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69장 왕필주 "용병술에 이런 말이 있다" 본문
제 69 장
용병用兵, 유언有言. 오불감위주吾不敢爲主, 이위객而爲客. 불감진촌不敢進寸, 이퇴척而退尺. 시위행是謂行, 무행無行.
양攘, 무비無臂. 잉扔, 무적無敵.
집執, 무병無兵. 화禍, 막대어경적莫大於輕敵. 경적輕敵, 기상오보幾喪吾寶.
고항병상가故抗兵相加, 애자승의哀者勝矣.
용병술用兵에, 이런 말이 있다. “내가 감히 주인이 되지 않고, (오히려) 손님이 된다.” “감히 한 치寸를 나아가지 않고, (오히려) 한 자尺를 물러난다.” 이것을 일컬어 ‘움직이되, 움직이지 않은 듯이 함’이라 한다.
‘팔을 걷어붙이되, 팔을 걷어붙이지 않은 듯이 함’이라 한다. ‘끌어들이되, 맞서 겨룰 뜻이 없는 듯이 함’이라 한다.
‘무기兵를 잡되, 잡은 무기가 없는 듯이 함’이라 일컫는다. 화禍는 상대나라를(또는 그 백성의 생명을) 가볍게 보는 것보다 큰 것이 없다. 상대나라를(또는 그 백성의 생명을) 가볍게 보면, 내 보물을 위태롭게 하거나 망가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무기를 들어 서로 맞설 때에는 (백성의 죽음을) 슬퍼하는 나라가 이기는 것이다.
用兵, 有言. 吾不敢爲主, 而爲客. 不敢進寸, 而退尺. 是謂行, 無行.
상대나라(또는 군사)의 진군遂이 멈추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彼遂不止).
攘, 無臂. 扔, 無敵.
(“是謂行, 無行”에서) “行”은 진陣을 펼침行을 일컫는다. (“吾不敢爲主, 而爲客. 不敢進寸, 而退尺”은) 말하자면, 겸손하게 물러난다는 것이다. (자기나라 백성이 죽는 것을) 슬프게 여기고哀, (상대나라 백성이 죽는 것 역시) 슬프게 여긴다慈는 것이다. (따라서) 감히 상대나라(또는 그 백성)物의 앞先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용병술用戰에 비유하면, “行, 無行”, “攘, 無臂”, “執, 無兵”, “扔, 無敵”이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맞서 겨룰 뜻이 없는 듯이 한다는 것이다(行, 謂行陣也. 言, 以謙退. 哀慈. 不敢爲物先. 用戰, 猶行, 無行, 攘, 無臂, 執, 無兵, 扔, 無敵也. 言, 無有與之抗也).
【해 설】
왕필주 “行陣”에서 陣은 군사軍士의 대오隊伍를 편성하거나 배치한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爲物先”는 상대나라(또는 그 백성)를 공격한다(또는 해친다)는 의미이다.
執, 無兵. 禍, 莫大於輕敵. 輕敵, 幾喪吾寶.
말하자면, (무엇보다) “내吾”가 (우리나라 백성의 죽음을) 슬프게 여기고, (상대나라 백성의 죽음 역시) 슬프게 여겨서, 겸손하게 물러나는 것이지, (상대나라 또는 그 백성보다) 강하게 되고자 하거나, 천하에서 맞설 상대가 되는 나라(또는 그런 백성)가 없는 상태無敵가 되고자 해서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백성의 생명을 “아끼고(嗇 : 제59장)”, 상대나라 백성의 생명 또한 아끼는 일이) 부득이 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마침내卒 (천하에서) 맞설 상대가 되는 나라(또는 그런 백성)가 없는 상태無敵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상대나라(또는 그 백성의 생명)를 가볍게 보는 일斯은 “내가” 크게 “화禍”를 당하는 원인이 된다. “寶”는 “삼보(三寶 : 제67장)”를 말한다. 따라서 (“상대나라 또는 그 백성의 생명을 가볍게 보게 되면) 내 보물을 위태롭게 하거나 망가뜨리게亡 된다”고 일컬은 것이다(言, 吾哀慈謙退, 非欲以取强, 無敵於天下也. 不得已, 而卒至於無敵. 斯乃, 吾之所以爲大禍也. 寶, 三寶. 故曰幾亡吾寶).
【해 설】
제61장 “大國, 不過欲兼畜人. 小國, 不過欲入事人”을 참조할 때, 노자가 말한 “寶”를 ‘백성’ 또는 그들의 ‘생명’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故抗兵相加, 哀者勝矣.
“抗”은 (“무기”를) 든다(또는 군대를 일으킨다)는 말이다. “加”는 (상대나라 또는 그 백성과) 맞선다當는 말이다. (통치자가 백성의 죽음을) 슬프게 여기게 되면, 반드시 (백성이) 서로(의 처지)를 가엷게 여기게 되고, (개인적인) 이로움을 추구하지 않게 되며, (개인적인) 해로움을 피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이기는” 것이다(抗, 擧也. 加, 當也. 哀者, 必相惜, 而不趣利避害. 必勝也).
【해 설】
왕필이 말한 “擧”는 노자가 말한 “執”과 의미가 통한다.
왕필이 말한 “利”와 “害”에는 ‘개인주의’가 전제되어 있다. 다음을 참조해 볼만하다. ““利器”는 무릇 ‘개인적인’ 이로움의 원인이 되는 기물器이다. 백성이 (‘개인적으로’ 이롭고자 함이) 강하면, ‘나라’는 약해진다(利器, 凡所以利己之器也. 民强, 則國家弱 : 제57장 왕필주).”
이 장은 다음과 의미가 통한다. “병장기는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두 그것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도道를 따르는 사람은 그것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군자는 평상시에는 왼쪽을 높이고, 전쟁을 할 때에는 오른쪽을 높인다. 병장기는 상스럽지 못한 기물로서 군자가 사용할만한 기물이 아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그것을 사용하는데, 고요하고 담담함을 최상으로 여기고, 전쟁에서 이기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지 않는다. 전쟁에서 이기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는 일은 사람 죽이는 것을 즐기는 일이고, 사람 죽이는 것을 즐기는 사람은 천하의 신망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길사吉事에는 왼쪽을 받들고, 흉사凶事에는 오른쪽을 받든다. (전쟁을 할 때) 편장군이 왼쪽에 자리하고, 상장군이 오른쪽에 자리하는데, 전쟁을 상례喪禮로써 임한다는 뜻이다. 자기 나라 사람들의 죽음을 불쌍히 여기고 슬퍼하며 근심하는 한편, 전쟁에 이기더라도 상대 나라 백성들의 죽음 또한 상례로써 대하는 것이다(夫佳兵者, 不祥之物,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 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 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以喪禮處之. 殺人之衆, 以哀悲泣之, 戰勝以喪禮處之 : 제31장).”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71장 왕필주 "잘 알지만, 알지 못하는 듯이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이 높은 수준의 앎이다" (0) | 2017.12.27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70장 왕필주 "내가 하는 말은 아주 이해하기 쉽다" (0) | 2017.12.2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68장 왕필주 "군사를 잘 기르는 장수는 무예로써 하지 않는다" (0) | 2017.12.2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67장 왕필주 "천하가 모두 "당신이 말하는 도는 크다. 그런데 다른 사람이 말하는 도와 닮지 않은 데가 있는 듯하다"고 일컫는다 (0) | 2017.12.26 |
왕필산책 : 도덕경 제66장 왕필주 "강과 바다가 온갖 계곡의 왕이 되는 까닭은 그것들의 '아래'에 머물기를 잘하기 때문이다" (0) | 2017.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