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9장. '이미' 가득 찼는데, '더욱' 채우는 일, 그것은 그만 둠만 같지 못한 일이다. 본문
持而盈之 9
持, 而盈之, 不如其已. 揣, 而銳之, 不可長保. 金玉滿堂, 莫之能守. 富貴而驕, 自遺其咎. 功成, 名遂. 身退, 天之道.
(‘이미’) 가득 찼는데, (‘더욱’) 채우는 일, 그것은 그만 둠만 같지 못한 일이다. (‘이미’ 갈거나 두드려) 날카롭거나 뾰족한데, (‘더욱’ 두드리거나 갈아) 뾰족하거나 날카롭게 하는 일, (그것은 그 날카로움이나 뾰족함이) 오래 가지 못하는 일이다. (‘이미’) 금金과 옥玉이 집안에 가득 찼는데, (‘더욱’ 채우면, 그것을) 지킬 수 없게 된다. (‘이미’ 그 위상이) 높고 귀한데, (그것으로써) 교만해지면, 스스로 그 허물을 남기게 된다. (그) 공功(을 작아지게 함)이 이루어지면, (그) 이름(의 오래 감)이 따른다. (그 공功이 커진) 몸이 (일찍이) 물러남, (만물의 삶을 일삼는) 하늘의 이치道.
此章, 只言進不如退. 故以持盈揣銳爲喩.
이 장은 무릇 일컫는다. “(‘일부러 일삼아’) 나아감進은 ‘물러남退’만 같지 못하다.” 따라서 (이 장은) “持(而)盈(之…)”와 “揣(而)銳(之…)”로써, (그것을) 비유했다.
器之盈者, 必溢. 持之, 則難. 已者, 勿盈之意也.
(‘일부러 일삼아’) “가득 채운盈” 기물(器; 예를 들어 물동이)을 이거나 들고 가는 사람은 반드시 (앞이나 뒤,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넘어진다溢.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가득 채우는 일持”은 무릇 환란患亂을 불러들이는 일難이다. “已”는 “(‘일부러 일삼아’) 가득 채우지盈” 말라는 뜻이다.
揣, 治也. 銳, 銛也. 治器, 而至於極銛極銳, 無有不折. 不若不銳者, 可以長保.
“揣”는 (‘일부러 일삼아’ 그 날이나 끝을 갈거나 두드려) 날카롭게 하거나 뾰족하게 한다治는 뜻이다. “銳”는 (‘일부러 일삼아’ 그 끝이나 날을 두드리거나 갈아) 뾰족하게 하거나 날카롭게 한다銛는 뜻이다. (‘이미’) 기물(器; 예를 들어 칼이나 창)을 (갈거나 두드려) 날카롭게 하거나 뾰족하게 했는데, (‘더욱’ 두드리거나 갈아 그) 뾰족함이나 날카로움을 극점에 다다르게 하거나, (그) “날카로움이나 뾰족함”을 극점에 다다르게 하는 데 이르면, (그 뾰족함이나 날카로움이) 넘거나 (그 날이나 끝이) 부러지지折 않음이 없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날카롭게 하거나 뾰족하게 하는” 일은 그렇게 하지 않은 일만 같지 못하고, ‘일부러 일삼아’ “날카롭게 하거나 뾰족하게 함”으로써 “오래長 가지保” 못함은) 그렇게 하지 않음으로써 “오래 감”만 같지 못하다.
富, 而至於金玉滿堂, 必不能長保.
(‘이미’ “金과 玉이 집안에 가득 차서滿”) “넉넉한데”, (‘더욱’) “金과 玉이 집안에 가득 차게 하는” 데 이르면, 반드시 (그것이) “오래 가지” 못하게 된다.
居王公之位, 而至於驕盈, 必遺其咎. 故欲全其功, 保其名者, 必知早退. 乃爲天道. 功成, 名遂. 是, 隨其大小. 而能自全者. 故曰成, 曰遂. 若不知自足, 則何時爲成耶? 何時爲遂耶? 此四字, 須子細看!
(‘이미’) 임금王이나 귀족公의 위상位에 머물고 있는데, (그 위상으로써) “교만함驕”에 이르거나, (그 위상을 ‘더욱’) “채움盈”에 이르면, 반드시 그 “허물咎을 남기게 된다.” 따라서 그 “공功”을 온전하게 (오래 가게) 하거나全, 그 “이름名”을 (온전하게) “오래 가게” 하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일찍이早 “물러남退”을 알아차려야 한다. 다시 말해, (2장에서 일컬은) “하늘天”(과 “땅”)의 (“만물을 살게 하는”) 이치道를 일삼아야 한다爲. (다시 말해) “‘공功’이 이루어지면, ‘이름名’이 따라온다.” 이것이 무릇 그 (“이름名”이) 크게 되는 까닭大이고, (그 “공功”을) 작게 해야 하는 까닭小이다. 따라서 (그 “이름名”의 큼大이)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아지게) 되고自, (그 “이름名”의 오래 감이) 온전하게 (일삼아지게) 된다全.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그 ‘공功’을 작게 함을) 이루어라成”, “(그 ‘이름名’의 오래 감이) 따라온다.” (그러나) 무릇 (그대가 그러한 이치를) 스스로自 충분히足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어찌 무릇 (그대가 그) “이룸成”을 일삼을 수 있겠는가? (따라서) 어찌 무릇 (그대가 그) “따름遂”을 일삼을 수 있겠는가? (따라서 “功成, 名遂.”) 이 네 글자, 무릇 그대는 자세히 살펴야 한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11장. "있음이 쓸모 있게 되는 것은 없음이 그 쓰임새가 되기 때문이다." (0) | 2019.11.04 |
---|---|
노자권재구의 10장. "혼으로써 백을 담거나 실어라." (0) | 2019.10.31 |
노자권재구의 8장 (0) | 2019.10.20 |
노자권재구의 7장. "하늘은 오래 살고, 땅은 오래 간다." (0) | 2019.10.16 |
노자권재구의 6장 (0) | 201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