將離, 而二之乎! 故曰: 抱一, 能無離乎? 此六字, 意亦甚隱. 正要人, 自參, 自悟也.

(하늘의 정기精氣) 을 뜻한다. (그런데 혼은 주자朱子의 표현을 빌리면, ‘이다. 따라서 혼은 만물의 실상實象·things에 어긋나지 않는데, 따라서 혼) 신령스럽다. “(땅의) 정기(; 精氣)를 뜻한다. (그런데 은 주자의 표현을 빌리면) “이다. (따라서 은 만물의 실정實情·event에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는 신령스럽다. “載營魄”) 이 세 글자는 노자가 () 뜻을 깊이 숨겨놓은 글자이다. (따라서 그 뜻을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는 무릇 사물담거나 싣는다는 말이다. (그런데) 어찌 에 자리하고 있는 것일까? (노자는 어찌) “두 글자를 (“) ‘에 자리하게 했던 것일까? (그 이유를) 잘 모르겠다! (짐작컨대,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 “땅의 정기로써 (‘) “하늘의 정기담거나 실음”, (그것을 일컬어) 무릇 보통 사람衆人. (‘) “하늘의 정기로써 (“) “땅의 정기담거나 실음”, (그것을 일컬어) 무릇 성인聖人이 됨. (다시 말해, ‘하늘의 정기를 중심으로 삼은 채, “땅의 정기를 담거나 실어서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짐, 그것을 일컬어 무릇 (‘) “하늘의 정기(“) “땅의 정기(더불어) “하나가 됨. (‘하늘의 정기땅의 정기와 더불어) “나누어지고 갈라짐”, 그것을 일컬어 무릇 (‘) “하늘의 정기(; )”(“) “땅의 정기(더불어) 둘이 됨.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진다는 뜻이다. (따라서 抱一, 能無離乎?”) 그것은 (이것을) 뜻하는데, 무릇 일컬어,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하라! 다시 말해, (더불어) ‘하나가 되게 하라. (다시 말해, 더불어) 나누어지거나 갈라짐이 없게 하라!” 무릇, “(더불어) 나누어지거나 갈라짐”, 무릇 둘이 됨!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抱一, 能無離乎?” (“抱一, 能無離乎?”) 이 여섯 글자는 (“載營魄”, 이 세 글자와 마찬가지로, ) 뜻이 무릇 깊이 숨겨져 있는 글자이다. (따라서 그것을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따라서 잘못 풀이된 노자의 뜻을) 바로 잡고자 하거나 (올바른 노자의 뜻을) 알아차리고 실천하고자 하는 사람은 스스로 (이 여섯 글자를 꼼꼼히) 살펴야 하고, 스스로 (그 뜻을 찬찬히) 깨쳐야 한다.

 

 

嬰兒, 未有聞見. 則其氣專. 致者, 極也. 柔者, 順也. 能如嬰兒, 專氣致柔, 則能抱一矣. 故曰: 能如嬰兒乎?

어린아이嬰兒(일부러 일삼아) 들음없고未有, (일부러 일삼아) 이 없다. 다시 말해, (“어린아이는 들음과 봄) 그것에 있어서, “의 씀이 오롯하다.” () 극점에 다다른다는 말이다.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을) 따른다는 말이다. “어린아이와 같이”, “‘의 씀을 오롯하게 하고,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에) 따름의 극점에 다다름”, 무릇 (그것과 더불어) “하나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짐”.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能如嬰兒乎?”

 

 

, 老子設問之語也, 蓋曰: 人能如此乎? 此下, 數句, 皆然.

이와 같이, 노자는 반문反問하는 형식問之語사용했는데, 무릇 일컬어, “그대는 그와 같이 할 수 있는가?” 이 아래, 몇 문장, 무릇 (이와 같이) 그러하다.



蕩滌瑕垢. 而觀覽玄冥. 則必有分別之心. 無疵者, 無分別也. 雖蕩滌瑕垢. 而有不垢不淨之心, 能抱一矣.

(비유컨대, 마음의) 먼지(; 일부러 일삼고자 함)’닦아내고, 티끌(; 일부러 일삼음)’씻어내라.다시 말해, (마음의) 어렴풋함(; “무위無爲”)’나타내고, 어슴푸레함(; 자연自然)’드러내라.” 왜냐하면, (‘먼지티끌) 반드시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 가르는 마음을 일으키기때문이다. “無疵(일부러 일삼아) 나눔이나 가름이 없게 한다는 말이다. 무릇, ‘먼지를 닦아내고, ‘티끌을 씻어내라. 다시 말해, (불교의 경전이 일컫는)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은(不垢不淨: 반야심경般若心經)” 마음을 가져라. (무릇, 그것과 더불어) “하나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질 수 있는가?”

 

 

有愛民治國之功, 而有無爲而爲之心. 則能抱一矣.

백성을 아낌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는을 가져라. 다시 말해, “무위無爲로써 그것을 일삼는 마음을 가져라. 무릇, (그것과 더불어) “하나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질 수 있는가?”

 

 

陰陽闔闢. 有雌雄交感之理. 而無雌雄交感之心. 則能抱一矣. 天門, 卽天地間自然之理也. , 亦借造物以爲喩. 緣此等語, 遂流入修養家, 或有因是, 而爲邪說者, 誤世多矣.

(비유컨대) ‘으로써 (저절로 그러하게) “닫고”, ‘으로써 (저절로 그러하게) 열어라. (다시 말해) ‘암컷수컷(저절로 그러하게)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치(; things·event)를 가져라. 다시 말해, ‘암컷수컷(일부러 일삼아)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마음이 없게 하라. 무릇, (그것과 더불어) “하나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질 수 있는가?” “天門은 하늘과 땅 사이의 저절로 그러한自然 이치(; things·event)이다. 이것은 무릇 (하늘과 땅이) 만물일삼는 모습에 빗대어 (“무위無爲와 자연自然) 비유한 것이다. 그런데 그와 같던 말도교(道敎; 修養家)에 이르고흘러들었는데, 무릇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말미암거나 옳게 여기는 사람이 생겨났으며, 따라서 그릇된 이야기를 펼치는 사람이 생겨났는데, (따라서) 세상을 어지럽힘이 많았다.

 

 

明白四達, 無所不通也. 而以無知爲知. 則抱一矣.

明白四達”, (그 앎) 미치지 않는 바가 없게 하라는 말이다.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은) “이 없음을 앎으로 삼으라. 무릇, (그것과 더불어) “하나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질 수 있는가?”

 

 

生之, 畜之. 言造化之間, 生養萬物也. 造物. 何嘗視之以爲有? 何嘗持之以爲能? 雖爲萬物之長. 而何嘗有宰制萬物之心? 如此而後, 謂之玄妙之德.

生之, 畜之.” (하늘과 땅은 무위無爲하게) 움직이고 일삼으며, (자연自然하게) 어우러지고 아우러지는 사이, 만물을 생겨나게 하고살아가게 한다는 말이다. (하늘과 땅은 무위無爲하게) 만물(생겨남”)일삼는다. (그런데) 어찌 무릇 (그 공)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 보임으로써 (만물, 그것을) “소유하겠는가?” (하늘과 땅은 자연自然하게 만물의 살아감을 일삼는다. 그런데) 어찌 무릇 (만물) 그것을 의지함으로써 (살아가게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겠는가? 무릇, (하늘과 땅은 무위無爲”·자연自然하게) 만물의 이루어짐일삼는다. 그런데 어찌 무릇 만물을 (일부러 일삼아) “주도하거나마름질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겠는가? (무릇, 움직임이나 일삼음, 어우러짐이나 아우러짐, 그것이) 이와 같은 다음에야, 그것을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며, 오묘하고 미묘한덕스러움이라 일컫는다.

 

 

此章之意, 大抵主於無爲而爲, 自然而然. 無爲, 自然. 則其心常虛. 故以神載魄. 而不以魄載神. , 聖人之事. 以魄載神, 則著迹矣.

(요컨대)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뜻은 무릇 무위無爲”, 다시 말해 (그러한 움직임이나) 일삼음에 중심이 있고, 자연自然, 다시 말해 (일삼음이나 움직임의) 그러함에 중심이 있다. (무릇, 움직이거나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하고, (일삼거나 일삼는 데 있어서) 자연自然하라. 다시 말해, (움직이거나 일삼는 데 있어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마음이 언제 어디서나 텅 비게 하라. 다시 말해, (‘인 하늘의) 신령스러움(; ·)으로써 (“) “땅의 신령스러움(; )”실어라(; 그것과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라).” 다시 말해, (“) “”(을 중심으로 삼음)으로써 (‘인 하늘의) 신령스러움(; ·)싣지마라. 이것이 성인聖人일삼는 바이다. (“인 땅의 신령스러움) “”(을 중심으로 삼음)으로써 (‘인 하늘의) 신령스러움실음”, 무릇 (비유컨대, 일부러 일삼아) 먼지나 티끌을 일으키고, 나눔이나 가름을 일삼음.



老子一書, 大抵只是. 能實, 而虛. 能有, 而無. 則爲至道. 縱說, 橫說, 不過此理.

(덧붙여) 노자가 쓴 () 책 한 권이 전하고자 하는 뜻은 무릇 단지 이것이다. “(자연自然한 본성에) 충실해야 한다.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는 마음이) 텅 비게 해야 한다.” “(자연自然한 본성에 따라 일삼는 바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게 해야 한다.”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비고, 없는, 무위無爲·자연自然) 알아차리고, 일삼아야 한다(; 실천해야 한다).” (노자가 이 책 한 권의) 여기에서 이야기하고, 저기에서 이야기 하는 바, 이러한 이치에 지나지 않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