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8장 본문
上善若水 8
上善, 若水. 水, 善利萬物. 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矣. 居, 善地. 心, 善淵. 與, 善仁. 言, 善信. 政, 善治. 事, 善能. 動, 善時. 夫惟不爭, 故無尤矣.
(도道를 ‘아주’ 잘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바, 다시 말해, 도道를) ‘가장’ 잘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바, 비유컨대 물水이다. (예를 들어) 물水은 만물을 이롭게 하기를 ‘가장’ 잘 한다. 왜냐하면, (그것과 더불어) 다투지 않기 때문이다. 세상 사람이 싫어하는 바에 머문다. (왜냐하면, 그것을 그러한 바로 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고자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도道에 가깝다. (그러므로 물水과 같이, 도道를 ‘가장’ 잘 알아차리고, ‘아주’ 잘 실천하는 사람은 그) 살아감이 편안해지게 하기를 잘 한다. (그) 마음이 잠잠하거나 조용해지게 하기를 잘 한다. (그) 더불어 있거나 더불어 함에 어질게 하기를 잘 한다. (그) 말言이 실상에서 벗어나거나 이치로움에서 어긋나지 않게 하기를 잘 한다. (그) 다스림에 있어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를) 바로잡기를 잘 한다. (그) 사안을 처리함에 있어 처리하지 못함이 없게 하기를 잘 한다. (그) 움직이거나 일삼음에 있어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본성을 쫓기를 잘 한다. (왜냐하면) 모름지기, 오롯하게, (천하와 더불어) 다투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천하에서) 꾸짖거나 나무라는 바가 없다.
此章, 又以水喩無容心之意.
이 장은 (7장에 이어) 또한 “물水(이 움직이거나 일삼는 모습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품음이 없어야 한다는 뜻을 비유한다.
上善者, 至善也. 謂世間至善之理, 與水一同. 水之爲善, 能利萬物, 而何嘗自以爲能? 順, 流. 而不逆不爭也. 就卑就濕. 不以人之所惡爲惡也. 以此觀水, 則近於道矣. 幾者, 近也.
“(여럿 가운데 으뜸으로) ‘가장上’ 잘 함善”은 “(더할 나위 없이) ‘아주至’ 잘 함善”이다. 이른 바, 세상(의 여러 “잘 함善”) 가운데 ‘아주至’ 잘 함善이 되는 이치(理; 모습; things·event)는 “물水”(이 움직이거나 일삼는 이치)과 더불어 하나로 같이한다. “물水”이 (‘가장’) “잘善” 하는 바爲, (그것은) “만물을 이롭게” (‘아주’) 잘 함能이다. 따라서 (“물水”이) 어찌 무릇 자신(自;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자신의) 잘 함能(의 바탕)으로 삼겠는가? (“물水”은 “만물”의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을) 따르고(順; 더불어 있음; 어우러짐), (그것과 더불어) 흐른다(流; 있음; 아우러짐). 따라서 (그것을) 거스르지 않고, (그것과 더불어) “다투지 않는다不爭.” (“물水”은) ‘천함卑’을 취하고(就; 더불어 함; 어우러짐), ‘습함濕’을 취한다(就; 더불어 함; 아우러짐). (따라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를 (자신의) 싫어하는 바(의 바탕으)로 삼지 않는다. (따라서 “물水”의 작용用) 이것으로써 “물水”(의 본질體, 그것을) 살피건대, 무릇 “도道에 가깝다.” “幾”는 (그 내용이나 성격, 정도나 수준, 범위나 한계, 방향이나 태도, 의미나 관계 등이) 가깝다는 뜻이다.
居善地, 言居之. 而安也. 心善淵, 言其定. 而靜也. 與善仁, 言其仁以及物也. 言善信, 言出口皆實理也. 政善治, 以之正國, 則必治也. 事能善, 以之處事. 則無不能也. 動善時, 隨所動. 而皆得其時也.
“居善地”, (편안하게) “살아간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그 살아감을) 편안해지게 한다는 뜻이다. “心善淵”, (“마음”) 그것이 (요란하고 시끄럽게) 움직이지 않는다定는 말이다. 다시 말해, (“마음”, 그것을) 잠잠하거나 조용하게 한다靜는 뜻이다. “與善仁”, 그 “어짊仁”으로써 “백성物”을 대한다(及; 더불어 있고, 더불어 함)는 뜻이다. “言善信”, 입에서 나오는 바가 무릇 실상實에서 어긋나거나 벗어나지 않게 하고, 이치로움理에서 벗어나거나 어긋나지 않게 한다는 뜻이다. “政善治”, (“바로잡음治”) 그것으로써 나라를 “다스린다(正; 政)”는 말이다. 다시 말해,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반드시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를) “바로잡는다”는 뜻이다. “事能善”, (“잘 함善”) 그것으로써 “사안事”을 처리한다處는 말이다. 다시 말해, (“사안”을 처리함에 있어) “잘 (처리)하지能” 못함이 없게 한다는 뜻이다. “動善時”, “(일삼거나) 움직이는 바(所; 본성)”를 따른다隨는 말이다. 다시 말해, 무릇 (일삼음이나 “움직임”에 있어) 그 때(時; 본성)를 쫓는다得는 뜻이다.
此七句, 皆言有道之士. 其善如此, 而不自以爲能. 故於天下無所爭. 而亦無尤怨之者. 此, 卽汝惟不爭, 天下莫與汝爭能也. 解者, 多以此爲水之小善七. 故其說多牽强. 非老子之本旨.
이 일곱 문장은 무릇 도道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有 사람(의 모습)를 상징한다言. 그 “잘 함善”이 이와 같은 사람은 자신(自;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자신의) “잘 함能”(의 바탕)으로 삼지 않는다. 따라서 천하에서 (그와 더불어) “다투는” 바가 없다. 따라서 또한 “꾸짖거나尤” 나무라는 바怨가 없다. 이것이 바로 “네가 무릇 ‘다투지 않으면(우쭐하지 않으면)’, 천하가 너와 더불어 다투어 내지能 못한다(汝惟不矜, 天下莫與汝爭能: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는 뜻이다. (그러나 많은) 풀이가 모두 (위와 같은 도道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사람의 ‘큰’ “잘 함善‘ 일곱 가지) 이것을 “물水”의 ‘작은’ “잘 함善” 일곱 가지(의 바탕으)로 삼는다. (다시 말해, 그 내용이나 성격, 정도나 수준, 범위나 한계, 방향이나 태도, 의미나 관계 등을 깎아내린다) 다시 말해, 그러한 풀이는 모두 근거가 없고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을 일부러 일삼아 끌어다 맞춘 것이다. (다시 말해) 노자의 본래 취지가 아니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10장. "혼으로써 백을 담거나 실어라." (0) | 2019.10.31 |
---|---|
노자권재구의 9장. '이미' 가득 찼는데, '더욱' 채우는 일, 그것은 그만 둠만 같지 못한 일이다. (0) | 2019.10.25 |
노자권재구의 7장. "하늘은 오래 살고, 땅은 오래 간다." (0) | 2019.10.16 |
노자권재구의 6장 (0) | 2019.10.13 |
노자권재구의 5장. "천지는 어질지 않다." (0) | 2019.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