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벌번역, "초원담노" 제63장... "머물러라,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으로써. 가르쳐라, 말이 아닌 바로써..." 본문

초원산책

초벌번역, "초원담노" 제63장... "머물러라,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으로써. 가르쳐라, 말이 아닌 바로써..."

독립출판 무간 2018. 11. 21. 13:47


63

 

 

, 무위無爲. , 무사無事. , 무미無味. 대소다소大小, 多少. 보원이덕報怨以德. 도난우기이圖難其易. 위대우기세爲大其細. 천하난사天下難事, 필작우이必作. 천하대사天下大事, 필작우세必作. 시이성인是以聖人, 종부위대終不爲大. 고능성기대故能成其大. 부경락夫輕諾, 필과신必寡信. 다이多易, 필다난必多難. 시이성인是以聖人, 유난지猶難之. 고종무난故終無難.

 

머물러라,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으로써. 가르쳐라, 이 아닌 바로써. 맛을 내라, 재료 본래의 맛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작게 보이더라도 크게 여기고, (일부러 일삼음이) 적게 보이더라도 많게 여겨라. 원망을 갚음으로써 덕스럽게 되라. 어려운 일은 쉬운 것에서부터 도모하고, 큰 일은 그 작은 것에서부터 일삼아라.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것으로부터 시작되고, 천하의 큰 일은 반드시 작은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언제나 큰 것에서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을 이루는 것이다. 무릇, 가볍게 허락하다 보면, 반드시 믿음이 적어지게 된다. 쉽게만 대하다 보면, 반드시 아주 어려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오히려 그것을 어렵게 여긴다. 그러므로 언제나 어려움이 없게 되는 것이다.

 

 

(노자가 말한) “大小(‘일부러 일삼고자 함) ‘작게보이더라도 오히려 크게여기라는 뜻이다. “多少(‘일부러 일삼음) ‘적게보이더라도 오히려 많게여기라는 뜻이다. 모두,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 삼가고, 아끼라는 뜻이다. 이 문구의 大小는 다음 문구의 大細와 더불어 (그 뜻이) 비슷하고 서로 넘나든다. 왜냐하면, 이 문구는 () ‘형상(아직) 작을 때 (나중에 그것이) 크게 되었을 때처럼 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다음 문구는 () ‘실정(아직)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을 때 (나중에 그것이)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었을 때처럼 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 뜻을 살펴보면 (그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大小, 視小, 猶大也. 多少, 視少, 猶多也. , 愼嗇之義. 此言大小, 如下大細, 似相濫. , , 以形之粗小言. , 以情之著微言. 尋義, 可見).

 

(노자가 말한) “報怨以德은 자공子貢이 말한 以德報怨과 말하는 방식을 더불어 (같이) 하지만, () 뜻이 같지 않다. 자공이 말한 뜻은 원망으로써 원망을 갚지 않는다는 것으로서, 덕스러움으로써 (‘원망’) 그것을 갚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렇게 하는 그 덕스러움형상실정) ‘두텁다라고 일컬을 수 있다(報怨以德, 與子貢, 以德報怨, , 不同. 子貢, 不以怨報怨, 而以德報之. 可謂厚矣).

 

(그런데) 공자孔子가 답한 뜻은, ‘원망으로써 원망을 갚는 일은 서로가 (그렇게) 갚음으로써 (서로에게) ‘착하지 못함이 되는 일로서, 군자가 할 만한 일이 아니고, 오직 마땅함으로써 바르게해야 하는데, 만약 (‘원망) 갚음(형상실정’)이 덕스러우면, 마땅히 서로에게 (그렇게 원망) 갚음으로써 (서로가) 덕스러워지게되고, 그렇게 된 다음에, (덕스러움형상실정이 서로) 두터워지게 된다는 것이다(孔子答意, 以怨報怨, 相報以惡, 非君子之事, 唯宜以直, 若報德者, 宜相酬以德, 然後, 爲厚也).

 

노자玄聖의 도본래 (5장의 천지天地와 같이 불인不仁하기 때문에, 일부러 일삼아) ‘원망을 갚음으로써 덕스러워지게함이 없다. (설령, 일부러 일삼아) ‘원망을 갚음으로써 덕스러워지게 함이 있을지라도 (그러한 때조차), (16장에서와 같이) 오직 더 없이 넓은 공평함에 이르게 됨이 있게 하고,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서) ‘바르게 됨이 있게 한다. (따라서 노자가 말한) ‘원망을 갚음(형상실정’)이 또한 (공자가 말한 원망을 갚음의 형상실정’) 그것과 다르지 않다. 왜냐하면, 공자(의 도)가 추구하는 것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서로에게 (그렇게) 갚음으로써 (서로가) 덕스러워지게 되는일로서, 또한 마땅히 (노자의 도가 하는 것처럼) ‘더 없이 넓은 공평함이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서) ‘바르게 됨’(이 있게 하는 것)을 거스르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자의 도와 공자의 도모두) (‘덕스러움) 두터워짐에 이르게 되고 (그것에) 머물게 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노자와 공자가 그 말하는 방식’) 그것은 같지 않지만, (뜻하는 내용으로서) 는 곧 (노자와 공자가 다르지 않은) 하나인 것이다(玄聖之道, 本無怨德. 報德, 唯有公直. 報怨, 亦不異是. 然則, 孔子之欲, 相酬以德者, 亦當不違於公直, 而憗處其厚也. , , 不同, 而道, 則一也).

 

해 설

초원이 인용한 以德報怨의 출전은 다음과 같다.論語,憲問, “或曰, 以德報怨, 何如? 子曰, 何以報德. 以直報怨, 以德報德.”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