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16장 : 만물이 살아가는 곳, 살아가는 때, 그것에 오묘함이 있다 본문
제 16 장
치허극致虛極, 수정독守靜篤. 만물병작萬物竝作, 오이관기복吾以觀其復. 부물운운夫物芸芸, 각복귀기근各復歸其根. 귀근왈정歸根曰靜, 정왈복명靜曰復命, 복명왈상復命曰常. 지상왈명知常曰明. 부지상不知常, 망작흉妄作凶. 지상知常, 용容. 용내공容乃公, 공내왕公乃王, 왕내천王乃天, 천내도天乃道, 도내구道乃久. 몰신불태沒身不殆.
텅 빔에 이르기를 지극히 하고, 고요함을 지키기를 도탑게 하라. 만물은 각자 살아가는데, 나는 그것으로써 되돌아감을 살핀다. 무릇, 만물은 각자 살아가지만, 모두 그 뿌리로 되돌아간다. (그) 뿌리로 되돌아감 (그것)을 ‘정靜’이라 일컫고, ‘정靜’ (그것)을 (그) 본성의 명령에 따름이라 일컬으며, (그) 본성의 명령에 따름 (그것)을 ‘상常’이라 일컫는다. (그) ‘상常’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일컫는다. (그) ‘상常’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에) 어긋난 채, 흉함을 일으킨다. (그) ‘상常’을 알면, (만물을) 품어 안아 어울리지 못하는 바가 없게 된다容. ‘容’하면 더 없이 넓은 공평함에 이르게 되고公, ‘公’하면 두루 미치지 못하는 바가 없음에 이르게 되며王, ‘王’하면 하늘(의 덕스러움德)과 같아짐에 이르게 되고天, ‘天’하면 도道를 체득하게 되며 (도道와) 크게 어울리게 되고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빔과 없음의 끝점에 이르게 되며道, ‘道’하면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살아감이) 멈추지 않고 (그것이) 끝나지 않음에 이르게 된다久. (그러므로) 죽을 때까지 위태롭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 (만물이) 각자 살아가는 ‘곳(형상)’, (그 만물이) 각자 살아가는 ‘때(상태)’, (그 ‘곳’과 그 ‘때’ 그것으)로부터 “復命”과 “歸根”의 오묘함이 생겨난다. (그) ‘때’에 “守靜”과 “致虛”가 지극하게 되고 도탑게 되는 길道이 있고, (그) ‘곳’에 (제1장의) “常有”와 “常無”가 “현묘함”을 드러내는 “문門”이 있다. 그렇지 않다면, (만물이) “각자 살아가는” 일은 “흉함을 일으키는” 일이 되고, “텅 빔에 이르기를 지극하게 하고” “고요함을 지키기를 도탑게 하는” 일은 어리석고 쓸데없는 일이 되는데, (그렇지 않다면, “竝作”과 “芸芸”, “守靜”과 “致虛”, 그것이) 어떻게 (제1장의) 그 “미묘함”과 “오묘함”을 “살피는” 바탕과 방법이 되겠는가? (方其竝作, 芸芸之時, 自有復命歸根之妙. 在此爲, 守靜致虛之要道. 方, 是常有常無之玄門. 不然, 則芸芸爲妄作, 而虛靜爲頑空, 何所觀其徼妙哉?)
【해 설】
노자가 말한 “텅 빔에 이름致虛”과 “고요함을 지킴守靜”은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에 있어서,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안함 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르지 않음을 비유한다. 다시 말하면, “텅 빔에 이름致虛”과 “고요함을 지킴守靜”은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에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 : 제1장)”나 “일부러 일삼는 바(爲 : 제2장)”가 “없는(無 : 제3장)” ‘만물’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를 비유하는 것이다.
노자가 말한 “竝”은 뒤에 있는 “作”의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나란하다’ 또는 ‘가지런하다’는 뜻으로서, 본성, 본성의 명령에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노자가 말한 “竝”은 만물에 대한 도道의 근원성 또는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로서의 내재성, 만물의 자기 원인성 혹은 자기 충족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노자가 말한 “觀”은 ‘감각(시각)’을 통한 ‘앎(知)’으로서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르는 “萬物竝作”을 대상으로 삼는 반면, “復”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르는 ‘지각(추론)’을 통한 ‘앎(知)’으로서 “復歸其根”을 대상으로 삼는다.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18장 : 사람으로서의 정서를 거스르면서까지 (0) | 2018.07.09 |
---|---|
"초원담노" 제17장 : 가장 높은 수준의 다스림의 조건은 백성 또는 그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한 충분한 믿음이다 (0) | 2018.07.04 |
"초원담노" 제15장 : 즐거움과 편안함은 진실로 이름을 어그러뜨린다 (0) | 2018.07.02 |
"초원산책" 제14장 : 도道, 그것은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다 (0) | 2018.06.26 |
"초원담노" 제13장 :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내버리고 저절로 그러한 바를 남겨놓은 다음에야 (0) | 201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