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71장 왕필주 "잘 알지만, 알지 못하는 듯이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이 높은 수준의 앎이다" 본문

왕필산책

왕필산책 : 도덕경 제71장 왕필주 "잘 알지만, 알지 못하는 듯이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이 높은 수준의 앎이다"

독립출판 무간 2017. 12. 27. 15:35


71

 

 

, 부지不知, . 부지不知, , .

부유병병夫唯病病. 시이불병是以不病. 성인聖人, 불병不病. 이기병병以其病病. 시이불병是以不病.

 

() 알지만, 알지 못하는 듯이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이 높은 수준의 앎이다. 알지 못하면서, () 아는 듯이 (교만하게 행동)하는 것은 병이다.

무릇, 오직 병을 병으로 알아야 한다. 그럼으로써 병을 앓지 않는다. 성인은 병을 앓지 않는다. 그 병을 병으로 안다. 때문에, 을 앓지 않는다.

 

 

, 不知, . 不知, , .

(그것을) 알지 못하면서, 그것을 () 아는 듯이 (행위)하는 것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맞지 않다. (따라서) 그렇게 (행위)하면, 을 앓게 되는 것이다(不知, 知之, 不足. , 則病也).

 

해 설

노자가 말한 알지 못하는 듯이 (겸손하게 행위)한다는 것은 정서적 또는 육체적, 정신적 혹은 물질적 편안함내지 이로움를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각자가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모두가 합의하는 목표나 이상 등을 반영시킨 기준을 세우고, 그것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수준 높은 앎을 가진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 가리지 않고, 잘난 체하지 않으며, 뽐내지 않고, 우쭐하지 않는(不自見, 不自是, 不自伐, 不自矜 : 22)” 것이다.

왕필이 말한 것처럼, 알지 못하면서, 잘 아는 듯이 행위하면, 을 앓게 되는데”, 정서적 또는 육체적, 정신적 혹은 물질적 편안함내지 이로움를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각자가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모두가 합의하는 목표나 이상 등을 반영시킨 기준을 세우고, 그것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함으로써, 그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어그러뜨리거나 망가뜨리며(敗之, 失之 : 64)”, “마음을 미치게 하기(令人心發狂 : 12)” 때문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