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39장 왕필주 "옛날에 하나를 얻어서 된 것들이 있다" 본문
제 39 장
석지득일자昔之得一者.
천天, 득일이청得一以淸. 지地, 득일이영得一以寧. 신神, 득일이령得一以靈. 곡谷, 득일이영得一以盈. 만물萬物, 득일이생得一以生. 후왕侯王, 득일이위천하정得一以爲天下貞. 기치지其致之.
천天, 무이청無以淸, 장공렬將恐裂.
지地, 무이영無以寧, 장공발將恐發. 신神, 무이령無以靈, 장공헐將恐歇. 곡谷, 무이영無以盈, 장공갈將恐竭. 만물萬物, 무이생無以生, 장공멸將恐滅. 후왕侯王, 무이고귀無以貴高, 장공궐將恐蹶. 고귀이천위본故貴以賤爲本, 고이하위기高以下爲基. 시이후왕자위고과불곡是以侯王自謂孤·寡·不穀. 차비이천위본사此非以賤爲本邪? 비호非乎? 고치삭여무여故致數輿無輿, 불욕록록여옥不欲琭琭如玉, 락락여석珞珞如石.
옛날에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된 것들이 있다.
하늘은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맑아졌다. 땅은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안정되었다. 혼백神은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신령스러워졌다. 계곡은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신령스러움이) 채워졌다. 만물은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살아가게 되었다. 제후侯와 임금王은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천하를 바르게 할 수 있었다. (모두,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그렇게 되었다.
(그러므로) 하늘이 맑아짐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는 것은 장차 (그) 찢어질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땅이 안정됨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은 것은 장차 (그) 쪼개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혼백이 신령스러움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은 것은 장차 (그) 사라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계곡이 채워짐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은 것은 장차 (그) 말라버리게 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만물이 살아감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은 것은 장차 (그) 없어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제후와 임금이 고귀함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은 것은 장차 (그) 잃어버리게 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귀함은 천함으로써 바탕을 삼고, 높음은 낮음으로써 토대를 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후와 임금은 자신을 ‘고아와 같은 사람’, ‘덕스러움德이 부족한 사람’, ‘잘 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일컫는 것이다. 이것은 천함으로써 바탕을 삼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지 않은가? (그러므로) 명예 있음輿은 명예輿 없음無에 이르는 시작점數이기 때문에, (일부러 일삼아) 영롱한 소리를 내는 옥玉이 되거나, (일부러 일삼아) 반짝이는 돌石이 되고자 하지 않는 것이다.
昔之得一者.
“昔”은 ‘시작점’을 뜻한다. “하나一”는 (생겨나는 만물) ‘숫자數’의 ‘시작점’이자, 만물의 (되돌아가는) 끝점極이다. (만물) 각자는 “하나一”가 낳은生 바이다是. (이것이 “하나一”가 만물 각자의) 근원主이 되는 이유이다. 만물은 모두 각자 이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만물 각자는) 이루어진 다음, (그 “하나一”를) 내버려 둠舍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은) 이룸에 머물게 된다. (그러나 그) 이룸에 머물게 되면, 그 ‘어미’를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모두 “찢어지게 되고”, “쪼개지게 되며”, “사라지게 되고”, “말라버리게 되며”, “없어지게 되고”,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昔, 始也. 一, 數之始, 而物之極也. 各, 是一物之生. 所以爲主也. 物皆各, 得此一以成. 旣成, 而舍以居成. 居成, 則失其母. 故皆裂發歇竭滅蹶也).
【해 설】
제16장 “夫物芸芸, 各復歸其根”을 참조할 때, 왕필주 “數之始”에서 數가 “芸”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면, “物之極”에서 極은 “根”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왕필이 말한 “物”과 “各”은 노자가 말한 “天·地·神·谷·萬物·侯王”을 의미한다.
왕필주 “物皆各, 得此一以成”에서 成은 다음의 세 가지를 함축한다. 첫째, 만물 또는 세계는 관계한다. 이 때, ‘관계한다’는 것은 영향을 주거나 받는다는 의미이다. 둘째, 만물 또는 세계는 변화한다. 이 때, ‘변화한다’는 것은 운동한다, 작용한다, 활동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와 변화는 스스로 혹은 저절로 그러하다. 이 때, ‘스스로 혹은 저절로 그러하다’는 것은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이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成은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적·변화적 존재양태와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 존재양식을 내포하는 것이다.
왕필주 “旣成, 而舍以居成”에서 舍는 마음 밖에 ‘내버려 둔다’는 뜻으로 ‘마음속에 품거나居’ “따르지”(法 : 제25장) 않는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舍以居成은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르지 않는 만물 또는 세계의 상태 혹은 모습을 의미한다. 반면에 旣成은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르는 만물 또는 세계의 상태 혹은 모습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旣成은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라서 관계적이고, 변화적이며, 자기 원인적 또는 자기 충족적인 만물 또는 세계를 의미하는 반면, 舍以居成은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르지 않아서 관계적이지 못하고, 변화적이지 못하며, 자기 원인적 또는 자기 충족적이지 못한 만물 또는 세계를 의미한다.
왕필주 “居成, 則失其母”에서 成은 “하나一”를 마음 밖에 내버려 둔 채, 마음 속에 품거나 따르지 않는 모습 내지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은 바를 의미하며, 母는 “하나一”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왜 “物皆各, 得此一以成”하는데, “旣成, 而舍以居成”하게 되는가. 무엇 때문에 만물 또는 세계는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르지 않게 되는가. 무엇이 만물 또는 세계로 하여금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르지 못하게 만드는가. 그것은 만물 또는 세계가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으로 관계하거나 변화하는 데 있어서 “각자”가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각자가 모여 이룬 무리로서 “모두”가 합의하는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또는 감각하고자 하거나), 지각하며(또는 지각하고자 하며), 의지하거나(또는 의지하고자 하거나) 행위하기(또는 행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자” 또는 “모두” 사이의 관계가 단절되게 되고, 변화가 중단되게 되며,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이지 못하게 됨으로써 “찢어지게 되고”, “쪼개지게 되며”, “사라지게 되고”, “말라버리게 되며”, “없어지게 되고”,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天, 得一以淸. 地, 得一以寧. 神, 得一以靈. 谷, 得一以盈. 萬物, 得一以生. 侯王, 得一以爲天下貞. 其致之.
(“天”, “地”, “神”, “谷”, “萬物”, “侯王”) 각자 그 “하나一”(를 얻음으)로써 그렇게 되었다. (하늘은) 맑아졌고, (땅은) 안정되었으며, (혼백은) 신령스러워졌고, (계곡은) 채워졌으며, (만물은) 살아가게 되었고, (제후와 임금은) 천하를 바르게 했다(各, 以其一, 致此. 淸, 寧, 靈, 盈, 生, 貞).
【해 설】
왕필주 “各, 以其一, 致此”에서 以其一은 “天”, “地”, “神”, “谷”, “萬物”, “侯王” 각자가 그 “하나一”를 마음에 품거나 따르는 상태 혹은 모습을 의미한다.
天, 無以淸, 將恐裂.
(하늘은) “하나一”를 일삼음用으로써 맑아졌을 따름이다. (그) 맑게 됨을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맑아진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하늘이) “하나一”를 지키면, (그) 맑아짐을 잃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 맑게 됨을 (일부러) 일삼으면, 찢어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늘은) 그(렇게 되게 하는) ‘어미’를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두 그(렇게 되는) 것功을 (일부러) 일삼지 말아야 하는無 것이며, 그(렇게 되게 하는) ‘근본’을 잃어버리게 될 것을 두려워해야 하는 것이다(用一以致淸耳. 非用淸以淸也. 守一, 則淸不失. 用淸, 則恐裂也. 故爲功之母, 不可舍也. 是以皆無用其功, 恐喪其本也).
【해 설】
왕필주 “用一以致淸耳”에서 用一과 “守一, 則淸不失”에서 守一은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른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非用淸以淸也”에서 用淸은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르지 않은 채,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한다는 의미이다.
地, 無以寧, 將恐發. 神, 無以靈, 將恐歇. 谷, 無以盈, 將恐竭. 萬物, 無以生, 將恐滅. 侯王, 無以貴高, 將恐蹶. 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侯王自謂孤·寡·不穀. 此非以賤爲本邪? 非乎? 故致數輿無輿,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맑게 하면, 맑아질 수 없다.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채우면, 채워질 수 없다. 모두 그 ‘어미’를 가짐有으로써 그 모양새를 지닐存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맑음은 귀하다고 하기에 부족하며, (일부러 일삼은) 채워짐은 많다고 하기에 부족하다. 귀함(의 근본)은 그 ‘어미’가 지니고 있는데在, ‘어미’는 (그 근본을 내버려 둔 채, 일부러 일삼은) 모양새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따라서 그 ‘어미’가 지니고 있는) 귀함은 이내 (일부러 일삼은) 천함의 바탕이 된다. 높음은 이내 낮음의 토대가 된다. 따라서 “명예 있음輿이 이내 명예輿 없음無에 이르는 시작점數”이라고 한 것이다. 옥玉은 맑은 소리를 내며 돌石은 밝게 빛난다. (그러나) 맑은 소리나 밝게 빛나기 때문에於形 깨지거나 깎인다體盡. 따라서 “(맑게 소리 나거나 밝게 빛나)고자 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淸, 不能爲淸. 盈, 不能爲盈. 皆有其母以存其形. 故淸不足貴, 盈不足多. 貴在其母, 而母無貴形. 貴乃以賤爲本. 高乃以下爲基. 故致數輿乃無輿也. 玉石琭琭珞珞. 體盡於形. 故不欲也).
【해 설】
왕필주 “皆有其母以存其形”에서 有는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른다는 의미이고, 母는 “하나一”를 의미하며, 形은 淸과 盈을 의미하고, 存은 노자가 말한 “얻음得”이나 “이루어짐成”을 의미한다.
왕필주 “貴在其母”는 “하나一”를 마음속에 품거나 따름으로써 귀해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故致數輿乃無輿”에서 輿는 譽를 가차假借한 것으로 간주했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42장 왕필주 "도는 하나와 함께 살고, 하나는 둘과 함께 살며, 둘은 셋과 함께 살고, 셋은 만물과 함께 산다" (0) | 2017.12.17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1장 왕필주 "높은 수준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부지런히 실천한다" (0) | 2017.12.16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0장 왕필주 "되돌아감이 도의 움직임이다" (0) | 2017.12.16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8장 왕필주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과 낮은 수준의 덕은 다르다" (0) | 2017.12.15 |
"화정장씨원본진왕필주" 노자 도덕경을 풀이해 보았고, 연재를 해 보고 싶습니다...! (0) | 2017.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