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31장 : "군대를 용맹스럽고 충성스럽게 일삼는 일은 상스럽지 못한 일이다."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31장 : "군대를 용맹스럽고 충성스럽게 일삼는 일은 상스럽지 못한 일이다."

독립출판 무간 2019. 6. 13. 19:02



31

 

 

夫佳兵者, 不祥之.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夫樂殺人者, 不可得志於天下矣. 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居上勢, 則以喪禮處之. 殺人衆多, 以悲哀泣之. 戰勝, 以喪禮處之.

무릇, 군대를 용맹스럽고 충성스럽게 일삼는 일은 상스럽지 못한 일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모두 그것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도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사람은 그것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군자는 평소에는 왼쪽을 귀하여 여긴다. 군대를 일삼을 때에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그러므로) 군대는 상스러운 기물이 아니다. (그러므로 군대는) 군자가 일삼는 기물이 아닌데, (그러므로 군자는 만에 하나) 그것을 일삼게 되더라도, 부득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평평한 마음을 최상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이기더라도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지 않는다.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는 사람은 살인을 즐기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무릇, 살인을 즐기는 사람, (그러한 사람으로 하여금) 천하의 뜻을 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세상의) 한 일에는 왼쪽을 높인다. 한 일에는 오른쪽을 높인다. (그러므로 군대를 일삼을 때에는) 편장군으로써 왼쪽에 자리하게 한다. 상장군으로써 오른쪽에 자리하게 한다. 말하자면, (편장군보다) 높은 위세에 머무는 상장군으로써 왼쪽에 자리하게 하는 것인데, (무거운) 죽음의 예식으로써, (군대를 일삼음) 그것을 다루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군대를 일삼음 그것으로 인하여) 살인이 아주 많아지게 되는데, 그러므로 (상장군으로 하여금, 예식을 갖추어 무겁게 죽음) 그것을 슬퍼하게 하고, 불쌍히 여기게 하며, 근심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싸움에서 이기더라도, (또한 상장군으로 하여금) 죽음의 예식으로써, 그것을 (무겁게) 다루게 하는 것이다.

 

 

此承上言不以兵强天下, 故此甚言兵之不可尙也.

이 장은 앞 장의 무력으로써 천하에 군림해서는 안 된다는 일컬음을 잇는 장인데, 따라서 이 장은 군대가 높여져서는 안 된다라고 강조해서 일컫는다.

 

 

佳兵, 乃用兵之最精巧者, 謂之佳兵. 凡善用兵者, 必甘心於殺人. 兵益佳而禍益深, 故爲不祥之器.

佳兵군대를 일삼음에 있어서, 그것이 아주 용맹스러워지게 하고 충성스러워지게 한다는 뜻인데, 그것을 일컬어 佳兵이라 한다. (따라서) 무릇, “군대를 잘 일삼는 사람은 반드시 사람을 죽이기좋아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다. (따라서) “군대가 더욱 용맹스러워지고 충성스러워지게 되면”, 가 더욱 깊어지게 되는데, 따라서 (“군대가 용맹스러워지고 충성스러워지도록 일삼는 일) “상스럽지 못한 기물을 일삼는 일이 되는 것이다.

 

 

曆觀古今善用兵者, 不但不得其死, 而多無後. 此蓋殺機自絶, 而造物或惡之者. 以其詐變不正, 好殺不仁, 故有道者不處. 不但有道者不處, 而苟有仁心者, 亦不處也. 何以知其然耶?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거슬러 올라가) 살피건대, “군대를 잘 일삼는 사람들은 모두 그 죽음을 (제대로) 얻지 못했고, 따라서 (그들은) 모두 () 후손(을 제대로 얻음)이 없었다. 그것은 무릇 (스스로 명대로 살아가던) (; )을 죽이고, (따라서) 저절로 (이어져 내려오던 대) 끊어졌기 때문인데, 따라서 (‘그 죽음을 제대로 얻지 못함그 후손을 제대로 얻음이 없음’, 그것들이) “物或惡之를 일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죽음을 제대로 얻지 못함그 후손을 제대로 얻음이 없음의 실상과 실정) 그것들이 기만되고 변질되게 하는 일은 (다시 말하면, 그것들을 기만하고 변질시킨 채, “군대를 용맹스럽고 충성스럽게 일삼는 일은) 올바르지 못한 일이 되고, (따라서) “죽임을 좋아하게 하는 일은 어질지 못한 일이 되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사람들은” (모두 그러한 일들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사람들은모두 (그러한 일들에) 머물지 않는데, 따라서 진실로 어진 마음을 가진 사람들은 또한 (모두 그러한 일들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내가) 어떻게 그들이 그러한지 알겠는가?

 

 

觀夫君子所居則以左爲貴, 用兵則以右爲貴, 然右乃凶地, 由是而知兵者, 乃不祥之器, 非君子之器也. 萬一不得已而用之者.

(또한,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거슬러 올라가) 살피건대, “군자는 평소에는 왼쪽을 귀하게 여기지만”, “군대를 일삼을 때에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기는데”, 왜냐하면, ‘오른쪽이 곧 자리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말미암아, “군대는 곧 상스럽지 못한 기물이고, (따라서) “군자가 일삼는 기물이 아님을 알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군자) 만에 하나 (그것을 일삼게 되더)라도, “부득이하게 그것을 일삼는 것이다.”

 

 

老子誠曰, 當以恬淡爲上. 恬淡者, 言其心和平, 不以功利爲美, 而厭飽之意. 旣無貪功欲利之心, 則雖勝而不以爲美. 縱不貪功利, 而若以勝爲美者, 亦是甘心樂於殺人. 夫樂於殺人者, 必不可使其得志於天下. 所謂造物或惡之也. 若使此輩得志於天下, 將爲殘害而無涯量矣.

(따라서) 노자는 강조해서 일컬었는데, “(따라서) 마땅히 恬淡爲上해야 한다.” “恬淡은 그 마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도와 서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진 채, (바깥 사물을 말미암아 위로 솟거나 아래로 꺼지는 바가 없이) 평평하다는 말로서, (일부러 일삼은) 이나 이로움을 아름다움으로 여기지 않고, (그것들을) 꺼리거나 싫어한다는 뜻이다. 이미, (일부러 일삼아) 얻기를 바라거나 이롭게 되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면, 모름지기 이김을 가지게 되더라도, (이김) 아름다움으로 여기지 않게 된다. 모름지기, (일부러 일삼아) 을 얻거나 이롭게 되기를 바라지 않더라도, 만약 () “이김을 아름다움으로 여기는 일은 또한 () 마음으로써 살인을 즐김을 좋아하는 일이다. 무릇, “살인을 즐기는 사람”, 반드시 그러한 사람으로 하여금 천하의 뜻을 얻게할 수 없다. 이른 바, (그것은) “物或惡之를 일삼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약, 그러한 사람으로 하여금 천하의 뜻을 얻게 하거나” (그것을) 짊어지게 한다면, 바야흐로 (천하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망가뜨림과 어그러뜨림이 한도 (없고) 끝도 없게 될 것이다.



且世之吉事必尙左. 凶事必尙右. 凶事, 謂喪事也. 所以用兵則貴右, 言其可哀也. 故兵家以偏將軍居左, 以上將軍居右者, 蓋上將軍司殺之重者. 言居上勢者, 則當以喪禮處之也. 故殺人衆多, 則當以悲哀泣之. 則戰勝, 亦當以喪禮處之. 甚言其不得已而用之, 則不得已而處之也. 甚言其不得已而用之, 則不得已而處之也.

또한, 세상의 한 일에는 반드시 왼쪽을 높인다.” “한 일에는 반드시 오른쪽을 높인다.” (세상의) “한 일이란 이른 바 죽음에 관한 일이다. 따라서 군대를 일삼을때에는 곧 오른쪽을 귀하게 여기는데”, 이른 바, (‘죽음’) 그것은 슬퍼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대를 일삼을 때에는 편장군으로써 왼쪽자리하게 하고”, “상장군으로써 오른쪽자리하게 하는것인데, 모름지기, “상장군죽음의 무거움을 관장하는 사람인 것이다. 말하자면, (“상장군편장군보다) 높은 위세에 머무는 사람인 것인데, 따라서 (“상장군으로 하여금) 마땅히 “(무거운) ‘죽음의 예식으로써, (“군대를 일삼음”) 그것을 다루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군대를 일삼음그것으로 인하여) “살인이 아주 많아지게 되는데”, 따라서 마땅히 (“편장군보다) 높은 위세에 머무는 상장군으로 하여금, 예식을 갖추어 무겁게 죽음’) “그것을 슬퍼하게 하고, 불쌍히 여기게 하며, 근심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름지기) “싸움에서 이기더라도”, 또한 마땅히 “‘죽음의 예식으로써, 그것을 (무겁게) 다루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노자는 모름지기 군대를 일삼음”) 그것이 부득이했고”, 그리고 (그렇게) “그것을 일삼았더라도”, 따라서 (‘죽음그것이) 부득이했더라도, 그러나 “(‘죽음’) 그것을 (그렇게) 다루라고 강조해서 일컫고 있는 것이다.


上二章, 通言人臣不能以道佐人主. 而返以兵爲强者. 故切誠之.

이상의 (30장과 31) 두 장은 서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진 채, 일컫는다. “(따라서) 신하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로써 임금을 보좌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신하는 임금이) 무력으로써 천하에 군림함을 되돌아가게 하지 않을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이상의 30장과 31장 두 장은 서로 어우러지고 아우러진 채, ‘무력으로써 천하에 군림함’) 그것을 멀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