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7장. "하늘은 오래 살고, 땅은 오래 간다." 본문
天長地久 7
天長, 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是以聖人, 後其身. 而身先. 外其身. 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하늘은 오래 살고, 땅은 오래 간다. 하늘이 오래 살고, 땅이 오래 가는 이유는 그것을 일부러 일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늘은) 오래 살고, (땅은) 오래 간다. 그러므로 성인은 그 몸을 뒤에 서게 한다. 그러나 (그) 몸이 앞에 서게 된다. 그 몸을 밖에 서게 한다. 그러나 (그) 몸이 안에 서게 된다. 그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그 사사로움을 이루게 된다.
此章, 以天地喩聖人. 無容心之意.
이 장은 “천지(가 움직이거나 일삼는 모습으)”로써 “성인”(이 움직이거나 일삼는 모습)을 비유한다. (다시 말해,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바는 “천지”나 “성인”과 같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품음이 없어야 한다는 뜻이다意.
天地之生萬物. 自然而然. 無所容心. 故千萬歲, 猶一日也.
“천지”는 만물을 “살아가게 한다生.” (그런데 그것은) 저절로 그러하고自然, (저절로) 그러하다. (다시 말해, “천지”는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품는 바가 없다. 무릇故, 천千 년 만萬 년, 매일 같이.
聖人之修身. 無容心於先後. 無容心於內外. 故莫之先. 而常存. 是以其無私. 而能成其私也.
“성인”은 “스스로身”를 닦는다修. (예를 들어) “앞”과 “뒤”에 대해 (“스스로”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품음이 없게 한다. “안”과 “밖”에 대해 (“스스로”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품음이 없게 한다. 따라서 (“스스로”) “앞(에 섬)”이 없다莫. 그러나 언제 어디서나 (“앞”에) 서게 된다存. (따라서 “스스로” “안”에 섬이 없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나 “안”에 서게 된다) 다시 말해, (“성인”은) “그 사사로움(私; 容心; 有容心)을 없게 한다.” 따라서 “그 사사로움(私; 容心; 無容心)을 이루게 된다.”
此一私字, 是就身, 上說來. 非公私之私也. 若以私爲公私之私, 則不得謂之無容心矣.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에 나오는) 이 하나의 “私” 자字는 무릇是 (“是以聖人, 後其身, 而身先. 外其身, 而身存.”에 나오는 이 하나의) “身”을 (그 뜻으로) 취하는데, 위(에서 내가 한 말)에 (그) 뜻說이 나온다. (다시 말해, 이 하나의 “私” 자는) ‘公’과 ‘私’라고 할 때의 ‘私’ 자가 아니다. 만약, (이 하나의) “私” 자가 ‘公’과 ‘私’라고 할 때의 ‘私’ 자였다면, (나는) 그것을 ‘無容心’이라 말할 수 없었다.
此語, 又是老子誘人爲善之意. 釋氏, 翻出來, 則無, 此等語矣. 故謂之眞空實有. 眞空, 便是無私之意. 實有, 便是能成其私之意. 但說得來, 又高似一層.
(덧붙여,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이 말語은 또한又 무릇是 노자는 사람들이 (“천지”나 “성인”과 같이) 착함(善; 無容心)을 일삼도록 이끌었음을 뜻한다意. (따라서) 석가모니釋氏는 또한翻 일컬었다. “여래(如來; “성인”)는 (무릇) 옴來을 (일부러 일삼아) 쫓는 바도 없고, 감去을 (일부러 일삼아) 쫓는 바도 없다(出來, 則無; 如來者, 無所從來, 亦無所去: 『금강경金剛經』 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이것은 (그 뜻하는 바가 또한 무릇 노자와) 같은 말語이다. 따라서 (종밀宗密은 또한) 일컬었다.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자신(我; 마음)을 없게 함, (이것은) 무릇卽 (언제 어디서나 그것이) 텅 빈 바(空; 도道·본성), (따라서) 참된 바(眞; 도道·본성), (언제 어디서나 만물과 더불어 하고 더불어) 있는 바(有; 도道·본성), (따라서 만물의) 실상에 어긋나지 않고 벗어나지 않는 바(實; 도道·본성)를 드러나게 함(眞空實有; 無我, 卽顯眞空實有: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규봉圭峰).” (종밀이 말한) “참됨眞”, “텅 빔空”은 또한便 무릇是 (노자가 말한) “(其)無私”를 뜻한다意. “(종밀이 말한 만물의) 실상에 어긋나거나 벗어나지 않음實”, “(언제 어디서나 만물과 더불어 하고 더불어) 있음有”은 또한便 무릇是 (노자가 말한) “能成其私”를 뜻한다意. 무릇但, (나의) 말說이 (여기에) 이르니, 무릇又 (내가) 한껏一層 잘나 보이려 하는高 듯하다似.
【해 설】
종밀(宗密, 780~841)은 세속世俗의 성姓이 하何이다. 과주(果州 ; 지금의 쓰촨성四川省) 서충西充 사람이다. 산시성陝西省 악현鄠縣의 규봉圭峯 초당사草堂寺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규봉대사圭峯大師”라 불렀다.
종밀은 807년 도원선사道圓禪師를 만나 가르침을 받았다. 같은 해, 증률사拯律師를 따라 구족계를 받았다. 그 후, 징관(澄觀, 738~839)의 『화엄경소華嚴經疏』를 읽고, 장안(長安 : 지금의 시안시西安市)의 화엄사華嚴寺로 가서, 징관에게 화엄華嚴의 교의敎義를 배웠다.
당唐나라 문종(文宗, 재위 826~840)은 종밀을 두 차례 궁宮으로 불러 불법佛法을 연설筵說하게 하고, ‘대덕大德’이라는 칭호를 내렸으며, 그가 죽은 다음 ‘정혜선사定慧禪師’라는 시호諡號를 내렸다.
종밀의 저서는 『선원제전집禪源諸詮集』, 『화엄경행원품별행소초華嚴經行願品別行疏』, 『주화엄법계관문注華嚴法界觀門』, 『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 『원각경대소초圓覺經大疏』, 『우란분경소盂蘭盆經疏』, 『화엄원인론華嚴原人論』, 『선문사자승습도禪門師資承襲圖』 등이 있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9장. '이미' 가득 찼는데, '더욱' 채우는 일, 그것은 그만 둠만 같지 못한 일이다. (0) | 2019.10.25 |
---|---|
노자권재구의 8장 (0) | 2019.10.20 |
노자권재구의 6장 (0) | 2019.10.13 |
노자권재구의 5장. "천지는 어질지 않다." (0) | 2019.10.12 |
노자권재구의 4장 (0) | 2019.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