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17장. "나는 저절로 그러하다." 본문
太上 17
太上, 下知有之. 其次, 親之, 譽之. 其次, 畏之. 其次, 侮之. 故信不足焉, 有不信. 猶兮! 其貴言. 功成事遂, 百姓皆曰: 我自然.
아주 먼 옛날, 천하 사람들은 임금이 있음을 알았다. 그 아래의 시대에 이르자, 천하 사람들은 임금에 대해 아끼고, 기리는 마음을 가지기 시작했다. 다시, 그 아래의 시대에 이르자, 천하 사람들은 임금에 대해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기 시작했다. 다시, 그 아래의 시대에 이르자, 천하 사람들은 임금에 대해 업신여기는 마음을 가지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에 대해 참되게 여기거나) 미덥게 여김이 충분하지 못하고, (참되게 여기지 않거나) 미덥게 여기지 않음을 가지기 때문이다. 주저하는 듯했다! (자신을 포위한 사방의 적군을 경계하여 함부로 일삼음을 가지지 않는 사람처럼, 아주 먼 옛날, 임금이) 그 말을 귀하게 여겼던 모습. (그러므로 아주 먼 옛날, 임금의) 공功이 이루어지고, 일이 일삼아졌지만, 천하 사람들은 무릇 일컬었다. “나는 저절로 그러하다.”
太上, 言上古之世也. 下, 天下也. 上古之時, 天下之人, 但知有君而已. 而皆相忘. 於道化之中.
“太上”은 말하자면 “아주 먼 옛날”의 때世이다. “下”는 (말하자면) “천하 사람들(天下; 百姓)”이다. “아주 먼 옛날”의 때時, “천하 사람들天下之人”은 무릇 임금이 “있음을 알았을” 따름이다. 다시 말해 무릇 (도道가 만물을 살아가게 하지만, 만물의 살아감에 대해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텅 비우듯, 임금은 “천하 사람들”을 살아가게 하지만, “천하 사람들”의 살아감에 대해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텅 비움으로써, 임금과 “천하 사람들”) 서로가 (서로를) 잊어버렸다. 다시 말해 (임금과 “천하 사람들” 서로가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도道가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는化 가운데 자리했다中.
及其後也, 民之於君, 始有親譽之意. 又其後也, 始有畏懼之意. 又其後也, 始有玩侮之意.
“그 아래(後; 次)”(의 시대)에 이르자, “천하 사람들民”이 임금에 대해 “아끼고親” “기리는” 마음意을 가지기 시작했다. 다시, “그 아래”(의 시대에 이르자), (“천하 사람들”이 임금에 대해) “두려워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기 시작했다. 다시, “그 아래”(의 시대에 이르자), (“천하 사람들”이 임금에 대해) “업신여기고” 업신여기는 마음을 가지기 시작했다.
此, 言世道愈降愈下矣. 上德, 旣衰. 誠信之道, 有所不足. 故天下之人, 始有不信之心. 此, 商人作誓, 民始叛, 周人作會, 民始疑之意. 民旣不信矣,
이것은 세상世의 도(道; 본성)가 이미愈 어그러지고降 이미 망가졌다下는 말이다. (다시 말해, 이것은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따라서 참되게 여기거나 “미덥게 여김”의 수준이) 높은 덕스러움(德; 본성)이 이미旣 사그라들었다衰(는 말이다). (다시 말해, 이것은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도(道; 본성)에 대해 참되게 여기거나 “미덥게 여김信”이 (무릇) “충분하지 못한” 바를 가지게 되었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천하 사람들天下之人”이 (무릇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에 대해 참되게 여기지 않거나) “미덥게 여기지 않는” 마음을 가지기 시작했다(는 말이다). 이것이 (이른바) “은(殷; 商)나라 제후들人이 (애첩愛妾 달기妲己의 미모에 빠져 주색을 즐기는 등 폭정을 일삼던 주紂임금을 쫓아내자는) 맹세誓를 하고作, 천하 사람들民이 (임금의 위상에) 등을 돌리기叛 시작했으며, 주周나라 제후들이 (애첩 포사褒似를 즐겁게 하기 위해 거짓 봉화를 올리는 등 폭정을 일삼던 유왕幽王을 쫓아내고자) 회합會을 갖고作, 천하 사람들民이 (임금의 위상을) 의심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殷人作誓, 而民始畔. 周人作會, 而民始疑: 『예기禮記』 「단궁하檀弓下」 第四).” (다시 말해, 이것은 이른바) “천하 사람들民”이 무릇 (임금의 위상을) “미덥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而爲治者, 猶. 安然以言語爲貴. 故有號令敎詔之事, 豈不愈重民之疑乎? 猶, 夷, 猶也. 猶兮!, 乃安然之意.
따라서 다스림을 일삼는爲 사람(者; 임금)은 (15장이 일컬은 바, 자신을 포위한 사방의 적군을 경계하여 함부로 일삼음을 가지지 않는 사람처럼) “주저해야 한다.”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가짐이 ‘없은 채’) 잠잠하고 조용하게安 그러하게然 말을 하거나言 글을 씀語이 “귀함”이 되게 해야 한다. 다시 말해, (다스림을 일삼는 사람으로서 일부러 일삼는 마음을 가짐이) ‘있은 채’ 부르거나號 시키거나令 가르치거나敎 알리는詔 일事, 어찌豈 더욱愈 거듭重 “천하 사람들民”을 의심하게 하는 일이 아니겠는가? “猶”는 (15장이 일컬은 바, 그 형태나 상태가) “또렷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모습夷”, (다시 말해) “주저하는 (것처럼 보이는) 모습猶”(을 뜻하는 말)이다. “猶兮!”는 무릇乃 (15장이 일컬은 바) “잠잠하고 조용하게” 그러하다는 뜻이다.
太上之時, 功旣成矣. 事旣遂矣. 天下之人, 陰受其賜. 而不自知. 皆曰: 我自然. 如此所謂: 帝力, 於我何加? 是也.
“아주 먼 옛날”, (임금의) “공功”이 무릇 “이루어졌다.” (임금의) “일事”이 무릇 “일삼아졌다遂”. (그러나 임금은 그것을 일부러 일삼지 않았다. 따라서 그것의 형태나 상태가 또렷하거나 뚜렷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천하 사람들”은 형태나 상태가 또렷하거나 뚜렷하지 않은陰 그러한 (임금의) 덕스러움(賜; 德, 功·事)을 받았다.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그것을) 스스로 알아차리지 못했다.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무릇 일컬었다.” “나는 저절로 그러하다.” 비유컨대, 이것은 이른바 “임금의 힘(力; 功·事)이 나에게 무엇을 더했겠는가? (帝力, 於我何有哉? : 『제왕세기帝王世紀』 「격양가擊壤歌」)”이다.
旣謂貴言之. 非? 而以此一句結之. 是傷今, 而思古也.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바) 무릇 이른바 “貴言.” 아닌가? (따라서 노자는 “我自然.”) 이 한 문장으로써 (이 장을) 끝맺었다. (그것이) 어그러지고 망가진傷 ‘지금’, 따라서 “아주 먼 옛날古”을 돌이켜야 한다思.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19.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을 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을 멀리하면" (0) | 2020.01.06 |
---|---|
노자권재구의 18. "큰 도가 망가지고 어그러지면" (0) | 2020.01.03 |
노자권재구의 16. "일부러 일삼는 마음이 없는 텅 빔의 극점에 이르라." (0) | 2019.12.30 |
노자권재구의 15장. 옛날에 도를 온전하게 알아차리고 실천했던 사람은... (0) | 2019.12.28 |
노자권재구의 14장. 도 그것은 살피더라도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없다. (0) | 2019.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