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집착 (9)
독립출판 무간

02. 천하개지天下皆知 天下皆之章, 卽是第二大段, 第一章, 廣明道法. 此章所以次前者, 前章明有無二觀, 麄妙不同. 故次此章, 卽顯無爲之能, 有爲之弊. 就此章中, 義分爲兩. 第一, 明凡情, 執滯, 顚倒, 生迷. 第二, 顯聖智, 虛凝, 忘功, 濟物. 천하개지 장은 (상권을 크게 나눈 세 단락 중) 두 번째 큰 단락의 첫 번째 장으로서, 도道의 실현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장이 앞 장의 다음에 놓인 까닭은 (자연 곧 도道 곧 만물의 본성 곧 리理 곧 교敎를 실천하는) “유욕有”과 “무욕無”의 2가지 방법觀과 (그) 차이不同에 대한 앞 장의 설명이 거칠고 어렴풋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 장의) 다음에 놓인 이 장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의 효능能과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의 병폐弊에 대해 설명한다. (요컨대)..
"저는 외로운 마음이 많고 모든 사람에게 관심과 사랑을 받고 싶어 합니다. 남자에게 사랑받고 싶고, 실연당하면 우울해지고 폭식을 합니다. 좋아하는 남자 앞에서는 너무 심하게 떨어서 머리가 아플 정도입니다. 다섯 살 때 아버지가 말도 없이 엄마와 이혼하고 사라진 것에 대한 원망이..
누구든 쓸데없는 대답을 해 버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들은 것이 자기도 모르게 입력되어 싫은 자극이 살아나면 그 자극에 '반발하라'는 명령이 내려와 반사적으로 말이 튀어나온다. 어느 날, 상사가 "이제 슬슬 그 일을 맡아서 해결하지 그래?"라고 말했다고 치자. 이 말이 ..
최근, 우리나라에도 아름다운 삶을 의미하는 ‘웰빙(Well-being)’을 넘어,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를 위한 의미 있는 죽음’을 뜻하는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사는 것’만을 고민해왔으나, 이제는 삶 이후의 아름다운 죽음을 ..
왜 현대인들은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일까? 그것은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공복 상태에서 먹으면 기본적인 생존에 필요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배가 고프기도 전에 과자를 먹거나 식사시간이 되었기 때문에 습관저긍로 밥을 먹는다. 물론 먹는 목적 자체..
버릴 수 없어 두는 것이 늘어날수록 기억의 데이터 베이스도 점점 복잡해지고 기억할 수 없는 것도 늘어난다. 기억할 수 없는 것이 늘어나면 현재 자기 마음의 상태를 인식하는 능력, 자신의 마음을 구석구석까지 넓게 훑어보는 능력, 자기 통제 능력이 줄어들게 된다. 그것은 자기 마음 ..
나는 자전거를 정원에 세워둘 떄 자물쇠를 채우지 않는다. 그래서, 그런지 가끔씩 도둑맞기도 한다. 하지만, 그 때마다 '누군가가 그 자전거를 가지고 있겠지'하고 편하게 마음먹는다. 돈을 잃어버렸을 때에도 '우와, 도대체 얼마를 잃어버린 거야, 큰 일 났다!'라고 생각하지 않고, '아..
불교에서 말하는 '보시'도 결국은 버리는 행위이다. 즉 자신이 집착하고 있는 것을 가장 뜻있는 일을 위해 버리는 것이다. 돈이란 아주 강하게 자아를 자극한다. 나는 이만큼 돈을 가지고 있으니까, 이만큼 마음이 편하고, 이만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늘 더 많은 돈을 가졌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