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6장 본문

권재산책

노자권재구의 6장

독립출판 무간 2019. 10. 13. 18:40




谷神不死 6

 

 

谷神, 不死. 是謂玄牝. 玄牝, 之門. 是謂天地根. 綿綿, 若存. 用之, 不勤.

골짜기의 신령스러움, 사라지지 않는 바. 그것은 이른 바 만물과 더불어 나아감이 끝이 없는 바’, 텅 비우고 채우지 않는 바.’ ‘만물과 더불어 나아감이 끝이 없는 바’, ‘텅 비우고 채우지 않는 바’, 그것은 (이른 바 만물이 생겨나는) . 그것은 이른 바 천지의 뿌리. 이어지고 이어지지만, 있는 듯 (없는 듯). 움직이고 일삼지만, 수고롭지 않은 듯.

 

 

此章, 乃修養. 一項. 功夫之所自出. 老子之初意, 却不專爲修養也.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뜻)수양修養이른다. (다시 말해,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뜻은 수양’, 그것이) 첫 번째이다. (다시 말해,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뜻은 만물이) 말미암아 생겨나는(: 1)” (; )에 대한 공부(功夫; 工夫; 알아차림·실천)이다. (다시 말해,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노자의 본래취지수양을 일삼지 않거나 온전히 일삼지 않음을 물리침이다.

 

 

. 則實. . 則虛. 谷者, 虛也. , 神者. 虛中之. 神者也. 言人之神. 自虛中而出. 故常存. 而不死.

() 실상에 어긋나지 않고 벗어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실제적이기 때문이다. () “신령스럽다.” 왜냐하면,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비어 있기 때문이다(; 무위無爲·자연自然). (비유컨대) “골짜기(그 가운데가) 텅 비어 있다. (따라서) “골짜기는 신령스럽다.” (다시 말해, 골짜기와 같이 그) 가운데가 텅 비어 있다. (따라서 도골짜기와 같이) “신령스럽다.” 말하자면, 사람(; 본성)신령스럽다.” (왜냐하면) 텅 비어 있는 () 가운데로부터 생겨나기때문이다. 다시 말해, () 언제 어디서나 (만물과 더불어) (고 만물과 더불어 한).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사라지지 않는다不死.”

 

 

, . 而無極者也. , . 而不實者也. 此二字, 只形容一. . 虛字. 天地, 亦自此而出. 故曰: , 綿綿. 不己不絶之意. 若存者, 若有若無也.

(언제 어디서나 만물의 생김·자람·시듦, 감각·지각·의지·행위, 움직임·일삼음과 더불어) 나아간다(: 25)”는 말이다. 다시 말해, (만물의 생김·자람·시듦, 감각·지각·의지·행위, 움직임·일삼음과 더불어 나아감) (; 멈춤·끝남, 남음·모자람)이 없다는 뜻이다. “은 텅 비운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아) 채우지 않는다는 뜻이다. (“”, “”) 이 두 글자는 모름지기 (노자가 10장에서 일컬은) “하나(; )”상징形容한다. (그런데 하나는 비유컨대 그 가운데가) 텅 빈이다. (다시 말해, ‘) ‘(와 뜻이 같은 글자)이다. (따라서) “천지가 또한 그것으로부터 (말미암아) 생겨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뿌리(; 근원)이다”, “이어지고綿 이어진다綿.”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자신(을 말미암는 것)이 아니(,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만물을 말미암은 채, 만물의 생김·자람·시듦, 감각·지각·의지·행위, 움직임·일삼음과 언제나 어디서나 더불어 있고 더불어 하)기 때문에 끊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若存은 있는(존재하는, 작용하는) 듯하기도 하고, 없는(존재하지 않는, 작용하지 않는) 듯하기도 하다는 말이다.

 

 

. 於虛無之中. 故不勞. 而常存. 卽所謂虛而不屈.

() “작용한다(; 움직임·일삼음).” 그러나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텅 비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가운데 (작용한다). 따라서 수고롭지(; ) 않다.” 따라서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고 이어지며”, 만물의 생김·자람·시듦, 감각·지각·의지·행위, 움직임·일삼음과) 언제나 어디서나 (더불어) (고 더불어 한). 모름지기 이른 바 (노자가 5장에서 일컬은) “. 而不屈. . 而愈出이다.

 

 

晦翁曰: 至妙之理! 有生生之意, 存焉! 此語, 亦好! 但其意, 亦近於養生之論. 此章, 雖可以爲養生之用. 而初意, 實不專主是也.

주자(朱子; 晦翁)는 일컬었다. “지극하고 오묘한 이치로구나! (만물의) 생김과 자람을 낳는이치가 들어 있구나! (장의) 표현방식은 모름지기 훌륭하다! 그러나 그 취지가 모름지기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위한 의학醫學·약학藥學·화학化學·연금술鍊金術과 방술方術을 중시하는 도교道敎) 양생지론養生之論에 가깝다. (따라서) 이 장은 모름지기 (도교의) ‘양생지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만하다. 따라서 (‘양생’, 그것을) 정말로 중요한 바로 여기거나, 오롯이 올바른 바로 여김(이 장에서 노자가 전하고자 하는) 본래 취지가 아니다. (이 장에서 노자가 전하고자 하는 본래 취지는 양생이 아니라, ‘수양이기 때문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