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29장. 장차 천하를 취하고자 하거나,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는 사람 본문
29장
將欲取天下而爲之, 吾見其不得已. 天下神器, 不可爲也. 爲者敗之, 執者失之. 故物或行或隨. 或呴或吹. 或强或羸. 或載或隳. 是以聖人去甚, 去奢, 去泰.
장차 천하를 취하고자 하거나,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는 사람, 나는 그러한 사람은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이룰 수 없는 사람임을 알아차릴 따름이다. (모름지기) 천하는 신령스러움(神; 自然)이 주재하는 큰 그릇인데, (그러므로 그것은) 일부러 일삼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는 사람은 (천하의 저절로 그러한 바) 그것을 어그러뜨리게 된다.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천하 그것을 취했다고 할지라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힘이나 앎을) 붙잡는 사람은 (천하의 저절로 그러한 바) 그것을 망가뜨리게 된다. 다시 말하면, 만물은 (저절로 그러하게) 혹은 앞으로 나아가고 혹은 뒤에서 따라가며, 혹은 입김을 내쉬고 혹은 입김을 들이쉬며, 혹은 강하고 혹은 병을 앓으며, 혹은 실리고 혹은 무너진다. 그러므로 성인은 (저절로 그러한 바에서 벗어나 머무는 바가) 지나침을 멀리하고, 넘침을 멀리하며, 치우침을 멀리하는 것이다.
此言聖人道全德備, 應運出世, 爲官爲長. 當任無爲無事, 而不可有爲太過也.
이 장은 일컫는다.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는 본질로서의) 도道를 온전히 지키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도道의 작용인) 덕스러움德을 (온전히) 갖추는데, (따라서 도道와 덕스러움德을 말미암아) 세상에 응하고, 머물며, 나아가고, (도道와 덕스러움德을) “기준으로 삼으며, 모범으로 삼는다(官, 長: 28장).” 다시 말하면,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음과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을 말미암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도道와 덕스러움德에서) 크게 (어긋나) 벗어남을 가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由上章云: “樸散則爲器. 聖人用之則爲官長.” 故老子因而誠之曰: “將欲取天下者, 當任自然, 不可有心爲之.” 而有心爲之者, 吾見其必不可得已. 何也, 且天下者大器, 有神主之. 豈可以人力私智取而奪之耶? 故曰: “不可爲也.”
앞 (28)장의 일컬음에 따르면, “樸散則爲器. 聖人用之則爲官長”이다. 따라서 『노자』는 (앞 28장의 그것을) 말미암아 (“將欲取天下…不可爲也”의 뜻) 그것을 확실히 했는데, “장차 천하를 취하고자 하는 사람은 따라서 (‘천하’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야 하는데, (따라서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가지는 사람, “나는 그러한 사람은” 반드시 (그것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임을 알아차릴 따름이기” 때문이다. 어째서 그런가? 왜냐하면, “천하”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만물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 서로 어우러지고 아우르질 만큼 그 트임이) 큰 “그릇”이고, 그것을 주재하는 “신령스러움(神; 自然)”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찌 사람의 (일부러 일삼은) 힘과 (일부러 일삼은) 사사로운 앎으로써, (“천하”) 그것을 빼앗거나 “취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그러므로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은) 일부러 일삼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而爲之者, 必反敗之. 縱爲而得之, 亦不可執爲己有. 而執之者, 必反失之.
따라서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는” 사람은 반드시 도리어 (“천하”의 저절로 그러한 바) “그것을 어그러뜨리게 된다.” (또한) 모름지기, (“천하를 취하고자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천하”) 그것을 취했다고 할지라도, 또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바(有; 力·智)를 (“천하” 그것에 응하고 머물며 나아가는 내용이나 방법으로) “붙잡거나” 일삼아서는 안 된다. (“천하” 그것에 응하고 머물며 나아가는 내용이나 방법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바) 그것을 (일삼거나) “붙잡는” 사람은 반드시 도리어 (“천하”의 저절로 그러한 바) “그것을 망가뜨리게 된다.”
故如强秦力能並呑六國, 混一天下, 是爲之也. 且誓云一世以至萬世, 是執之也. 故不旋踵而敗, 二世而亡, 豈非爲者敗之, 執者失之之驗歟?
다시 말하면, (전국戰國 시대, 군사력이 가장) 강력했던 진秦나라가 (그) 힘으로써 (나머지 연燕, 위魏, 제齊, 조趙, 초楚, 한韓) 여섯 나라를 강제로 복속시켜 천하를 하나로 통합한 일과 같은데, 이것이 “爲之”이다. 또한 (진시황秦始皇은) “일세一世로써 만세萬世에 이르게 하겠다”라고 맹세하여 일컬은 일과 같은데, 이것이 “執之”이다. 따라서 (진나라 왕조가) 이어지고 이어지지 못한 채, “어그러뜨려졌는데”, (따라서 “만세”가 아니라) 이세二世에 이른 채, 망가뜨려졌는데, 어찌 “爲者敗之, 執者失之”의 사례가 아니겠는가?
然而所以敗之失之者, 以其所處過甚, 而奢泰之極也. 凡物極則反, 此亦自然之勢耳.
다시 말하면, “敗之”, “失之”의 이유는 그 벗어나 머무는 바가 “지나침”, “넘침”, “치우침”의 끝점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무릇, 사물(物; things·event)이 끝점에 다다르게 되면, 반대로 되돌아감, 그것이 또한 저절로 그러한 바의 형세(勢; things·event)일 따름이다.
故物或行而在前, 或復隨而在後. 或呴而暖, 或反吹而寒. 或强而壯, 或又尪羸而弱. 或正載而成, 或則隳頹而毀. 此何以故? 是皆用力過甚, 而奢泰之極也. 此皆聖人所不處. 故曰: “是以聖人去甚, 去奢, 去泰.”
다시 말하면, 사물(物; things·event)은 “혹은 앞으로 나아가는데” 따라서 앞에 서게 되고, “혹은” 반대로 “뒤에서 따라가는데” 따라서 뒤에 서게 된다. “혹은 입김을 내쉬는데” 따라서 따뜻해지기도 하고, “혹은” 반대로 “입김을 들이쉬는데” 따라서 차가워지기도 한다. “혹은 강한데” 따라서 굳세고, “혹은” 또한 다리를 절거나 “병을 앓는데” 따라서 약하다. “혹은” 바르게 “실리는데” 따라서 이루어지게 되고, “혹은” 곧 떨어지고 “무너지는데” 따라서 어그러지고 망가지게 된다. 이것은 어째서 그런가? 그것은 모두 (그) 힘을 일삼는 데 있어서, (저절로 그러한 바에서) 벗어남이 “지나침”, “넘침”, “치우침”의 끝점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모두 “성인”이 머물지 않는 바들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是以聖人去甚, 去奢, 去泰.”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31장 : "군대를 용맹스럽고 충성스럽게 일삼는 일은 상스럽지 못한 일이다." (0) | 2019.06.13 |
---|---|
도덕경 감산주 30장 :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도道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사람은 그 임금으로 하여금 무력으로써 천하에 군림하게 하지 않는다 (0) | 2019.06.07 |
도덕경 감산주 28장 (0) | 2019.05.11 |
도덕경 감산주 27장 (0) | 2019.05.07 |
도덕경 감산주 26장 (0)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