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13장.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니다." 본문

권재산책

노자권재구의 13장.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니다."

독립출판 무간 2019. 12. 1. 16:29




寵辱若驚 13

 

 

寵辱, 若驚. 貴大患, 若身. 何謂: 寵辱? 爲下? 得之, 若驚. 失之, 若驚. 是謂: 寵辱, 若驚. 何謂: 貴大患, 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故貴以身爲天下, 則可寄於天下. 愛以身爲天下, 乃可托於天下.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바란다. ‘큰 환란을 귀하게 여김’,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것을 일으키는) 몸을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긴다. 어째서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이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총애를 받음을 일부러 일삼아 로 삼고) ‘욕됨을 당함(일부러 일삼아) ‘아래로 삼는가? (‘총애를 받음’) 그것을 얻음,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니다. (‘욕됨을 당함’) 그것을 잃음,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니다. 이것이 이른 바, “寵辱, 若驚.”(의 뜻)이다. 어째서 큰 환란을 귀하게 여김’,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 만한 바가 아닌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그것을 일으키는) 몸을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기는가? 내가 큰 환란을 가지는 이유는 내가 (일부러 일삼는) 몸을 가지기 때문이다. 무릇, 내가 (일부러 일삼는) (을 가짐)이 없다면, 내가 어찌 () 환란(을 가짐)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몸으로써 천하를 귀한 바로 삼는 사람은 무릇 천하를 맡을 수 있다.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몸으로써 천하를 아끼는 바로 삼는 사람은 무릇 천하를 맡을 수 있다.



, 而也. 寵辱, 不足驚. 而人驚之. , 爲大患. 而人貴之. 先提起兩句, 下面却解.

(“寵辱, 若驚. 貴大患, 若身.”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뜻)이다.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그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라기충분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바란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의 일부러 일삼는) “”, (그것은) “큰 환란일으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긴다.” (따라서 노자는 寵辱, 若驚. 貴大患, 若身.” ) 두 문장을 앞 부분(; )’에 제시하고, ‘(; ) 부분에서 이어서 풀이했다.

 

 

何謂者, 不足言也. 寵辱, 一也. 本不足言. 而人以辱爲下. 自萌好惡之心. 故得之失之, 皆能驚, 動其心. , 卽患得患失之意. 身者, 我之累也. 無身, 則無累矣. 而人反以爲貴. , 不知其眞身之身也. 知其眞身, 之可貴. 知其眞身, 之可愛. 雖得天下, 不足以易之. 人能如此, 則可以寄託於天下之上矣. 寄託二字, 便有天下, 不與之意.

何謂는 말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뜻)이다.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그것의 본질은 일부러 일삼음으로서) 하나이다. (다시 말해) 본래 (둘이라) 말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총애를 받음로 삼고) “욕됨을 당함“‘아래로 삼는다.” (다시 말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음) 좋아하고’ ‘(“욕됨을 당함) 싫어하는마음의 싹을 틔운다. 따라서 그것을 얻거나, 그것을 잃으면, 무릇 (그것을) “바라거나” (좋아하고 싫어하는) 그러한 마음을 일으킨다. 이것이 무릇 “() 환란얻어지게 되고”, “() 환란잃어지게 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에게 () “환란(; )(되는 바이). (따라서 가 일부러 일삼는) “(을 가짐)이 없으면”, (“가 큰) “환란”(을 가짐)이 없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은 반대로 (일부러 일삼는 ) “귀한 바로 삼는다. 그것은 (12장에서 말한 것처럼) 참된’ “(; 본성·마음)”으로서의 (저절로 그러한) “(; ·)”을 알아차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이 참된’ “이고, (따라서) 그것이 귀하게 여겨질바인 줄 알아차려야 한다. 그것이 참된’ “이고, (따라서) 그것이 아껴질바인 줄 알아차려야 한다. (따라서) 무릇, “천하를 얻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저절로 그러하게 참된’ “”) 그것과 바꾸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사람이 그와 같이 할 수 있다면, (그러한 사람에게) “천하맡길·수 있다.” “맡긴다·는 두 글자는 무릇 천하(얻어서) 가지되(; ), (일부러 일삼아 다스림) 그것과 더불어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此章兩何謂, 自有兩意. 乃古文之妙處.

(덧붙여, 무릇) 이 장에는 何謂(‘아래) 두 번 나오는데, 무릇 두 가지 뜻을 가진다. (‘에 나오는 何謂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그것은 일부러 일삼아 바랄만한 바가 아니라는 뜻이고, ‘아래에 나오는 何謂 총애를 받음이나 욕됨을 당함”, 그것의 본질은 일부러 일삼음으로서, 본래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이다) 무릇, 옛 글의 오묘한 표현법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