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41장 왕필주 "높은 수준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부지런히 실천한다" 본문
제 41 장
상사문도上士聞道, 근이행지勤而行之.
중사문도中士聞道, 약존약망若存若亡. 하사문도下士聞道, 대소지大笑之. 불소不笑, 부족이위도不足以爲道. 고건언故建言, 유지有之.
명도明道, 약매若昧.
진도進道, 약퇴若退.
이도夷道, 약뢰若纇.
상덕上德, 약곡若谷.
대백大白, 약욕若辱.
광덕廣德, 약부족若不足.
건덕建德, 약투若偸.
질진質眞, 약투若渝.
대방大方, 무우無隅.
대기大器, 만성晩成.
대음大音, 희성希聲.
대상大象, 무형無形.
도道, 은隱, 무명無名. 부유도夫唯道, 선대善貸, 차성且成.
높은 수준의 선비가 도道를 들으면, 부지런히 실천한다.
중간 수준의 선비가 도道를 들으면, 반신반의한다. 낮은 수준의 선비가 도道를 들으면, 크게 웃는다. (낮은 수준의 선비가 듣고서) 웃지 않는다면, 도道가 되기에 부족하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전해 오는 말이 있는 것이다.
“밝은 도道는 어두운 듯하다.”
“도道에 나아감은 물러나는 듯하다.”
“평탄한 도道는 울퉁불퉁한 듯하다.”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德은 계곡과 같이 깊다.”
“아주 결백한 것은 욕된 것 같다.”
“아주 넓은 덕스러움德은 부족한 듯하다.”
“견실한 덕스러움德은 변변치 않은 듯하다.”
“아주 참된 것은 그저 그러한 듯하다.”
“크게 평평한 것은 모남이 없다.”
“큰 그릇은 때늦게 이루어진다.”
“큰 소리는 잘 들을 수 없다.”
“큰 모양은 잘 볼 수 없다.”
도道는 뚜렷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름 붙일 수 없다. (그러나) 오직 도道만이 잘 빌려주며, (잘) 이룬다.
上士聞道, 勤而行之.
(“勤而行之”는) 마음속에 품는다는 말이다(有志也).
【해 설】
왕필이 말한 “志”는 마음 밖에 “내버려 두지”(舍 : 제39장 왕필주) 않는다는 의미이다.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 不足以爲道. 故建言, 有之.
“建”은 제정한다는 말과 같다(建, 猶立也).
明道, 若昧.
(어두운 듯한 것은) 빛나지만, 번쩍이지 않기 때문이다(光, 而不耀).
【해 설】
왕필주 “光, 而不耀”는 뚜렷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은 만물 각자의 움직임이나 일삼음,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함과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하며 어울리기”(同通 : 제40장 왕필주) 때문이다.
進道, 若退.
(물러나는 듯한 것은) “그 몸을 뒤에 둔 채, 앞으로 밀어 붙이거나, (그 몸을) 앞에 둔 채, 뒤로 잡아당기지 않으며, 그 몸을 밖에 둔 채, 안으로 밀어 넣거나, (그 몸을) 안에 둔 채, 밖으로 끌어당기지 않기(제7장)” 때문이다(後其身, 而身先, 外其身, 而身存).
【해 설】
왕필주 “後其身, 而身先, 外其身, 而身存”은 “同通”(제40장 왕필주)에 대한 다른 표현이다.
夷道, 若纇.
“纇”는 울퉁불퉁하다는 말이다. 크게 평탄한 도道는 만물 (각자)의 본성性을 따른다因.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평탄함을 붙잡음으로써 만물을 나누지 않는다. (따라서) 그 평탄함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乃 바꾸어更 거꾸로反 “若纇”라는 것인데, 울퉁불퉁해 보인다는 뜻이다(纇, 坎也. 大夷之道, 因物之性. 不執平以割物. 其平, 不見. 乃更反若纇, 坎也).
【해 설】
왕필주 “不執平以割物”에서 執과 割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는 것을 비유한다.
왕필주 “因物之性”은 “同通”(제40장 왕필주)에 대한 다른 표현이다.
上德, 若谷.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德이 계곡과 같이 깊은 것은 그것은) “낮은 수준의 덕德과 다르(기 때문이)다(제38장).” 그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德은 마음에 품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不德. 其德, 無所懷也).
【해 설】
노자가 말한 “上德”은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의미한다.
왕필주 “無所懷”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고자 하거나 지각하고자 하거나 의지하고자 하거나 행위하고자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大白, 若辱.
(욕된 듯한 것은) “하얀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키기(제28장)” 때문이다. (마음을 쓰고 행위하는 데 있어서) 어떤 일부러 일삼고자 함도 없게 되고大, 어떤 일부러 일삼음도 없게 된白 다음에야, 그렇게 될 수 있다(知其白, 守其黑. 大, 白, 然後乃得).
【해 설】
노자가 말한 “大白”은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의미한다.
왕필이 말한 “大白”은 언제 어디서나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과 “함께 하거나”(同 : 제40장 왕필주), 만물 각자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과 “어울리거나”(通 : 제40장 왕필주), “만물 (각자)의 본성에 따르는因物之性” 것으로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또는 감각하고자 하거나), 지각하거나(또는 지각하고자 하거나), 의지하거나(또는 의지하고자 하거나), 행위하지(또는 행위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廣德, 若不足.
(부족한 듯한 것은) “廣德”은 (일부러 일삼아 자신을) 채우지盈 않기 때문이다. (“廣德”은) 드넓게 트여서 모양이 없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자신을) 채울滿 수도 없다(廣德, 不盈. 廓然, 無形, 不可滿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廣德”은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의미한다.
왕필주 “廓然無形”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지 않는 상태 또는 모습을 비유한다. 다시 말하면, 언제 어디서나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과 “함께 하거나”(同 : 제40장 왕필주), 만물의 움직임이나 일삼음과 “어울리거나”(通 : 제40장 왕필주), “만물의 본성에 따르는因物之性” 상태 또는 모습을 의미하는 것이다.
建德, 若偸.
“偸”는 변변치 않다는 말이다.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德”을 굳건하고 착실하게 실천하는 사람은 만물 (각자)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를 따른다. (일부러 일삼을 바를) 제정하거나立, 시행하지施 않는다. 따라서 “若偸”라는 것인데, 변변치 않은 듯하다는 것이다(偸, 匹也. 建德者, 因物自然. 不立, 不施. 故若偸, 匹也).
【해 설】
왕필주 “建德者”에서 建을 健으로 간주했다.
왕필주 “不立, 不施”에서 立은 일부러 일삼아 준수해야할 법령처럼 제정한다는 의미이며, 施는 일부러 일삼아 수행해야할 정책처럼 시행한다는 의미로서, 立과 施 모두 통치자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른 감각, 지각, 의지, 행위를 전제로 삼는다.
質眞, 若渝.
아주 참된 사람은 그 참됨을 자랑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저 그러한 듯한 것이다(質眞者, 不矜其眞. 故渝).
大方, 無隅.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은 만물을) 평평하게 대하며, 나누지 않는다. 따라서 “모남이 없는” 것이다(方而不割. 故無隅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大方”은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의미한다.
왕필주 “方, 而不割”에서 方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른다는 의미가 아니라,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다는 의미로서, 제5장 “以萬物爲芻狗”와 의미가 통한다.
왕필주 “故無隅也”에서 隅는 허물, 잘못, 결점, 모자람, 부족함 등을 의미한다.
大器, 晩成.
“大器”는 천하를 이룬다. (그런데) 하나로 모아서 합침이나全 하나씩 나누어 가름別을 견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반드시 때늦게 이루는 것이다(大器成天下. 不持全別. 故必晩成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大器”는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의미한다.
왕필주 “不持全別”에서 全과 別은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성, 변화성, 자기 원인성 내지 자기 충족성을 무시한 채,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왕필주 “故必晩成也”에서 晩은 全과 別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그 이루는 데 걸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는 의미이다.
大音, 希聲.
(노자는 제14장에서) “聽之不聞, 名曰希”라고 했다. (도道가 내지르는) 소리音는 잘 들어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잘 들어볼 수 있는 소리聲는 나누어질 수 있다. 소리가 나누어진다는 것은 (예를 들면) ‘궁宮’ 아니면 ‘상商’(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나누어질 수 있는 것은 모두를 아우를 수 없다. 따라서 (잘 들어볼 수 있어서 나누어질 수 있는) 소리聲는 (도道와 같이 잘 들어볼 수 없어서 나누어질 수 없는) “큰 소리音”가 아닌 것이다(聽之不聞, 名曰希. 不可得聞之音也. 有聲, 則有分. 有分, 則不宮與商矣. 分, 則不能統衆. 故有聲者, 非大音也).
【해 설】
왕필이 말한 音은 ‘내지른’ 소리를 의미하며, 聲은 ‘들리는’ 소리를 의미한다.
왕필주 “有聲則有分”에서 分은 왕필주 “不持全別”에서 別과 의미가 통한다.
왕필주 “有分則不宮與商矣”에서 宮과 商은 동양 음악에서 쓰이는 다섯 가지 음률에 해당하는 이름인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를 말한다.
왕필주 “分, 則不能統衆”에서 衆은 어떠한 기준에 따라서 나누어진 것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것까지 포괄하는 ‘전체’를 의미한다.
大象, 無形.
잘 살펴볼 수 있는 모양形은 나누어질 수 있다. 모양이 나누어진다는 것은 (예를 들면) ‘따뜻한 것’ 아니면 ‘뜨거운 것’, ‘뜨거운 것’ 아니면 ‘차가운 것’(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나누어질 수 있는 모양象이 있거나 잘 살펴볼 수 있는 모양形이 있는 것은 (도道와 같이 잘 살펴볼 수 없어서 나누어질 수 없는) “큰 모양”이 아닌 것이다(有形, 則有分, 有分者, 不溫則炎, 不炎則寒. 故象而形者, 非大象).
道, 隱, 無名. 夫唯道, 善貸, 且成.
무릇, 위와 같은此 모든 “善”은 도道가 이루는 바이다. (나누어질 수 있는) 모양象으로 치자면 “큰 모양”이지만, “큰 모양”은 (잘 살펴볼 수 있는) 모양形이 없다. (내지르는) 소리로 치자면 “큰 소리”이지만, “큰 소리”는 잘 들어볼 수 없다. 만물이 그것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만물은) 그 이루어지게 하는 모양形을 잘 살펴볼 수 없다. 따라서 (살펴보거나 들어보거나 만지더라도)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며, (따라서) “이름 붙일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을 빌려준다”는 것은 그 (덕스러움德이) 부족할 때 한 번唯 채워준다는 것이 아니다. 한 번一 그것을 빌려주면 그 덕스러움德이 마쳐질 때까지 오래도록 만족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잘 빌려준다”고 한 것이다. 그것을 이루는 데 있어서 장인匠이 하듯이 마름질 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모양形을 갖지 못하거나 그 모양을 갖추게 하지 못하는 사물物이 없다. 따라서 “잘 이룬다”고 한 것이다(凡此諸善, 皆是道之所成也. 在象則爲大象, 而大象無形. 在音則爲大音, 而大音希聲. 物以之成, 而不見其成形. 故隱而無名也. 貸之, 非唯供其乏而已. 一貸之, 則足以永終其德. 故曰善貸也. 成之, 不如機匠之裁. 無物而不濟其形. 故曰善成).
【해 설】
왕필주 “皆是道之所成也”에서 成, 왕필주 “而不見其成形”에서 形, “則足以永終其德”에서 德은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의미한다.
왕필주 “貸之, 非唯供其乏而已. 一貸之, 則足以永終其德”은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이 만물 각자의 움직임이나 일삼음,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와 언제나 “함께 하며(同 : 제40장 왕필주)” 어디서나 “어울리는(通 : 제40장 왕필주)” 것으로서 만물 각자에 내재함을 암시하는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왕필주 “不如機匠之裁”는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성, 변화성, 자기 원인성 내지 자기 충족성을 무시한 채,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하나로 모아서 합치거나 하나씩 나누어 가르는” 것을 의미한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43장 왕필주 "천하에서 가장 부드러운 것이 천하에서 가장 딱딱한 것을 부린다" (0) | 2017.12.17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2장 왕필주 "도는 하나와 함께 살고, 하나는 둘과 함께 살며, 둘은 셋과 함께 살고, 셋은 만물과 함께 산다" (0) | 2017.12.1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0장 왕필주 "되돌아감이 도의 움직임이다" (0) | 2017.12.16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9장 왕필주 "옛날에 하나를 얻어서 된 것들이 있다" (0) | 2017.12.15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8장 왕필주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과 낮은 수준의 덕은 다르다" (0) | 2017.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