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16장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16장

독립출판 무간 2018. 12. 9. 22:38



16

 

 

致虛極, 守靜篤. 萬物, 吾以觀. 夫物芸芸, 各歸其根. 歸根曰靜. 靜曰復命. 復命曰常. 知常曰明. 不知常, 妄作凶. 知常容. 容乃公. 公乃王. 王乃天. 天乃道. 道乃久. 沒身不殆.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텅 빔의 극점에 이르고,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고요함을 도탑게 지켜라. (그러므로) 만물이 (천태만상으로 눈앞에) 나란히 줄지어 있을지라도, 나는 (그것들의 본질) 그것(이 본래 없음)을 살핌으로써, 마음을 망령되게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무릇, 만물은 (천태만상으로) 나란하게 줄짓지만, 모두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없음으로 돌아간다. () 없음으로 돌아감 (그것)고요하게 됨이라 일컫는다. () 고요하게 됨(그것)(저절로 그러한) ‘본성을 돌이킴이라 일컫는다. () 본성을 돌이킴 (그것)(저절로 그러한) ‘를 알아차림이라 일컫는다. () 를 알아차림(그것)밝음이라 일컫는다. () (; )를 알아차리지 못하기 때문에, 망령되게 흉함을 일삼게 된다. () 를 알아차리게 되면, 천지와 만물을 품어 안게 된다. 천지와 만물을 품어 안게 되면, 드넓게 트여서 크게 공평하게 된다. 드넓게 트여서 크게 공평하게 되면, 임금과 같이 그 위상이 높여지고 받들어지게 된다. 임금과 같이 그 위상이 높여지고 받들어지게 되면, 하늘과 서로 어울리게 된다. 하늘과 서로 어울리게 되면, 와 서로 아우르게 된다. 와 서로 아우르게 되면, 하늘과 땅과 같이 오래 가게 된다. (그러므로) () 몸이 없어지더라도 (그 성스러운 마음과 그 임금과 같은 위상은) 사라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此承上章要人作靜定工夫, 此示工夫之方法也.

이 장은 앞 장을 잇는 장으로서, “세상 사람들(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가라앉게 하는 공부(工夫; 실천)일삼으라는 것이 요점인데, (다시 말하면) 이 장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가라앉게 하는) 공부 방법方法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致虛極守靜篤者. , 謂推致推窮之意. , 謂外物本來不有. , 謂心體本來不動. 世人不知外物本來不有, 而妄以爲實. 故逐物牽心, 其心擾擾妄動, 火馳而不返. 見利亡形, 見得亡眞, 故競進而不休, 所以不能保此道也.

致虛極, 守靜篤에서, “는 이른 바 (어떤 모양이나 상태가) 이동하거나 바뀌어서 (다른 모양이나 상태를) 이루거나 갖춘다, (어떤 수준이나 정도가) 이동하거나 바뀌어서 (그런 수준이나 정도를) 멈추거나 끝낸다는 뜻이다. “는 이른 바 바깥 사물본래本來 있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은 이른 바 마음의 본질본래本來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불교의 표현을 빌리면) 세상 사람들世人은 바깥 사물본래本來 존재하는 바가 아님을 알지 못한 채, 망령되게(;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실재하는 바로 여긴다. 따라서 (그러한) 사물(일부러 일삼아) 쫓아가고, (바깥 사물이 본래 있지 않은 텅 빈) 마음을 (일부러 일삼아) 끌어당기는데, (따라서) 그 마음이 어지러워지고 어지러워지며, (따라서) 망령되게 움직이게 되는데, (비유하면) 불길이 치달아 타올라, (그 본래의 면모로) 되돌아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이로움을 보고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쫓아감으로써 그 본래의) 형상망가뜨리며, ‘얻음(; )을 보고 (그것을 쫓아감으로써 그 본래의) 참된 바어그러뜨리게 되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다투어 나아간 채, 멈추지 못하게 되는데, (이것이 앞 장에서 일컬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그 도를 알고 실천하지 못하는(15)” 이유인 것이다.

 

 

今學道工夫, 先要推窮目前萬物, 本來不有. 則一切聲色貨利, 當體全是虛假不實之事. 如此推窮, 縱有亦無. 一切旣是虛假, 則全不見有可欲之相. 旣不見可欲, 則心自然不亂. 而永絶貪求, 心閑無事. 如此守靜, 可謂篤矣. 故致虛要極, 守靜要篤也.

(따라서) 지금, () 실천(工夫; 방법)에 대한 배움에 있어서, 먼저 눈 앞에 보이는 만물萬物본래本來 존재하는 바가 아님(을 아는 것)이름推窮(무엇보다) 중요하다. 그와 같이 되면, (세상 사람들이 실재하는 바로 여기는) 모든一切 소리’, ‘색깔’, ‘재화’, ‘이로움’, (그리고) 본질본래부터 텅 빈 바이자, (일부러 일삼아) 꾸며진 바로서, (본래부터) 실재하는 바(; things·event)가 아니게 된다. 그와 같이 되면如此推窮, 따라서 있음이 또한 없음이 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소리’, ‘색깔’, ‘재화’, ‘이로움’) 모두一切본래부터 텅 빈 바이자 (일부러 일삼아) 꾸며진 바인데, 따라서 (그것들을) 본래부터 실재하는 바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할만한可欲 으로 여기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소리’, ‘색깔’, ‘재화’, ‘이로움그것들은 모두 본래부터 실재하지 않는 바로서) 본래부터 일부러 일삼고자 할만한 (으로 여겨질) 바가 아닌데, 따라서 () 마음이 (일부러 일삼아 끌어당겨짐으로써, 그 본래의 면모를 잃어버리지 않은 채) 저절로 그러하게自然 되고, (따라서 그 마음이) 어지럽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침내 일부러 일삼아 구함이나 찾음을 끊어버리게 되고, (따라서 그) 마음이 한가로워지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이 (그 마음의) “고요함을 지킴”, (그것을) “도탑게 함이라 일컬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자) “텅 빔에 이름致虛에 있어서, () “극점에 다다름이 중요하고, “고요함을 지킴守靜에 있어서, () “도탑게 함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老子旣勉人如此做工夫, 恐人不信. 乃自出己意曰: “我之工夫亦無他述, 唯只是萬物並作, 吾以觀其復, 如此而已.”

노자는 위와 같이 세상 사람들에게 그와 같이 공부하기做工夫를 권하면서, (한편으로) 세상 사람들(그와 같은 공부방법을) 믿지 않을까 걱정했다. 따라서 자신의 (말하는 공부방법 그것이) 뜻하는 바 스스로 밝혔는데, 이른 바, “내가 말하는 공부는 또한 다른 방법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오직, 다만, ‘萬物並作, 吾以觀其復이고, 그와 같을 따름이다.”

 

 

並作, 猶言並列於前也. 然目前萬物本來不有, 蓋縱無以生有. 雖千態萬狀, 並列於前, 我只觀得當體全無. 故曰: “萬物並作, 吾以觀其復.” , 謂心不妄動也.

(“萬物並作, 吾以觀其復에서) “並作은 눈앞에 나란히 줄지어 있다(並列; 동일한 부류에 속한다)는 말과 같다. 다시 말하면, 눈앞에 보이는 만물萬物은 본래부터 존재하는 바가 아닌데, 모름지기, 다시 말하면, (그것들은) ‘없음’(을 말미암음)으로써 있음으로 생겨난 바이다. (따라서 만물) 천태만상으로 눈앞에 나란히 줄지어 있을지라도, “나는다만 (그것들의) 본질본래 없음임을 살피고”, 알아차릴 뿐이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萬物並作, 吾以觀其復.” “은 이른 바 () 마음이 망령되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向下又自解之曰: “夫物芸芸, 各歸其根.” 意謂目前萬物雖是暫有, 畢竟歸無, 故云: “各歸其根.” , 謂根本元無也.

() 아래에서 다시 스스로 그것을 풀어서 밝혔는데, “夫物芸芸, 各歸其根이다. 이른 바, 눈앞에 (나란히 줄지어 있는) 만물萬物은 모름지기 잠시 (있음의 모양과 상태를 가지고) 있는 것일 뿐, 끝끝내 마침내 (그 말미암아 생겨난 바인 그) ‘없음으로 되돌아가게 된다는 뜻인데,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各歸其根.” “은 이른 바, “뿌리로서, (있음이 말미암는) 근본이자, (생겨나는) 근원없음을 뜻한다.

 

 

物旣本無, 則心亦不有. 是則物我兩忘, 寂然不動. 故曰: “歸根曰靜, 靜曰復命.”

(따라서 그것을 살피고알아차림으로써) “만물스스로 (그 근본인) ‘없음으로 되돌아가게 되면, () 마음 또한 (그 근원인 없음으로 되돌아가게 됨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가지지 않게 된다. (“만물과 그 마음) 그것들이 (모두) 그렇게 되게 되면, (“만물가 분별되지 않게 됨으로써) “만물모두 (서로를) 잊어버리게 되고, (따라서 그 모두의 마음이) 고요하게 되며, (따라서 그 모두가 망령되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歸根曰靜, 靜曰復命.”

 

 

, 乃當人之自性, 賴而有生者. 然人雖有形, 而形本無形. 能見無形, 則不獨忘世, 抑且忘身. 身世兩忘, 則自復矣. 故云: “靜曰復命.” , 乃眞常之道也. 故云: “復命曰常.”

(“歸根曰靜, 靜曰復命에서) “ 사람의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본성으로서, (그 근본이자 근원인 없음) 말마암아 생겨남있는 바이다. 따라서 사람이 비록 (잠시 그) 형상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 형상(끝끝내 마침내 그) 형상 없음無形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그 형상 있음이 곧) 형상 없음無形임을 알아차린다면, (그 몸이) 홀로 세상을 잊어버리게 되거나 혹은 또한 (그 세상이 홀로 그) 몸을 잊어버리게 되지 않는다. () 몸과 () 세상이 모두 (서로를) 잊어버리게 되는데, 따라서 (그 몸과 세상이 모두) 저절로 (그 마음이 그 고요함을 돌이키게 되고, 따라서 그 몸과 세상이 모두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그 본성) 돌이키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靜曰復命.” (왜냐하면,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그) 본성 (그 사람의) 참된 바로서,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復命曰常.”



人能返觀內照, 知此眞常妙性, 纔謂之明. 故云: “知常曰明.” 由人不知此性, 故逐物妄生, 貪欲無厭. 以取戕生傷性亡身敗家之禍. 故曰: “不知常, 妄作凶.”

사람이 (밖으로 만물을) 돌이켜 살피고”, 안으로 (마음을) 비추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참되고,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하며, (따라서) 오묘한본성알아차릴 수 있어야, 비로소 그것을 밝다라고 일컬을 수 있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知常曰明.” 사람이 그러한 본성을 알아차리지 못하기 때문에, 따라서 (바깥의) 사물(일부러 일삼아) 쫓아가게 되고, “망령되게살아가게 되며, (그것들을) 일부러 일삼아 구하게 되고, 일부러 일삼고자 하게 되며, (그렇게 하기를) 꺼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 삶을 해치고, () 본성다치게 함으로써, 그 몸이 망가뜨려지고, 그 집안이 어그러뜨려지는 를 당하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不知常, 妄作凶.”

 

 

人若知此眞常之道, 則天地同根, 萬物一體, 此心自然包含天地萬物. 故曰: “知常容.”

사람이 만약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참되고,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한 도(; )”를 알아차리게 되면, 하늘과 땅과 () “뿌리를 같이 하게 되고, 만물과 () 몸이 하나되게 되며, 그 마음이 저절로 그러하게 되어서, 하늘과 땅과 만물을 품어 안게 된다包含.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知常容.”



人心苟能廣大如此, 則民吾同胞, 物吾與也. 其心廓然大公, 則全不見有我之私. 故曰: “容乃公.”

사람의 마음이 진실로 () 넓이와 크기가 이와 같이 된다면, ‘백성(; 통치자)’형제와 같이 서로 어울리게 되고同胞, ‘사물(; 사람)’(형제와 같이) 서로 아우르게 된다. (따라서) 그 마음이 드넓게 트인 채, 크게 공평하게되고, 따라서 ()’를 위한 사사로움이 있음을 전혀 알아차릴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容乃公.”

 

 

此眞常大道, 人若得之於內, 則爲聖. 施之於外, 則爲王. 故曰: “公乃王.”

이와 같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참되고,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하며”, (천지와 만물을 품어 안을 정도로 그 트여짐이 드넓고, 사사로움이 있음을 전혀 알아차릴 수 없을 만큼 그 공평함) 큰데, (따라서) 사람이 만약 그것을 안으로 알아차리게 되면, (그 마음이) 성스러워지게 된다. 그것을 밖으로 실천하게 되면, (그 위상이) “임금”(과 같)(받들어지고 높여지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公乃王.”

 

 

王乃法天行事, 合乎天心. 故曰: “王乃天.”

(그러한 도를 안으로 알아차리고, 밖으로 실천하는) “임금따라서 하늘의 움직임일삼음법칙으로 삼는데, (따라서) 하늘의 마음에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王乃天.”



天法道, 合乎自然. 故曰: “天乃道.”

하늘를 법칙으로 삼는데, (따라서 그) 저절로 그러한 바에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天乃道.”

 

 

與天地參. 故曰: “道乃久.”

(노자7장에서 하늘과 땅이 오래간다라고 일컬었다. 따라서 도) 하늘과 땅과 더불어 (오래감) 같이 하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道乃久.”

 

 

人得此道, 則身雖死而道常存. 故曰: “沒身不殆.” , 盡也.

사람이 그러한 도(안으로 알아차리고, 밖으로) 실천하면, (비유하건대, ) 몸은 비록 사라지게 될지라도, (그 안으로 알아차려지고, 밖으로 실천되어진) (; 를 안으로 알아차림으로써 성스러워진 마음과 밖으로 실천함으로써 받들어지고 높여진 위상)는 언제 어디서나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沒身不殆.” “는 멈추거나 끝난다(; )는 뜻이다.

 

 

且此眞常之道, 備在於我. 而人不知返, 乃亡身殉物, 嗜欲而不返, 豈不謬哉.

덧붙여,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참되고,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한” “(이미) (; 사람·사물)에게 갖추어져 있고, 자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 사람들(그것을 돌이켜야 하고, 그것에게) 돌아가야 함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이내 () (; 자신)망가뜨리고, 사물어그러뜨리며, (그렇게 하기를) 일부러 일삼아 즐기고, 일부러 일삼고자 할 , (이미 나에게 갖추어져 있고, 자리하는 도그것을 돌이키거나 그것에게) 돌아가지 않는데, (따라서) 어찌 잘못이 아니겠는가?

 

 

해 설

감산은 노자를 만물의 본성으로 이해했다. 따라서 감산은 본성이 (그 사람의) 참된 바로서,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이다, 乃眞常之道也라거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참되고,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한 (이미) (사람·사물)에게 갖추어져 있고, 자리한다此眞常之道, 備在於我라고 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18장  (0) 2018.12.17
도덕경 감산주 17장  (0) 2018.12.12
초벌번역 : 도덕경 감산주 15장 (일부)  (0) 2018.12.07
도덕경 감산주 14장  (0) 2018.12.01
도덕경 감산주 13장  (0) 2018.11.2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