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2장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2장

독립출판 무간 2018. 10. 27. 18:28


2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不居. 夫惟不居, 是以不去.

 

천하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아름답게 여기는 것을 (정말로) 아름다운 것인 줄 아는데, 그것은 그렇게 할 바가 못 될 따름이다. (천하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좋게 여기는 것을 (정말로) 좋은 것인 줄 아는데, 그것은 그렇게 할 바가 못 될 따름이다. ‘있음없음은 서로 낳고, ‘어려움쉬움은 서로 이루며, ‘짧음은 서로 드러내고, ‘높음낮음은 서로 뒤바뀌며, ‘내지른 소리들리는 소리는 서로 어울리고, ‘는 서로 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음無爲에 머묾으로써 다스리며, (일부러 일삼은) 이 아닌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으로써 가르치는 것이다. (비유하면, 천지는) 만물을 자라나게 하지만 (그 자라남에 대해서 일부러 일삼아) 하지 않고, (만물을) 생겨나게 하지만 (일부러 일삼아 자신에게) 소유되게 하지 않으며, (만물을) 살아가게 하지만 (일부러 일삼아 자신에게) 의지하게 하지 않는다. (만물로 하여금) 을 이루게 하지만 (일부러 일삼아 그 공) 머물지 않는다. 무릇, 오직, (일부러 일삼아) 머물지 않는데, 그러므로 (그 공)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此釋前章可名非常名, 以明世人居有爲之跡, 虛名不足尙. 聖人處無爲之道以禦世, 功不朽而眞名常存之意也.

이 장은 앞 장의 可名, 非常名의 의미를 밝힌 것인데,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有爲 일삼음(; 可名)에 머물기 때문에,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無爲) 텅 빈 (일삼음의) 이름(虛名; 常名)받들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성인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無爲 (일삼음의) 이치(; 自然)에 머묾으로써 세상을 다스리는데, (따라서 그) “바래지 않고 유지되며, () 이름이 (끊어지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이어지고 이어진다常存.

 

 

意謂天下事物之理, 若以大道而觀, 本無美與不美, 善與不善之跡. 良由人不知道, 而起分別取舍好尙之心, 故有美惡之名耳. 然天下之人, 但知適己意者爲美. 殊不知在我以爲美, 自彼觀之, 則又爲不美矣. 譬如西施顰美, 東施愛而效之, 其醜益甚. 此所謂知美之爲美, 斯惡已. , 醜也.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이른 바,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비어서, 천하만물과 서로 어울리고 아우르는) 큰 도의 차원에서 천하만물의 (생기고 자라며 시드는) 이치를 살펴보면, (천하만물이) “아름다운 것또는 아름답지 못한 것不美”, “좋은 것혹은 좋지 못한 것不善으로 어겨져야할 이유가 본래 없다. 사실, (천하) 사람들이 (그러한 큰) 를 알지 못한 채, (천하만물을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가르고 (일부러 일삼아) 담거나버리며 (일부러 일삼아) 높이거나받들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키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이나 아름답지 못한 것과 같은 이름이 생겨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오로지자신이 그렇게 여기는 것이 (정말로) “아름다운것인 줄 안다. 자신이 보았을 때 아름다운것이지만, 다른 사람이 그것을 보았을 때, 오히려, 반대로, 아름답지 못한不美것이 될 수 있음을 알지 못한다. 비유하면, (나라) 서시西施가 미간眉間을 찌푸리자 사람들은 그 모습까지 아름답게 여겼지만, 동시東施(그 배경을 살피지 못한 채, 그녀처럼) 아름답게 여겨지고 싶어서 그 행동을 흉내내자, 그 아름답지 못함(에 대한 사람들의 비난)이 더욱 심해진 것과 같다. 이것이 이른 바, “知美之爲美, 斯惡已의 의미이다. “아름답지 못함을 의미한다.

  

  

又如比幹, 天下皆知爲賢善也, 紂執而殺之. 後世效之以爲忠, 殺身而不悔. 此所謂知善之爲善, 斯不善已. 此皆尙名之過也. 是則善惡之名, 因對待而有.

또한, (비유하면, ·나라) 비간比幹·比干의 경우와 같은데, 천하 사람들 모두 (폭정暴政을 바로잡기 위해서 충언忠言을 아끼지 않던 그의 행동을 좋은것으로) 알고 좋은 것으로 받들었지만, (달기妲己의 말에 속은 주임금은 그를) 잡아들여 (배를 가르고) 심장을 꺼냈다殺之. 후세 사람들은 (그 배경을 살피지 못한 채, 임금을 대신해 자신의 심장을 꺼내 받친) 그의 행동을 흉내냄으로써, (세상 사람들 모두에게) ‘충신으로 알려지고 받들어지기 위해서, 자신의 몸을 해치고, (그렇게 하기를) 꺼리지 않는다. 이것이 이른 바, “知善之爲善, 斯不善已의 의미이다. 이것은 모두 (일부러 일삼은) 이름을 받든 허물이다. ‘좋음좋지 못함의 이름이 (일부러 일삼은) 상반된 관계에서 말미암아졌고, (그것으로부터) 생겨났기 때문이다.



故名則有無相生, 事則難易相成, 物則長短相形, 位則高下相傾, 言則音聲相和, 行則前後相隨, 此乃必然之勢. 譬如世人以尺爲長, 以寸爲短. 假若積寸多於尺, 則又名寸爲長, 而尺爲短矣. 凡物皆然, 斯皆有爲之跡耳.

따라서 이름에 있어서 있음없음분별되었고相生, 에 있어서 어려운 것쉬운 것분별되었으며相成, 길이에 있어서 긴 것짧은 것분별되었고相形, 높이에 있어서 높은 것낮은 것분별되었으며相傾, 소리에 있어서 내지른 것들리는 것분별되었고相和, 일삼음에 있어서 분별되었는데相隨, 그것이 그렇게 된 것은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일이었다. 비유하면, (1척을 가로로 나란히 펼쳤을 때) 세상 사람들이 “1(; 30.3)(1촌보다) 길고 1(; 3.03)(1척보다) 짧다고 하는 것과 같다. 가령, 만약, (1척을) 뭉쳐서 세로로 세워서 1촌이 1척보다 높게 하면, (세상 사람들은) 다시 “1촌이 1척보다 높고(길고), 1척이 1촌보다 낮다(짧다)”고 할 것이다. 무릇, 만물(; things·event)에 대해서 (세상 사람들) 모두가 그러한데, 이것은 (세상 사람들) 모두가 (만물에 대해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有爲 일삼음(; 결과)일 따름이다.

 

 

凡可名者, 皆可去. 此所謂名可名, 非常名也. 是以聖人知虛名之不足尙. 故處無爲之道以應事. 知多言之不可用, 故行不言之敎以化民. 如天地以無心而生物, 則萬物皆往資焉, 不以物多而故辭. 雖生成萬物, 而不以萬物爲己有. 雖能生物, 而不自恃其能. 且四時推移, 雖有成物之功, 功成而不居. 夫惟不居其功, 故至功不朽. 不尙其名, 故眞名常存.

무릇, (일부러 일삼아) “이름을 붙이는 일可名은 모두 (이름 붙여진 대상으로부터 일부러 일삼아) 멀어지는 일可去이다. 이것이 이른 바, “名可名, 非常名의 의미이다.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 붙인 이름이 받들기에 부족함을 아는 것이다.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비어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無爲 (일삼음의) 이치로써, (만물에) 응하고 (그것을) 다스리는 것이다.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 을 많이 하는 것이 일삼을 바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일부러 일삼아 말(을 많이) 하지 않는,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백성들이 그것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마음으로 느껴서 스스로 그렇게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비유하면, 5장에서와 같이) ‘천지(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마음이 없이無心 만물을 생겨나(거나 살아가)게 하지만, 만물이 모두 (그것에게) 되돌아가고 (그것을) 거울로 삼게 되는(; 27) 것과 같은데, (따라서) 만물에게 (일부러 일삼아 말을) 많이 하지 않고, 따라서 (또한 일부러 일삼아) 말하지 않는 것이다. 비록 만물을 생겨나게 하고자라나게 하지만, 자신이 (일부러 일삼아) 만물을 소유하지 않는다.” 비록 만물을 생겨나(게 하고 살아가)게 하지만, (만물이) 생겨나(거나 살아가)는 데 있어서 (일부러 일삼아) 자신의지하게 하지 않는다.” 또한, 사계절을 오가게 하면서 만물을 생겨나게 (하거나 자라나게) 하는 공을 소유하지만, “이 이루어지더라도 (그것에 머물지 않는다.” 그 공무릇, 오직, 머물지 않는데”, 따라서 () 지극한 공바래(거나 끊어지) 않게 된다. 그 이름을 받들지 않는데, 따라서 () 이름이 (오래 오래) 유지되고 언제 어디서나 이어지고 이어지게 된다常存.



聖人處無爲之道, 亦由是也. 蓋萬物作焉已下, 皆是說天地之德, 以比聖人之德. 文意雙關, 莊子釋此意極多.

(요컨대) “성인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無爲” (일삼음의) 이치에 머물고, 또한 그것을 말미암(아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다. 무릇, “萬物作焉이하의 문장은 모두 천지의 덕스러움성인의 덕스러움을 비교하여 설명한 것이다. 문장의 의미가 서로 연결되는데, 莊子가 그러한 의미를 아주 자세히 밝히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