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3장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3장

독립출판 무간 2018. 10. 30. 20:53



3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知者不敢爲也. 爲無爲, 則無不治.

(임금으로서,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남(일부러 일삼아) 받들지 않음으로써, 백성들로 하여금 (그 이름을 가지기 위해서 일부러 일삼아) 싸우지 않게 하고, 얻기 어려운 재화(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기지 않음으로써, 백성들로 하여금 (그 이로움을 가지기 위해서 일부러 일삼아) 훔치지 않게 하라. (다시 말하면, 임금으로서, 백성들로 하여금 그 이름이나 이로움을) 일부러 일삼아 가지고자 하(지 않)도록 (그 뛰어남이나 재화를 일부러 일삼아 받들거나 귀하게 여기는 모습을 백성들에게) 보여주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게 하라. 그러므로 성인의 다스림은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백성들의) 마음을 비우고,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르는) 배를 채우며,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백성들의) 의지를 약화시키고,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르는) 뼈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백성으로 하여금 (그 뛰어남이나 재화, 그 이름이나 이로움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게 하고, (그것들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게 하며, 설령 (그것들에 대해서) 아는 무리가 생겨나더라도 (그들로 하여금) 감히 (그것들을 일부러) 일삼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임금으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일삼음無爲을 일삼으면, 다스려지지 않음이 없다.



此言世人競有爲之跡, 尙名好利嗜欲之害, 敎君人者治之之方. 以釋上章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之實效也.

이 장은 세상 사람들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 일삼음有爲다툼결과, 일부러 일삼아진 이름받듦·일부러 일삼아진 이로움(“마음으로) 좋아함·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마음으로) 즐김의 폐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임금君人으로서 그것들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다. (말하자면) 앞 장의 處無爲之事이해하고, “行不言之敎실천하라實效는 것이다.

 

 

蓋尙賢, 好名也. , 爭之端也. 故曰: “爭名於朝.” 若上不好名, 則民自然不爭.

무릇,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남(일부러 일삼아) 받든다는 말은 (그러한 뛰어남을 일부러 일삼아 얻음으로써 가지게 되는) ‘이름(“마음으로) 좋아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그렇게 일부러 일삼아진) ‘이름(백성들의) 싸움원인이 된다. 따라서 일컬은 것인데, “조정에서 (신하들까지 그렇게 일부러 일삼아진) ‘이름을 다투게 된다(전국책戰國策).”

 

 

貴難得之貨, 好利也. , 盜之招也. 若上不好利, 則民自然不爲盜. 故曰苟子之不欲, 雖賞之不竊.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긴다는 말은 (그러한 재화를 일부러 일삼아 얻음으로써 가지게 되는) ‘이로움(“마음으로) 좋아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그렇게 일부러 일삼아진) 이로움(백성들의) 훔침원인이 된다. 따라서 일컬은 것인데, “(위에 있는) 그대(; 君人)가 정말로 (그렇게 일부러 일삼아진 이로움마음으로)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대가) 비록 (그러한 재화를 일부러 일삼아 얻는 일) 그것에 대해서 상을 내린다고 할지라도, (아래에 있는 백성들이 그러한 재화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훔치지 않게 될 것이다(논어論語, 안연顏淵).”

 

 

所以好名好利者, 因見名利之可欲也, 故動亂其心以爭競之. 若在上者苟不見名利有可欲, 則民亦各安其志, 而心不亂矣. 故曰不見可欲, 使心不亂.

(아래에 있는 백성들이 그러한) ‘이름(“마음으로) 좋아하거나 (그러한) ‘이로움(“마음으로) 좋아하게 되는 이유는 (위에 있는 임금이 그러한) ‘이름이나 (그러한) ‘이로움“(아래에 있는 백성들이) 일부러 일삼아 가지고자 하도록可欲 (그러한 뛰어남이나 그러한 재화를 일부러 일삼아 받들거나 귀하게 여기는 모습을 백성들에게) 보여주기때문인데, 따라서 (아래에 있는 백성들의 감각이나 지각, “의지) 행위가 어지러워지게 되는(12) 것이며, 마음으로써 (그러한 뛰어남이나 그러한 재화’, 그러한 이름이나 그러한 이로움’) 그것을 (얻거나 가지기 위해서 일부러 일삼아) 싸우거나 다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만약, 위에 있는 사람(在上者; 君人)이 정말로 (그러한) ‘이름이나 (그러한) ‘이로움(아래에 있는 백성들이) 일부러 일삼아 가지고자 하지 않도록 (그러한 뛰어남이나 그러한 재화를 일부러 일삼아 받들거나 귀하게 여기는 모습을 백성들에게) 보여주지 않으면, (아래에 있는) 백성들 또한 모두 그 의지를 편안히 하게 되며, ()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자) “不見可欲, 使心不亂이라 일컬은 것이다.

 

 

然利, 假物也. 人以隋珠爲重寶, 以之投雀, 則飛而去之. , 妖態也. 人以西施爲美色, 麋鹿則見而驟之. , 虛聲也. 人以崇高爲貴名, 許由則避而遠之. , 爽味也. 人以太牢以珍羞, 海鳥則觴而悲之. 是則財色名食, 本無可欲. 而人欲之者, 蓋由人心妄想思廬之過也.

무릇, ‘이로움이란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꾸며낸 (거짓) 실상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수나라의 진주를 보배로 귀하게 여기지만, 그것을 참새에게 던지면, (날아오는 돌맹이인 줄 알고 놀라서) 날아가 버린다. (무릇) ‘이란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가꾸어낸 (거짓) 실정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서시西施(의 용모容貌)를 아름다운 으로 여기지만, 사슴이 (그것을) 보면 (놀라서) 달아나 버린다. (무릇) ‘이름이란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인) 실상 없는 기호(; symbol)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임금이라는) ‘이름을 높이고 받들며 귀하게 여겼지만, (상고上古 시대) 허유許由(임금의 자리를 제안받자, 그것을) 피해 숨어 버렸던 것이다. (무릇, 재료의 저절로 그러한 맛을 벗어나 일부러 일삼은) ‘음식입맛망가뜨린다(12).” (따라서) 사람들은 잔치(20)”에 차려진 음식을 푸짐하고 맛있는 것으로 여기지만, 바다새는 술잔에 부리를 박은 채 (먹을 것이 없는) 잔치상을 슬퍼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일부러 일삼은) ‘이로움·용모·이름·입맛은 본래 (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고자 할 것이 못된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고자 하는 이유는 무릇 사람의 마음실상에 벗어나거나 실정에 어긋나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고자 하기妄想思廬 때문이다.

 

 

是以聖人之治, 敎人先斷妄想思慮之心, 此則拔本塞源, 故曰: “虛其心.” 然後使民安飽自足, 心無外慕, 故曰: “實其腹.”

따라서 성인의 다스림은 백성에게 먼저 실정에 벗어나거나 실정에 어긋나 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고자 하는妄想思慮 마음을 끊어내라고 가르치는데, 이것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는 일삼음의) 근본을 뽑아내고 () 근원을 막으라는 의미로서, 이른 바, “虛其心이다. 그런 다음, 백성이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 편안히 머물게 하고, 스스로 만족하게 하며, 마음이 바깥의 (다른) 것을 바라지 않게 하는데, 이른 바, “實其腹이다.

 

 

然而人心剛强好爭者, 蓋因外物誘之, 而起奔競之志也. 故小人雞鳴而起, 孳孳爲利, 君子雞鳴而起, 孳孳爲名, 此强志也.

그러나 사람의 마음은 다투기좋아함굳세고 강해서, 무릇 바깥 사물(; things·event)을 말미암고 그것에 미혹된 채, (일부러 일삼아) 다투려는 의지를 일으키고, 그것으로 나아가게 된다. 따라서 소인小人은 닭이 울면 일어나 (일부러 일삼은) 이로움을 쫓아서 일삼지만, 군자君子는 닭이 울면 일어나 (저절로 그러한) 직분(職分; )을 쫓아서 일삼는 것인데, 이것이 강한 의지이다.



然民旣安飽自足, 而在上者則以淸淨自正. 不可以聲色貨利外誘民心, 則民自絶貪求, 不起奔競之志, 其志自弱, 故曰: “弱其志.” 民旣無求, 則使之以鑿井而飮, 耕田而食, 自食其力, 故曰: “强其骨.”

따라서 백성이 이미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 편안히 머물고, 스스로 만족한다면, () 위에 있는 성인(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맑고 맑더라도淸淨 (백성이) 저절로 다스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이름·용모·재화·이로움·바깥 사물이 백성의 마음을 미혹시키지 못하게 하면, 백성이 저절로 일부러 일삼아 얻고자 하거나 가지고자 하는 마음貪求끊어내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다툼으로 나아가려는 의지를 일으키지 않게 되며, 그러한 의지가 저절로 부드럽고 연하게되는데, 따라서 (노자) “弱其志라 일컬은 것이다. (또한) 백성이 이미 일부러 일삼아 얻고자 하거나 가지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면, (“성인) 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서) 우물을 뚫어서 마시게 하고, 밭을 갈아서 먹게 하며, 스스로 힘을 키우게 하는데, 따라서 (노자) “强其骨이라 일컬은 것이다.

 

 

如此則常使民不識不知, 而全不知聲色貨利之可欲, 而自然無欲矣. 故曰常使民無知無欲.

이와 같이, “백성으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은) ‘이름용모재화에 대해서 알지 못하게 하고不識, (그것들로부터 일부러 일삼아진) 이로움에 대해서 알지 못하게 하면不知, 따라서 (백성은) 온전하게 () ‘이름·용모·재화·이로움(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고자할 만한 바임을 알지 못하게 되고不知, 따라서 (백성은) 저절로 그러하게自然 “(그것들을 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고자 하는 바가 없게 된다無欲.” 따라서 (노자) “常使民無知無欲이라 일컬은 것이다.

 

 

縱然間有一二黠滑之徒, 雖知功利之可欲, 亦不敢有妄爲攘奪之心矣, 故曰使夫知者不敢爲也.

설령 혹여 (일부러 일삼은 이름·용모·재화) 이 되고, ‘이로움이 되며, (따라서 그것들을 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고자할 만한 바로 아는, 어리석은黠滑 무리가 하나 둘 생겨나더라도, 또한 (그들로 하여금) 감히 (그것들을 일부러 일삼아 얻거나 가지기 위해서 다투고 싸우려는) 어리석은 의지 일으키거나 훔치고 빼앗으려는 (어리석은) “마음일으키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데, 따라서 (노자) “使夫知者不敢爲라 일컬은 것이다.

 

 

如上所言, 乃不言之敎, 無爲之事也. 人君苟能體此而行以治天下, 則天下無不治者矣. 故結之曰, 爲無爲, 則無不治.

이상과 같은 (노자) 말이 뜻하는 바는, ‘“不言之敎일삼고, “無爲之事펼치라는 것이다. 신하임금은 진실로 이것을 다스림의 본질(; 이치)로 삼아야 하고, (이것을) 일삼음으로써 천하를 다스려야 하는데, 따라서 천하가 다스려지지 않음이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자) 결론지어 爲無爲, 則無不治라 일컬은 것이다.



老子文法極古, 然察其微意, 蓋多述古. 或述其行事, 或述其文辭, 似此爲無爲則無不治, 乃述上古聖人之行事者. 至若是謂等語, 皆引古語以證今意, 或以己意而釋古語者. 其文法機軸, 全在結句, 是一篇主意. 蓋結句, 卽題目也. 讀者知此, 則思過半矣. 人不知此, 都連牽讀去, 不但不得老子立言之妙. 而亦不知文章之妙也.

노자글쓴 방식文法아주 먼 옛날極古 것으로서, 따라서 그 특징이 자세히 살펴져야 하는데, 무릇 (첫째 그 내용에 있어서 아주 먼) 옛날(의 일들)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하고 있다. 어떤 곳에서는 그 (아주 먼 옛날의) 일삼음다스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고, 어떤 곳에서는 그 (아주 먼 옛날의) 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것은 爲無爲則無不治와 같이, 아주 먼 옛날上古성인일삼음다스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로써등과 같은 말로써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것은) 모두 (그 아주 먼) 옛날의 말(과 글)을 가지고 와서, 지금의 뜻으로 풀어낸 것인데, (그 아주 먼) 옛날의 말(과 글)을 자신이 생각하는 (지금의) 뜻으로 밝혀낸 것이다. 그리고 (둘째) 글쓴 방식(文法; 배치)에 있어서, (하나의 장) 요지機軸, (그것을) 모두 맨 끝 문장結句에 위치시키고 있는데, 그것이 () 하나의 장의 주제主意가 된다. 무릇, (하나의 장의) 맨 끝에 위치시키고 있는 문장, (그것이) (하나의 장의) 제목題目이 된다. (따라서 노자) 읽는 사람이 (하나의 장의 맨 끝에 위치하고 있는 문장이 뜻하는 바) 그것을 알아차린다면, (하나의 장이 뜻하는 바의) 반 이상을 헤아리게 될 것이다. 그리고 (셋째) 글쓴 방식(句法; 운율)에 있어서, 한 글자가 한 문구를 이루게 하거나, 두 글자가 한 문구를 이루게 하거나, 세 글자가 한 문구를 이루게 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따라서 노자를 읽는) 사람이 그것을 알지 못한 채, 하나로 묶어서 이어서 읽어나가면, 끝끝내 노자문구立言묘미(; 운율)를 알지 못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또한 (노자) 문장文章의 묘미를 알지 못하게 될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