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19장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19장

독립출판 무간 2018. 12. 22. 10:48


19

 

 

絶聖棄智, 民利百倍; 絶仁棄義, 民復孝慈; 絶巧棄, 盜賊無有. 此三者以爲文不足. 故令有所屬. 見素抱樸. 寡欲.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이) 성스러움을 멀리하고, 지혜로움을 버리면, 세상 사람들이 백배는 이롭게 되고, 을 멀리하고, 를 버리면, 세상 사람들이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돌이키게 되며, 기교를 멀리하고, 지혜로움을 버리면, (세상 사람들이) 훔치거나 빼앗지 않게 된다. 이 세 가지는 일부러 일삼아 꾸며진 화려한 겉모습으로는 부족하다.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바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소박함을 보고, 투박함을 품음. 일부러 일삼아 바라는 바를 줄이고,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줄임.

 

 

此承前章而言智不可用, 亦不足以治天下也.

이 장은 앞 장을 잇는데, 이른 바, (‘지금)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일삼을 만하지 못하고, 또한 천하를 다스리기에 부족하다는 것이다.

 

 

然中古聖人, 將謂百姓不利, 乃爲鬥斛權衡符璽仁義之事, 將利於民, 此所謂聖人之智巧矣. 殊不知民情日鑿, 因法作奸.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이 지난 그) 다음 시대에 성인이 무릇 이르기를, “백성들에게 이롭지 않은 바, (그것은) 이내 일부러 일삼은 두곡鬥斛, 권형權衡, 부새(符璽; 행정질서), 인의(仁義; 도덕질서)”일삼는 일이며, 무릇 백성들에게 이로운 바, 그것은 이른 바 (‘아주 먼 옛날에 천하를 다스렸던) 성인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지혜와 기교(를 일삼는 일)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을 일삼음으로써) 모름지기 백성들이 () 실정을 날로 어지럽힐 줄 모르게 되고, () 법령을 말미암아 간사함을 일삼을 줄 모르게 되기 때문이다.

 

 

就以鬥斛權衡符璽仁義之事, 竊以爲亂. 方今若求復古之治, 須是一切盡去, 端拱無爲, 而天下自治矣.

일부러 일삼은 두곡鬥斛, 권형權衡, 부새符璽, 인의仁義로써 천하를 다스리게 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천하가 어지러워지게 된다. (따라서) 바야흐로 지금 아주 먼 옛날다스림의 모습돌이키기 바란다면, 모름지기 (그것들) 모두一切멈춰지고 멀어지게 함옳은데, (다시 말하면)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채端拱, 무위無爲해야 하고, 따라서 천하가 저절로 다스려지게 해야 하는 것이다.

 

 

且聖智本欲利民, 今旣竊以爲亂, 反爲民害. 棄而不用, 使民各安其居, 樂其業, 則享百倍之利矣.

또한, “성스러움지혜로움본래 (아주 먼 옛날) 백성들을 이롭게 하고자 할 때 일삼아졌던 바들(기교들)인데, (따라서) 지금 (그것들로써 천하를 다스리게 되면) 이윽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천하가 어지러워지게 되는데, (다시 말하면) 오히려 백성들이 해롭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들을) “버려야 하고”, 일삼지 않아야 하는데, (따라서) 백성들 모두 그 사는 곳을 편안하게 여기게 되고, 하는 일을 즐겁게 여기게 되는데, 따라서 백배이로움누리게 되는 것이다.

 

 

且仁義本爲不孝不慈者勸, 今旣竊之以爲亂, 苟若棄之, 則民有天性自然之孝慈可復矣. 此卽莊子所謂虎狼仁也. 意謂虎狼亦有天性之孝慈, 不待敎而後能. 況其人爲物之靈乎.

또한 는 본래 (아주 먼 옛날) 효성스럽지 못하거나 자애롭지 못한 사람들을 권면할 때 일삼아졌던 바들(기교들)인데, (따라서) 지금 (그것들로써 천하를 다스리게 되면) 이윽고 자신도 그것을 모르는 사이에 천하가 어지러워지게 되는데, (따라서) 진실로 그것들을 버린다면”, 백성들이 하늘의 본성저절로 그러한 바自然가지게 되고(; ), (따라서 저절로 그러한)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이 돌이켜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장자가 일컬은 이른 바 호랑이나 이리도 인하다(장자, 천운天運)”는 것이다. 이른 바, 호랑이와 이리 역시 하늘의 본성을 가지고 있는데,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효성스럽고 자애로운데, (다시 말하면, 일부러 일삼아) 배움말미암지 않더라도, 태어난 다음에 (저절로 그러하게) 능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하물며 그 사람으로서 신령한 물건이 된 바에야!

 

 

且智巧本爲安天下, 今旣竊爲盜賊之資, 苟若棄之, 則盜賊無有矣.

또한, “지혜로움기교는 본래 (아주 먼 옛날) 천하를 평안하게 할 때 일삼아졌던 바들(기교들)인데, (따라서) 지금 (그것들로써 천하를 다스리게 되면) 이윽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백성들의 일부러 일삼은) 빼앗음이나 훔침수단이 되게 되는데, (따라서) 진실로 그것들을 버린다면”, (백성들의 일부러 일삼은) 빼앗음이나 훔침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然聖智仁義智巧之事, 皆非樸素, 乃所以文飾天下. 今皆去之, 似乎於文則不足, 於樸素則有餘.

다시 말하면,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지혜로움”, “”, “지혜로움기교”, (그것은) 모두 (통나무처럼) “투박하고”, “소박한 바가 아닌데, (따라서)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에서 벗어나 어긋난 채) 일부러 일삼아 꾸미게 하고, 일부러 일삼아 가꾸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지금모두 그것들을 멀리해야 하는데, () “일부러 일삼는 꾸밈에 대해서 (형식적으로 한 두 번 잠시 잠깐) 멀리하는 듯해서는似乎 부족하고, (실질적으로 그 극점에 다다를 때까지 멀리함으로써) “투박하고”, “소박한 바(이르러야 하는데, 그러한 바에) 이르게 되면, 남음이 있게 된다.

 

 

因世人不知樸素渾全之道, 故逐逐於外物, 故多思多欲. 今旣去華取實, 故令世人心志, 有所系屬於樸素之道. 若人人果能見素抱樸, 則自然少私寡欲矣.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 “투박하고”, “소박한 바를 알아차리지 못하기 때문에, () 온전하게 맑은 흩뜨려서 탁하게 만드는데, 따라서 (자신의 마음이 아니라) 바깥을 (일부러 일삼아) 쫓아가게 되고, (자기 자신이 아니라) 사물(일부러 일삼아) 쫓아가게 되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많이 바라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많이 일삼고자 하게 된다. (따라서) 지금 이윽고 (일부러 일삼아 꾸며진) 화려한 겉모습(; )멀리해야 하고, (일부러 일삼아 가꾸어지지 않음으로써, “투박하고”, “소박한”) 속모습(; 실상·실정)가까이해야 하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과 () 마음과 의지로 하여금, (통나무처럼) “투박하고”, “소박한에 대해서 얽히고(; 어울림·함께 있음), 설키는(; 아우름·함께 함) 바가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人人이윽고 “() 소박함을 보고, 투박함을 품게 되며”,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自然 “() 사사로움을 줄이고, 일부러 일삼고자 함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若知老子此中道理, 只以莊子馬蹄胠篋作注解, 自是超足.

만약, 위와 같은 노자이치道理를 알아차리고, 더해서 장자마제馬蹄거협胠篋으로써, 를 달고, 풀이한다면, 저절로 세상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게 될 것이다.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21장  (0) 2019.01.03
도덕경 감산주 20장 (일부)  (0) 2018.12.28
도덕경 감산주 18장  (0) 2018.12.17
도덕경 감산주 17장  (0) 2018.12.12
도덕경 감산주 16장  (0) 2018.12.0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