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18장 본문
18장
大道廢, 有仁義; 智慧出, 有大僞; 六親不和, 有孝慈; 國家昏亂, 有忠臣.
큰 도道가 망가지고 어그러지자, 인의仁義가 생겨났다. 지혜慧智가 드러나자, 큰 거짓僞이 생겨났다. 육친이 화목하지 못하자, 효성孝과 자애慈가 생겨났다. 나라가 혼란하자, 충신이 생겨났다.
此承上章言世道愈流愈下, 以釋其次親之譽之之意也.
이 장은 앞 장을 잇는承 장으로서, 말하자면, (그 시대가) 아래로 내려오면下 올수록 더욱 더 (그) 세상의 도道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었다流는 것인데, (다시 말하면, 이 장은 앞 장의) “其次親之, 譽之”의 뜻을 풀이한 장이다.
大道無心愛物, 而物物各得其所. 仁義則有心愛物, 卽有親疏區別之分. 故曰: “大道廢, 有仁義.”
(만물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 만물과 서로 어울리고 아우르는) 큰 도道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는 마음無心으로써, 만물物을 아끼는데愛, (따라서) 만물物은 모두物 각자各 그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생기고 자라며 시들게 된다(得; 실현). (그러나) “仁義”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있는 마음有心으로써, 만물物을 아끼는데愛, (따라서 만물이 모두 각자) 친해서 가까운 바親나 친하지 않아서 멀어진 바疏로 나뉘고區 갈라져別 분별되게分 된다有.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大道廢, 有仁義.”
智慧, 謂聖人治天下之智巧. 卽禮樂權衡鬥斛法令之事. 然上古不識不知, 而民自樸素. 及乎中古, 民情日鑿. 而治天下者, 乃以智巧設法以治之. 殊不知智巧一出, 而民則因法作奸. 故曰: “智慧出, 有大僞.”
“智慧”는 이른 바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는) 성인이 천하를 다스리는 지혜(智; 본질·내용)와 기교(巧; 작용·방법)이다. 다시 말하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는 성인에 의해서) 일삼아지는(事; 시행) 예악(禮樂; 문화질서), 권형(權衡; 정치질서), 두곡(鬥斛; 경제질서), 법령(法令; 사회질서)이다. 그런데然 (불교의 표현의 빌리면) 아주 먼 옛날上古에는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에게 그와 같은) ‘식識’과 ‘지知’가 없었지만, 사람들은 (통나무처럼) 저절로 그러하게自 “투박하고 소박했다(樸素 : 19장).” (그) 다음 시대中古에 이르자, 사람들의 실정(情; 마음·몸, 의지·행위)이 (그와 같은 ‘식識’과 ‘지知’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그것들을 말미암게 되며,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됨으로써) 날로 어지러워졌다鑿. 따라서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者; 성인)은 이내 (그와 같은) 지혜와 기교로써, 그리고 (그와 같은) 법령法을 시행함設으로써 그것을 바로잡게 되었다治. (그런데) 모름지기殊, (사람들이 그와 같은) 지혜智와 기교巧를 (본래) 알지 못하다가 (이내 그것이) 한 번 드러나게 되면出, 사람들人은 곧바로 (그) 법령法을 말미암아因 (그 허점을 간파하고 그것에 대응한 채, 그 법령을 피하기 위해서) 거짓됨奸을 일삼게 된다作.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智慧出, 有大僞.”
上古雖無孝慈之名, 而父子之情自足. 及乎衰世之道, 爲父不慈者衆, 故立慈以規天下之父. 爲子不孝者衆, 以立孝以敎天下之子. 是則孝慈之名, 因六親不和而後有也.
아주 먼 옛날上古에는 모름지기雖 (일부러 일삼은) 이름으로서 “효성孝”과 “자애慈”가 없었지만, “부모父”와 “자식子” 사이의 실정情이 저절로 그러하게自 충족되었다足. (그런데) 세상의 도道가 망가지고 어그러짐衰에 이르자, “부모父”로서 (저절로 그러하게) 자애롭지慈 못한 자들이 많아졌는데, 따라서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자애慈”를 받듦立으로써 천하의 “부모父”로 하여금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본받도록 하게 되었다規. (또한) “자식子”으로서 (저절로 그러하게) 효성스럽지孝 못한 자들이 많아졌는데, (따라서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효성孝”을 받듦立으로써 천하의 “자식子”으로 하여금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배우도록 하게 되었다敎. 요컨대是則,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여진) “효성孝”과 “자애慈”라는 이름은, “육친이 화목하지 못함”을 말미암은因 (바로서, “육친이 화목하지 못한”) 다음에 (비로소) 생겨난 바인 것이다.
蓋忠臣以諫人主得名. 上古之世, 君道無爲而天下自治. 臣道未嘗不忠, 而亦未嘗以忠立名. 及乎衰世, 人君荒淫無度, 雖有爲而不足以治天下. 故臣有殺身諫諍, 不足以盡其忠者. 是則忠臣之名, 因國家昏亂而有也.
무릇, “충신忠臣”이라는 이름은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人主에게 간諫함으로써 얻게 되는 바이다. (그런데) 아주 먼 옛날上古之世에는,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君은 무위無爲를 (다스림을 주관하는) 이치로 삼았지만道, 천하가 저절로 그러하게自 (잘) 다스려졌다. 그리고 또한 신하는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이거나 받든 바로서의 “충성스러움忠”이 아니라, 저절로 그러한 바로서의 “충성스러움忠”을 (다스림을 보좌하는) 이치로 삼았다道. (그런데 세상의 도道가) 망가뜨려지고 어그러뜨려진衰 시대에 이르자,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人君의 (다스림을 주관하는 이치道가) 망가지고荒 어그러짐淫이 돌이킬 수 없게 되었는데無度, (따라서) 모름지기雖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으로써 다스린다 할지라도, 천하를 다스려 내기에 부족하게 되었다. 따라서 (또한 모름지기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다스림을 주관하는 이치를 돌이키도록) 신하가 목숨을 바쳐서 간쟁諫諍한다 할지라도, 그 “충성스러움忠”을 이루기盡에 부족하게 되었던 것이다. 요컨대是則,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여진) “충신忠臣”이라는 이름은, “나라가 혼란해짐”을 말미암아因 (생겨난 바이자, “나라가 혼란해진” 다음에 비로소) 생겨난 바인 것이다.
此老子因見世道衰微, 思復太古之治, 殆非憤世勵俗之談也.
이와 같이, 『노자』는 세상의 도道가 망가지고衰 어그러지는微 모습을 지켜보면서, (그리고 그것을) 말미암아因, 아주 먼 옛날太古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했던) 다스림을 떠올리고思 돌이켰는데復, (따라서 이 장은) 적어도殆 (그러한) 세상을 헐뜯거나憤 (그러한) 세태를 나무라는勵 이야기는 아닌 것이다.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20장 (일부) (0) | 2018.12.28 |
---|---|
도덕경 감산주 19장 (0) | 2018.12.22 |
도덕경 감산주 17장 (0) | 2018.12.12 |
도덕경 감산주 16장 (0) | 2018.12.09 |
초벌번역 : 도덕경 감산주 15장 (일부) (0) |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