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4장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4장

독립출판 무간 2018. 11. 3. 01:52



4

 

 

道沖, 而用之或不盈. 淵兮! 似萬物之宗.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湛兮! 似或存.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는 텅 비어 있지만, (천지만물) 그것을 일삼는 데, (텅 빔 그것을) 남기지 않는 듯하다. 연못과 같구나! 만물의 근원인 것 같다. (그러므로 텅 빈 도그것을 알아차림으로써) 그 날카로움을 꺾어라. 그 얽힘을 풀어라. 그 빛남을 누그러뜨려라. 그 티끌과 함께 하라. (연못과 같이) 맑구나! (그것은) 언제나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 같다. 나는 (그것이)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하겠다. 조물주보다 앞서는 것 같다.

 

 

此贊道之體用微妙, 而不可測知也.

이 장은 도본질(; 이치·自然)작용(; 일삼음·無爲)이 미묘하고 오묘하며, (따라서 그것들이) 헤아리거나 알아차리기 어려움을 설명한 장이다.

 

 

, 虛也. , 充滿也. , 靜深不動也. , 猶依歸也. 謂道體至虛, 其實充滿天地萬物. 但無形而不可見, 故曰: “用之或不盈.” 道體淵深寂漠, 其實能發育萬物, 而爲萬物所依歸. 但生而不有, 爲而不宰, 故曰: “似萬物之宗.” , , 皆不定之辭. 老子恐人將言語爲實, 不肯離言體道, 故以此等疑辭以遣其執耳.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텅 비어 있다(는 말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전혀 없다)는 뜻이다.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전혀 없이) 가득 차게 하고 넘치게 한다(는 말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을 텅 비운 채, 비롯되게 하고 이루어지게 한다)는 뜻이다. “은 고요하고 깊(은 연못과 같아서 일부러 일삼지 않는)다는 뜻이다. “말미암고 되돌아가는 바가 된다는 말과 같다. 이른 바, 본질지극한 텅 빔인데, (따라서 도) 그것정말로 (지극한 텅 빔 그것으로써) 천지만물을 가득 차게 하고 넘치게 한다. 따라서 (그 일삼음의) 모양이 없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을) 알아차기기 어려운 것인데, 따라서 (천지만물의 비롯되게 하고 이루어지게 함) 그것을 일삼음에 있어서 (그 본질을 모자라게 하거나) 남기지 않는 듯하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본질연못과 같이 깊고 고요한 채 (일부러 일삼아) 일삼지 않지만, 그것정말로 (천지)만물을 생겨나게 하고 자라나게 하는데, 따라서 (천지)만물이 말미암고 되돌아가는 바가 된다. 따라서 (는 천지만물을) “생겨나게 하지만 소유되게 하지 않고, 이루어지게 하지만 주도되게 하지 않는데(51)”, 따라서 “(천지)만물의 근원인 것 같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듯하다같다는 말들은 모두 단정斷定하지 않는 말들이다. 노자(후세의 배우는) 사람들이 (“연못이나 근원과 같이 단정지은) 말들言語정말(로 도의 실상이나 실정)인 줄로 안 채, ‘(그러한) 말들멀리함으로써 도(의 실상과 실정)알아차려야 함을 부정할까 걱정했는데, 따라서 (“듯하다같다”) 그것들과 같이 단정하지 않는 말들로써 (그들로 하여금) 그러한 잘못으로부터 벗어나게 했던 것일 따름이다.



, 卽剛勇精銳. 謂人剛銳之志, 勇銳之氣, 精銳之智, 此皆無物可挫. 唯有道者能挫之, 故曰: “挫其銳.”

는 곧 (일부러 일삼아 단단하고) 굳세며, (일부러 일삼아 날쌔고) 과감하며, (일부러 일삼아 빈틈이 없고) 세밀한 날카로움을 뜻한다. 이른 바, 사람이 의지(일부러 일삼고자 함으로써 단단하고) 굳세서 날카롭고’, 기운(일부러 일삼고자 함으로써 날쌔고) 과감해서 날카로우며’, 지혜(일부러 일삼고자 함으로써 빈틈이 없고) 세밀해서 날카로우면’, 누구도 그것들을 꺾을 수 없다. 오직,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의 본질과 작용)알아차린 사람만이 그것들을 꺾을 수 있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함이 없이 텅 빈 도의 본질과 작용을 알아차림으로써) 그 날카로움을 꺾어라고 일컬은 것이다.

 

 

如子房之博浪, 其剛勇可智, 大索天下而不得, 其精銳可知. 此其無可挫之者, 唯見挫於圯上老人一草履耳. 由子房得此而進之於漢, 卒以無事取天下.

예를 들어, (진시황秦始皇박랑사博浪沙에서 암살하고자 일으켰던) 자방(장량張良, 미상~BC.189)의 박랑 사건에서, () 지혜가 (단단하고) 굳세며 (날쌔고) 과감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것이 실패로 끝나자 진시황이 그를 잡아 죽이기 위해서) 천하를 샅샅이 뒤졌지만, 그렇게 할 수 없었던 일에서, () 지혜가 (빈틈 없고) 세밀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그의 지혜) 그것은 누구도 꺾을 수 없는 것이었는데, 오직 흙다리 위에서 짚신 하나를 신고 있었던 노인(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지혜로움)에 의해서 (그의 지혜가) 꺾이는 모습을 보게 될 따름이다. (이후) 자방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지혜로움) 그것을 알아차려서, 나라에서 그것을 펼쳤는데, 마침내 일부러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다스림으로써 천하를 통일하였다.

 

 

吾意自莊周以下, 而功名之士, 得老氏之精者, 唯子房一人而已. 以此較之, 周善體而良善用, 方朔得之, 則流爲詭矣. 其他何足以知之.

내가 생각하기에, 장자莊周이후, 을 이루고 이름을 떨친 사람들 중, 노자老氏종지(; 自然·無爲)알아차린 사람, 오직 자방 한 사람일 뿐이다. (노자老氏의 종지를 알아차림) 그것으로써 (을 이루고 이름을 떨친) 그들을 비교해 보면, 장자(그 저절로 그러한) 본질(; 이치)(보다) 알아차렸고, 자방은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작용(; 일삼음)(보다) 알아차렸으며, 방삭(동방삭東方朔, BC.154~BC.93)은 그것을 알아차렸지만, 기이한 언행(; 有爲)일삼는 데로 흘렀다. 그 외의 사람들은 어찌 그것에 대해서 알아차렸다고 하기에 충분하겠는가?

 

 

, 謂是非紛擾. 卽白氏衆口之辯也. 然各是其是, 各非其非, 此皆無人解之者. 唯有道者, 以不言之辯而解之. 所謂大辯若訥. 以道本無言, 而是非自泯, 故曰: “解其紛.”

은 이른 바 옳음과 옳지 않음이 (서로) 얽혀서 어지럽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모두 한 마디씩 자기 생각을 꺼내 놓는 모습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모두 자신이 옳은 것으로 여기고자 하기 때문에 옳은 것이라 외치고, 모두 자신이 옳지 않은 것으로 여기고자 하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라 외치는 모습을 의미하는데, 이와 같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음으로써 서로) 얽혀서 어지러운 모습은 어떠한 누구도 풀어 헤치지 못한다. 오직,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알아차린 사람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 로 하지 않는 논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실천)로써 그것을 풀어 헤칠 수 있다. (따라서) 이른 바, “아주 훌륭한 논변은 어눌한 듯한(45)” 것이다. (를 알아차림으)로써 논변하는 사람이 오직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 말로써 논변하지 않음, (그것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 말로써 논변한) 옳음과 옳지 않음은 저절로 뒤섞여 (어지러워)지기 때문인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도의 본질과 작용을 알아차림으로써) 그 얽힘을 풀어라고 일컬은 것이다.

 

 

, 混融也. , 智識炫耀於外. 卽所謂飾智驚愚, 修身明汙者, 是也. 唯有道者, 韜光內照, 光而不耀. 所謂衆人昭昭, 我獨若昏. 衆人察察, 我獨悶悶. 故曰: “和其光.” 與俗混一而不分. 正謂呼我以牛, 以牛應之. 呼我以馬, 以馬應之. 故曰: “同其塵.”

(하나로) 섞여 (서로) 어우러진다는 뜻이다. “지혜智識가 밖으로 (드러나게) 빛나고 (눈부시게) 번쩍인다耀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 이른 바, “(일부러 일삼아 자신의) 지혜꾸며서 (남들의) 어리석음을 드러내고, (일부러 일삼아 자신의) 몸을 닦아서 (남들의) 더러움을 드러낸다는 말이 그 뜻이다. (따라서) 오직,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의 본질과 작용)알아차린 사람만이 (밖으로 드러나는) 빛남을 감추고, 안으로 (자신을) 비추게 하는데, (안으로) 빛나지만 (밖으로) 번쩍이게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른 바, “사람들은 밝고 밝은데, 나만 홀로 어두운 것 같다. 사람들은 살피고 살펴서 잘 아는데, 나만 홀로 흐릿하고 흐릿해사 잘 모른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도의 본질과 작용을 알아차림으로써) 그 빛남을 누그러뜨려라고 일컬은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과 더불어 섞여서 하나가 되고, (그들을) 분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이) 나를 라 이름 지어 부르면, (그것을 분별하지 않은 채) ‘라 이름 붙여진 사람으로서 그들과 어우러진다. (사람들이) 나를 이라 이름 지어 부르면, (그것을 분별하지 않은 채) ‘이라 이름 붙여진 사람으로서 그들과 어우러진다(呼我牛也, 而謂之牛. 呼我馬也, 而謂之馬: 장자莊子, 천도天道)”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도의 본질과 작용을 알아차림으로써) 그 티끌과 함께 하라고 일컬은 것이다.

 

 

然其道妙用如此, 變化無方. 而其體則湛然不動, 雖用而無跡. 故曰: “湛兮或存.” 要妙如此, 而不知其所從來. 故曰: “吾不知誰之子.” 且而不是有形之物, 或象帝之先耶. , 卽天帝. , 或似也.

요컨대, 의 그 작용(; 일삼음)이 오묘하기가 이와 같은데, (천지만물을) 비롯되게 하고 이루어지게 하지만(變化; 無爲), () 모양(; 有爲)이 없(어서 알아차리기 어렵). () 본질(이 미묘하기가 이와 같은데, 그것)(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맑아서 움직이지 않는不動 듯하지만, 모름지기 일삼음(; 無爲)은 있지만, () 흔적(; 有爲)이 없(어서 알아차리기 어렵). 따라서 (연못과 같이) 맑구나!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 같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의 본질과 작용, 그것들이) 오묘(하고 미묘)한 이유가 이와 같은데, (따라서 그것들이) 말미암아 생겨나는 바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나는 (그것이)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하겠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또한, (그것들은) 모양이 있는 사물(; things·event)이 아닌데, (따라서 도그것은) 정말로 조물주보다 앞서는 것 같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는 바로 조물주를 뜻한다. “정말로 그런 것 같다는 말이다.

 

 

愚謂此章贊道體用之妙, 且兼人而釋者. 蓋老子凡言道妙, 全是述自己胸中受用境界. 故愚亦兼人而解之. 欲學者知此, 可以體認做工夫. 方見老子妙處. 宇宇皆有指歸, 庶不肖虛無孟浪之談也.

(다시 한 번 말하는 것이) 어리석(은 일이 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 번) 말하면, 이 장은 도본질작용의 오묘함(과 미묘함)설명한 장인데, (노자는 후세의 배우는) 사람들(이 도의 본질과 작용 그것들에 대해서 단정하는 잘못에서 벗어나게 함)겸해서 (“듯하다같다는 말들로써 그것들을) 설명했다. 무릇, (이 장에서) (본질과 작용의) 오묘함(과 미묘함)에 대한 노자모든 말들모두 그의 가슴 속에 담겨있는 () 마음이 표현된 것들이다. 따라서 (나는) 또한 (다시 한 번 설명하는 것이) 어리석(은 일이 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 번 그) 사람들을 겸해서 그것들을 설명했다. (노자가 말하는 도의 본질과 작용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은 (그것들에 대해서 단정하는 일이 잘못이라는 점) 그것을 알아차려야 하는데, (따라서 도의 본질이 무엇이고 어떻게 작용되는지) 알아차릴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그것들을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헤아릴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그것들을) 실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야흐로, 노자종지(妙處; 無爲·自然)알아차리게 되는 것이다. (모름지기, 노자의 말들) 모두 (無爲·自然 그것을) 가르키고, (그것에게) 되돌아가는데, 따라서 (無爲·自然 그것을 가르키지 않고 그것에게 되돌아가지 않는) 허무맹랑虛無孟浪이야기펼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해 설

장량의 자는 자방이고, 시호諡號는 문성(文成)이며, 전략적 지혜를 잘 썼는데, 소하(蕭何), 한신(韓信)과 함께 한나라 건국의 3로 불린다.

회양(淮陽;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회양현淮陽縣)에서 공부하던 장량은 동쪽으로 여행하다 창해군倉海君을 만났고, 그로부터 한 명의 역사力士를 소개 받고, 그에게 120(24kg)이나 되는 철퇴를 만들어 주면서, 박랑사(지금의 하남성 원양현原陽縣 동남쪽)를 지나던 진시황을 요격하게 하였다. 그러나 뒤따르던 마차를 잘못 공격하는 바람에, 진시황은 무사했다. 진시황이 대노大怒하여 천하에 수색령을 내려서 의심되는 인물들을 모두 잡아들이게 했다. 이에 장량은 이름을 바꾸고 하비(下邳; 지금의 강소성江蘇省 저녕현雎寧縣)로 달아나 숨었다.

방삭(동방삭)의 자는 만천曼倩이며, 평원군(平原郡; 지금의 산서성山西省) 염차현(厭次縣) 사람이다. 재산을 모두 미녀들에게 탕진하는 등 기언奇言과 기행奇行을 일삼아 사람들로부터 광인狂人이라 불렸다. 나라 무제武帝의 총애를 받으며, 수십 년 간 측근으로 있었다. 답객난答客難, 비유선생지론非有先生之論을 비롯한 약간의 시문을 남겼다.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6장  (0) 2018.11.09
도덕경 감산주 5장  (0) 2018.11.08
도덕경 감산주 3장  (0) 2018.10.30
도덕경 감산주 2장  (0) 2018.10.27
도덕경 감산주 1장  (0) 2018.10.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