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17장 : 가장 높은 수준의 다스림의 조건은 백성 또는 그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한 충분한 믿음이다 본문
제 17 장
태상부지유지太上不知有之, 기차친이예지其次親而譽之, 기차외지其次畏之, 기차모지其次侮之. 신부족信不足, 유불신有不信. 유혜猶兮! 기귀언其貴言. 공성사수功成事遂, 백성개위아자연百姓皆謂我自然.
가장 높은 수준(의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에서는 (백성이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 그것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그 아래 수준에서는 (백성이) 그것을 아끼고 기리며, 그 아래 수준에서는 (백성이) 그것을 두려워하고, 그 아래 수준에서는 (백성이) 그것을 업신여긴다. (백성 또는 그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한 통치자의) 믿음이 부족하고, (통치자 혹은 그 다스림에 대한 백성의) 믿지 못함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신중하구나! 그 (“太上”의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이) 말言을 귀하게 여기는 모습이. 공功이 이루어지게 하고, 일이 풀려지게 하지만, (그 말言을 귀하게 여기기 때문에) 백성은 모두 “나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에 따랐(을 뿐이)다”라고 일컫는다.
(백성 또는 그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한 통치자의) 믿음이 충분하면, (백성이) 저절로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을) 믿게 되고, (스스로 따르게 된다. 따라서 통치자 자신 또는 그 다스림에 의해서 “공功이 이루어졌다”거나 “일이 풀려졌다”는) “말言”이 필요 없게 된다. (그러나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의) “믿음이 부족하면”, (백성의) “믿지 못함이 생겨나게 되고”, 따라서 (그) “말言”이 쓸모없게 된다. 따라서 (“太上”의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과 같이, 그) “말言을 귀하게 여긴” 채, 그 (백성의) “공功이 이루어지게 하고” “일이 풀려지게 하면”, 백성은 (그) “말(言;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의 권위)”에 대해서 의지하지 않게 되고,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해서 신뢰하게 되는 것이다. (요컨대, “太上”인) “不知有之”(실현)의 관건은 (통치자 또는 그 다스림의 백성 혹은 그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한) ‘충분한 믿음’인 것이다(信足, 則自信, 不待言也. 信不足, 而有不信, 則無所用言. 故貴言, 及其功成事遂, 則百姓無待乎言, 而信乎自然. 不知有之, 信足故也).
【해 설】
노자의 “귀하게 여긴다貴”는 말은 ‘아낀다’는 의미이다.
노자가 말한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는 본성 내지 “본성의 명령(命 : 제16장)”을 의미한다.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19장 : 저절로 그러한 "성스러움", "지혜로움", "어짊", "의로움" (0) | 2018.07.12 |
---|---|
"초원담노" 제18장 : 사람으로서의 정서를 거스르면서까지 (0) | 2018.07.09 |
"초원담노" 제16장 : 만물이 살아가는 곳, 살아가는 때, 그것에 오묘함이 있다 (0) | 2018.07.03 |
"초원담노" 제15장 : 즐거움과 편안함은 진실로 이름을 어그러뜨린다 (0) | 2018.07.02 |
"초원산책" 제14장 : 도道, 그것은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다 (0) | 2018.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