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15장. 옛날에 도를 온전하게 알아차리고 실천했던 사람은... 본문

권재산책

노자권재구의 15장. 옛날에 도를 온전하게 알아차리고 실천했던 사람은...

독립출판 무간 2019. 12. 28. 09:17


古之善爲士 15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 不可識. 夫惟不可識, 故强爲之容. ! 若冬涉川. ! 若畏四鄰. ! . ! 將釋. 敦兮! , 若樸. 曠兮! , 若谷. 渾兮! , 若濁. 孰能濁以靜, 之徐淸? 孰能安以久, 之徐生? 保此道者, 不欲盈. 夫惟不盈, 是以能敝不新成.

옛날에 () 온전하게 알아차리고 실천했던 사람은 미묘하고 오묘하며 어슴푸레하게 (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졌다. (다시 말해, 에 대한 알아차림과 실천함, 그것이 미묘하고 오묘하며 어슴푸레하게) 깊었다. (다시 말해, 그것의 미묘하고 오묘하며 어슴푸레한 깊이를) 알아챌 수 없었다. 무릇, 오직, (그것을) 알아챌 수 없는데,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말과 글로써) 담아낼 뿐이다. 머뭇거리는구나! 겨울철 (살얼음이 낀) 시내를 건너는 사람처럼. 주저하는구나! (자신을 포위한) 사방의 적군을 경계하여 함부로 일삼음을 가지지 않는 사람처럼. 얽히고 설킨듯하구나! 자유롭지 못한 손님처럼. 풀어지고 흩어지는구나! 얼음이 장차 (물을 얽히고 설켰던 냉기를) 풀고 흩는 때처럼. (와 더불어) 두텁구나! 그것이 통나무와 같다. (에 더불어) 이르렀구나! 그것이 계곡과 같다. (와 더불어) 뒤섞였구나! 그것이 흙탕물과 같다. 그 누가 탁함의 가운데 있으면서 고요함으로써, (탁함) 그것이 서서히 맑아지게 할 수 있는가? 그 누가 움직이지 않음의 가운데 있으면서 (가만히 놓아둠을) 오래 가게 함으로써, (맑음) 그것이 서서히 생겨나게 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이치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채우고자 하지 않는다. 무릇, 오직, (일부러 일삼아) 채우지 않음, 이것이 해지더라도 (일부러 일삼아) 새롭게 하지 않음으로써, ‘(를 온전하게) 알아차리고 실천함이다.

此章, 形容有道之士.



이 장은 (본질이자 작용인 바로서의 ”, 다시 말해 무위無爲이자 자연自然인 바로서의)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 “사람”(의 움직이고 일삼는 모습)상징形容한다.

 

 

通於玄微妙. 可謂深於道矣.

(본질이자 작용인 바로서의 ”, 다시 말해 무위無爲이자 자연自然인 바로서의 실천하는” “사람) “어슴푸레함”, “미묘함”, “오묘함(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진다.” (따라서 그러한 사람) “(대한 알아차림실천함) “깊다라고 일컬을 수 있다.

 

 

而無所容其識知. 惟其中心之虛. 不知, 不識. 故其容之見外者, 皆出於無心. 故曰: 强爲之容.

따라서 (그러한 알아차림실천함”) 그것을 (안으로) “담아서(; 함축)” 알아채거나(; 이해)” (밖으로 펼쳐서) 드러낼(; 표현) 방법이 없다. (다시 말해, “무릇”) “오직”, (그러한 알아차림”)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마음이 텅 빔을 근본으로 삼는다. (따라서 그러한 알아차림그것은 밖으로 펼쳐서) 드러나지 못하고, (그러한 실천함그것은 안으로 담겨서”) “알아채이지” “못한다.” 다시 말해, (그러한 알아차림”) 그것이 (안으로) “담겨서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바(; “실천함”), 무릇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비어) 없는 마음이 (안으로 담겨서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바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무릇, 오직, 그러한 알아차림실천함을 밖으로 펼쳐서 드러내기 위해) 일부러 일삼아 (말과 글로써) 그것을 담아낼 뿐이다.”

 

 

豫兮以下, 乃是形容有道者之容. 自是精到. 冬涉川, 難涉之意也. , 容與之與也. 遲回之意也. , 夷猶也. 若人之畏四隣. 而不敢有爲也. 客者, 不自由之意. , 凝定也. , 舒散也. 若氷之將釋. 似散. 而未散也. , 厚也. , 渾然之意也. , 達也. , 虛也.

豫兮!” 이하는 무릇 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사람(움직이고 일삼는) 모습을 상징한다. (다시 말해, “豫兮!”) 이것으로부터 (그러한 모습에 대한 상징, 그것이) 자세하게 시작된다. “冬涉川건넘어렵게 여긴다는 뜻이다. “(한 번 건넘) 더불어 하고 (다시 그것과) 더불어 하는 모습이다. (다시 말해, “건너는 데”) 머뭇거린다遲回는 뜻이다. “주저한다(夷猶; 夷由)(는 뜻)이다. “비유컨대”, (포위된 중앙의) 사람이 사방의 적군(敵軍; )을 경계하는모습이다. 다시 말해, (그러한 사람이) 함부로 (어떠한 움직임이나) 일삼음을 가지지 않는 모습이다. “(움직이거나 일삼는 데 있어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뜻이다. “얽히고설킨다(는 뜻)이다. “은 풀어지고 흩어진다(는 뜻)이다. “비유컨대” “얼음장차 풀어지고 흩어지려고 하는 때이다.” (다시 말해, “얼음이내물로) “흩어지려고 하는때와 같다. (다시 말해, “얼음아직물로) “흩어지지않은 때와 같다. (다시 말해, “얼음이 물로 흩어지기 직전의 때와 같다. 다시 말해, 물을 얽히고 설켰던냉기冷氣풀어지는때와 같다) “은 두텁다(는 뜻)이다. “(“어우러지고 아우러진하나로서) “뒤섞여그러하다는 뜻이다. “은 이른다() 뜻이다. “은 텅 비운다(는 뜻)이다.

 

 

渾兮! , 若濁. 澄之. 而不淸. 撓之. 而不濁也.

(노자가 일컬은 바) “渾兮! , 若濁.” (여기서, “) 맑다(는 뜻)이다. 그러나 (그러한 맑음은 탁함이 전혀 없는) “맑음이 아니다. (다시 말해, “맑음탁함뒤섞여그러한 맑음이다. 다시 말해, 어슴푸레한 맑음이다. 여기서, “) “탁하다(; )”(는 뜻)이다. 그러나 (그러한 탁함맑음이 전혀 없는) “탁함이 아니다. (다시 말해, “탁함맑음뒤섞여그러한 탁함이다. 다시 말해, 어렴풋한 탁함이다)

 

 

於濁之中, 而持之以靜, 則徐而自淸. , 不動也. 安之而久, 徐徐而動. 故曰: 徐生. 孰能者, 言孰能若此乎? , 優游之意也. 此兩句, 只是不淸不濁. 不動不靜. 濁中有淸. 動中有靜耳.

(노자가 일컬은 바,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之徐生?” “비유컨대”, 물이) “탁함의 가운데 있을 때, “그것(그대로) 가만히놓아두면, “서서히저절로맑아진다.” (일부러 일삼아)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비유컨대”, 물의 탁함”) 그것을 움직이지 않게 하고”, (그렇게 함을) “오래 가게 하면”, “서서히” “서서히” (물의 맑음”, 그것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서서히 (‘맑음) 생겨난다.” “孰能누가 이와 같이 할 수 있는가?”라는 이다. “서서히優游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之徐生?”) 이 두 문장은 무릇 “(일부러 일삼아) 맑아지지도 말고 (일부러 일삼아) 탁해지지도 말라. (일부러 일삼아) 움직이지도 말고 (일부러 일삼아) 고요하지도 말라. 탁함 가운데 맑음이 있다(일부러 일삼아 탁해졌다면 저절로 그러한 맑음으로 되돌아가라). 움직임 가운데 고요함이 있다(일부러 일삼아 움직였다면, 저절로 그러한 고요함으로 되돌아가라)”(는 뜻)일 따름이다.

 

 

不欲盈者, 虛也. 敝故也. 保此道者, 其中常虛. 則但見故. 而不新.

不欲盈(일부러 일삼아 채우고자 하는 마음을) 텅 비운다(는 뜻)이다. (일부러 일삼아 채우면, “비유컨대자루가 찢어져) “해지기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치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 사람(“비유컨대자루) 그것의 가운데가 언제 어디서나 텅 비게 한다. 왜냐하면, 무릇 (“해지는”) 까닭을 살피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릇 해지더라도일부러 일삼아) “새롭게 하지 않는다.”

 

 

此便是, 首章所謂: 常道. 處敝而不新, 則千載如一日矣. 能加此而後, 爲道之大成. 是以能敝不新. 是一句. 成是一句.

(덧붙여) 이것이 무릇 1장이 일컫는 바 常道이다. (따라서) “해지더라도” (일부러 일삼아) “새롭게 하지 않음에 머묾, (그것은) 무릇 천년이 하루 같아야 한다. 그와 같이 한 이후에야, (본질이자 작용인 바로서의 ”, 다시 말해 무위無爲이자 자연自然인 바로서의) “일삼음(; ‘알아차림’·‘실천함’)”온전하게(; )”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能敝不新.” (이 장에서 노자가 전하고자 하는 바) 이 한 문장이다. (따라서) 이 한 문장을 (“온전하게) “알아차리고 실천해야 한다(;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