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7장 왕필주 "하늘과 땅은 오래 간다" 본문
제 7 장
천장지구天長地久. 천지소이능장차구자天地所以能長且久者, 이기부자생以其不自生.
고능장생故能長生. 시이성인是以聖人, 후기신이신선後其身而身先, 외기신이신존外其身而身存. 비이기무사사非以其無私邪? 고능성기사故能成其私.
하늘과 땅은 오래 간다. 하늘과 땅이 오래 갈 수 있는 이유는 그 스스로 (말미암아) 살아가지 않음으로써.
그러므로 오래 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그 몸을 (백성의) ‘뒤’에 둔 채 (백성을) ‘앞’으로 밀어 내거나 (그 몸을 백성의) ‘앞’에 둔 채 (백성을) ‘뒤’로 잡아당기지 않으며, 그 몸을 (백성의) ‘밖’에 둔 채 (백성을) ‘안’으로 밀어 넣거나 (그 몸을 백성의) ‘안’에 둔 채 (백성을) ‘밖’으로 끌어당기지 않는 것이다. 그 사사로움私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그 사사로움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自生”은 만물物과 더불어 다툰다는 말이다. “不自生”은 만물과 더불어 되돌아간다는 말이다(自生, 則與物爭. 不自生, 則物歸也).
【해 설】
왕필이 말한 것처럼, “만물과 더불어 다투게與物爭” 되는 이유는 만물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 제5장 왕필주)”를 “말미암지(由 : 제5장 왕필주)” 않은 채, “天地” “스스로自”를 말미암아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欲 : 제1장)”, “일부러 일삼기(爲 : 제2장)”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여물쟁與物爭”은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리함이나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또는 감각하고자 하거나), 지각하거나(또는 지각하고자 하거나), 의지하거나(또는 의지하고자 하거나), 행위하는(또는 행위하고자 하는)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하는 것이다.
왕필주 “물귀物歸”에는 “與物爭”의 與가 생략된 것으로 간주했다. 따라서 歸는 ‘말미암는다(因 : 제1장 왕필주)’, ‘따른다(從 : 제2장 왕필주)’, ‘맡긴다(任 : 제3장 왕필주)’, ‘같아진다(合 : 제5장 왕필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故能長生. 是以聖人, 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無私”는 ‘스스로身’(에게 말미암아) 일삼는 바爲가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聖人”은 백성으로 하여금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서, 일부러 일삼아 ‘뒤’에서 밀지 내지 않는다. 그런데 백성이)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聖人”은 백성으로 하여금 ‘안’으로 들어오게 하기 위해서, 일부러 일삼아 ‘밖’에서 밀어 넣지 않는다. 그런데 백성이)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能成其私”라 일컬은 것이다(無私者, 無爲於身也. 身先. 身在. 故曰能成其私也).
【해 설】
노자가 말한 “非以其無私邪?”에서 邪를 야耶로 간주했다.
노자가 말한 “사사로움私”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欲 : 제1장)”이나 “일부러 일삼음(爲 : 제2장)”을 의미한다.
왕필주 “身先. 身在”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 제5장 왕필주)”에 “따라서(任 : 제5장 왕필주)” “스스로(또는 저절로)自” 그렇게 하기(혹은 되기) 때문이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9장 왕필주 "채우기만 하는 것은 멈추는 것만 같지 못하다" (0) | 2018.02.11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8장 왕필주 "높은 수준의 잘함은 물처럼 하는 것이다" (0) | 2018.02.10 |
왕필산책 : 도덕경 제6장 왕필주 "계곡의 신령스러움은 사라지지 않는다" (0) | 2018.02.08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장 왕필주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추구처럼 대한다" (0) | 2018.02.0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장 왕필주 : "도는 텅 비어 있지만, 그것을 쓰는데, 언제나 남기지 않는다" (0) | 2018.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