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5장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5장

독립출판 무간 2018. 11. 8. 11:09




5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天地之間, 其猶橐龠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多言數窮, 不如守中.

천지는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추구芻狗처럼 대하고, 성인은 어질지 않아서, 백성들을 추구처럼 대한다. 천지 사이는 풀무와 피리 같다! 텅 비어서 가로막지 않고, 일삼을수록 더욱 생겨난다. 이 많으면 자주 궁색해지는데, 적절함을 지키는 것만 같지 못하다.

 

 

此言天地之道, 以無心而成物. 聖人之道, 以忘言而體玄也.

이 장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마음(無心; 無欲)으로써 만물생겨나게 하고 자라나게 하는천지(; 본질·작용)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성인의 도(“천지의 도를 말미암아) 일부러 일삼은 말을 잊음(忘言; 無心·無欲)으로써 () 어둑함(; 無爲·自然)실현한다.

 

 

, 好生愛物之心. 芻狗, 乃縛芻爲狗, 以用祭祀者.

어짊(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말미암아 만물을 생겨나게 하고) 살아가게 하기 좋아하고,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말미암아 생겨나고 살아가는) 만물아끼는마음이다. “芻狗는 곧 로 엮어 만든 로서, 제사에 쓰이는 물건이다.



且天地聖人, 皆有好生愛物之仁. 而今言不仁者, 謂天地雖是生育萬物, 不是有心要生. 蓋由一氣當生, 不得不生. 故雖生而不有.

다시 말하면, “천지성인은 모두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말미암아 만물을 생겨나게 하고) 살아가게 하기 좋아하고,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말미암아 생겨나고 살아가는) “만물 아끼는 (마음인) “어짊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자) 지금 (“천지) “어질지 않다라고 말한 것에 대해서 천지만물낳고(: 51)” “살찌운다(: 51)라고 이해하는 것은 옳지만, (“천지만물) 일부러 일삼아 낳(살찌우)고자 하는要生 마음을 가지고 (그렇게 하는 바가) 있다고 이해하는 것은 옳지 않다. 무릇, (“천지는 저절로 그러한 그) 기운에 말미암아 부득이하게 낳았고, (“만물은 저절로 그러한 그 한 기운에 말미암아) 부득불하게不得不 생겨났다. 따라서 (“천지만물) “낳지만 소유되게 하지 않는(2)” 것이다.

 

 

譬如芻狗, 本無用之物, 而祭者當用, 不得不用. 雖用而本非有也. 故曰: “天地不仁, 而萬物爲芻狗.”

비유하면, “芻狗와 같아서, 처음에는(; 無心·無欲·無爲) (어떠한) 쓰임새도 가지고 있지 않던 물건이었는데, 제사를 지내게 되면서(; 有心·有欲·有爲) 그것이 부득이하게쓰이게 되었고, (그렇게 쓰이게 되면서 그) 쓰임새가 부득불해지게 되었다不得不. (다시 말하면) 비록 제사를 지내게 되면서 (부득이하게) 쓰이게 (되었고, 그렇게 쓰이게 되면서 그 쓰임새가 부득이해지게) 되었지만, 처음부터 (그것이 그러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천지는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추구처럼 대한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聖人雖是愛養百姓, 不是有心要愛. 蓋由同體當愛, 不得不愛. 雖愛而無心. 譬如芻狗, 雖虛假之物, 而屍之者當重, 不得不重. 雖重而知終無用也. 故曰: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마찬가지로) “성인백성아끼고 거두어 들인다(: 51)라고 이해하는 것은 옳지만, (일부러 일삼아) 아끼(고 거두어 들이)고자 하는要愛 마음을 가지고 (그렇게 하는 바가) 있다고 이해하는 것은 옳지 않다. 무릇, (“성인천지의 저절로 그러한 그) 본질(; 본성)같이 함에 말미암아 부득이하게 아끼게 되(고 거두어 들이게 되), (“백성) 부득불하게不得不 아껴지게 되(고 거두어 들여지게 되)는 것이다. 비록 (“백성) 아끼(고 거두어 들이)지만, (일부러 일삼아 그렇게 하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 비유하면, “芻狗와 같아서, 비록 (처음에는 어떠한) 쓰임새도 가지고 있지 않던, (일부러 일삼아) 꾸며진 물건이었는데, 죽음을 기리게 되면서, 그것이 부득이중요하게 쓰이게 되었고, (그렇게 쓰이게 되면서, 그 쓰임새가) 부득불不得不 중요하게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 그것이) 비록 중요하게 여겨지게 되었다고 할지라도, 결국에는 (처음부터 그러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아님을 알아차리게 된다. 따라서 성인은 어질지 않아서, 백성을 추구처럼 대한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 似也. , 卽皮韝. 乃鼓風鑄物之器. , 卽管龠, 內承氣出音之器.

~같다는 뜻이다. “은 바로 가죽으로 만든 풀무이다. 쇠를 녹일 때, (손으로 밀고 당겨서) 바람불어 내는 기물이다. “은 바로 대나무로 만든 피리로서, (입으로 뱉고 뿜어서) 바람불어 넣어 소리를 내는 기물이다.




, 枉己從人之意. , 猶感觸也. 謂橐龠二物, 其體至虛而有用, 未嘗恃巧而好爲. 故用不爲伸, 不用則虛以自處, 置之而亦不自以爲屈, 故曰: “虛而不屈.” 且人不用則已. 若用之, 則觸動其機, 任其造作而不休, 故曰: “動而愈出.”

자신을 옳다 하지 않고枉己 (따라서 상대방을 가로막지 않으며) 상대방을 따른다는 뜻이다. “일삼는다感觸는 말과 같다. (“虛而不屈의 모습은 풀무피리가 바람과 소리를 내는 모습에 비유될 수 있는데) 이른 바, “풀무피리두 기물은 그 (; ·)텅 빔에 이를 때, () 일삼는 바(; ·)가 생겨나고, (일부러 일삼아) 재주를 부리거나 (그것에) 기대지 않을 때, () 일삼는 바(; ·)가 좋아진다. 따라서 (“풀무피리는 바람과 소리를) 일삼음(그 몸을) 일부러 일삼아 늘리지 않고, 일삼지 않음에 (그 몸을) 스스로 텅 빔에 머물게 하는데, (따라서, 그 몸) 그것은 (언제나) “텅 비어 있고”, 또한 (바람과 소리 그것을) 스스로 가로막지 않는데”, 따라서 텅 비어서 가로막지 않는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그 몸을 텅 비움으로써) 일부러 일삼지 않으면, 가로막지 않게 될 따름이다. (그러나) 만약, (그 몸을 텅 비우지 못함으로써, 자신을 옳다 함) 그것을 일부러 일삼으면, 가로막음일부러 일삼게觸動 되고, 일부러 일삼아 만들어 냄일부러 일삼아 지어 냄뒤따르게 되며, (그것들이) 끊이지 않게 되는데不休, 따라서 일삼을수록 더욱 생겨난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然道在天地, 則生生而不已. 道在聖人, 則旣已爲人己愈有, 旣已與人己愈多.

그러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비고, 따라서 자신이 옳다 하지 않고, 따라서 가로막지 않는) 는 언제 어디서나 천지와 함께 있고 함께 하는데, 따라서 (“천지는 만물을) 낳고 기르지만, (자신에게 소유되게 하지 않고, 의지되게 하지) 않을 따름이다. 는 언제 어디서나 성인과 함께 있고 함께 하는데, 따라서 (“성인)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지만 (오히려) 자신이 더욱 가지게 되고, 백성들에게 널리 나누지만 (오히려) 자신이 더욱 많아지게 된다.

 

 

大道之妙如此. 惜乎談道者, 不知虛無自然之妙. 方且衆口之辯說, 說而不休, 去道轉遠, 故曰: “多言數窮.” 不若忘言而體玄, 故曰: “不若守中.” 蓋守中, 卽進道之工夫也.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비고, 따라서 자신이 옳다 하지 않으며, 따라서 가로막지 않고, 따라서 천지만물과 서로 어울리고 아우르는) 큰 도오묘함(; 본질·작용)이 이와 같다. 안타깝다!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텅 비고, (따라서 그것이) 없으며, (따라서) 저절로 그러한自然 () 오묘함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바야흐로, 따라서 사람들은 각자 (일부러 일삼아 도) 분별하고, (그것을) 주장하며, (그러한) 주장을 펼치고 (그렇게 하기를) 그치지 않는데不休, (그러나 그것은) 에서 벗어나고, 어긋나고, 멀어지는 일인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말이 많으면 자주 궁색해진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말을 잊어버리고 어둑함(; ··自然)실천하는 것만 같지 못한데, 따라서 “(말을 일삼는 데 있어서 그) 적절함을 지키는 것만 같지 못하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무릇, “(말을 일삼는 데 있어서 그) 적절함을 지킴이 도를 실천하는 방법이다.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7장  (0) 2018.11.12
도덕경 감산주 6장  (0) 2018.11.09
도덕경 감산주 4장  (0) 2018.11.03
도덕경 감산주 3장  (0) 2018.10.30
도덕경 감산주 2장  (0) 2018.10.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