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28. "그 수컷됨으로써 그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지 마라." 본문

권재산책

노자권재구의 28. "그 수컷됨으로써 그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지 마라."

독립출판 무간 2020. 2. 16. 21:02


知其雄 28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嬰兒. 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 爲天下式, 常德不忒, 復歸於無極. 知其榮, 守其辱. 爲天下谷. 爲天下谷, 常德乃足, 復歸於樸. 樸散, 則爲器. 聖人用之. 則爲官長. 故大制不割.

그 수컷됨으로써 그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거나, 그 암컷됨으로써 그 수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지 마라. 천하의 시내가 되게 된다. 천하의 시내가 되면,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도와 나 사이가 벌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게 되며, (일부러 일삼은) 앎이 없음을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 흰 바로써 그 검은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거나, 그 검은 바로써 그 흰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지 마라. 천하의 모범이 되게 된다. 천하의 모범이 되면,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도와 나 사이가 어긋나거나 벗어나지 않게 되며, (뚜렷하고 또렷한 실상이나) 실정이 없는 바를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가게 된다. 영화롭게 됨을 (일부러 일삼아) 기뻐하거나, 그 욕됨을 당하지 않음을 (일부러 일삼아) 부러워하지 마라. 천하의 계곡이 되게 된다. 천하의 계곡이 되면,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도가 이내 (나에게) 갖추어지고 온전해지게 되며, (잘리거나 깎이지 않은) 처음의 통나무를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가게 된다. 처음의 통나무가 잘리거나 깎여지고, 무릇 그릇이 생겨난다. (그러므로) 성인은 () 그것을 일삼는다. (그러므로 성인의) 어우름이 오래 가게 된다. 다시 말해, 로써 천하를 아우르면, (와 천하 사이가) 벌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게 된다.



知雄, 守雌, 不求勝也. 知白, 守黑, 不分別也. 知榮, 守辱, 無歆艶也. 知字, 有能爲, 而不爲之意. 谿, , 在下, 水所歸也. 言如此, 則天下歸之. , 天下以爲式也. 常德, 卽首章所謂: 常道也. 不離, 無間斷也. 不忒, 無差失也. 乃足, 備全之也. 嬰兒, 無知也. 無極, 無物也. , 太樸也.

수컷됨”, “암컷됨지킴”, (“수컷됨으로써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거나, “암컷됨으로써 수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섬바라지 않음. “흰 바”, “검은 바지킴”, (“흰 바로써 검은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거나, “검은 바로써 흰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分別하지 않음. “영화롭게 됨”, “욕됨지킴”, (“영화롭게 됨을 일부러 일삼아) 기뻐하거나 (“욕됨을 당하지 않음을 일부러 일삼아) 부러워함이 없음. “, 일삼을 수 있지만, 일삼지 않음. “시내”, “계곡”, 아래 (쪽에) 자리하는 바, (위쪽) 물이 (흘러들어) “돌아가는. (비유컨대) 이른바, (임금이) 이와 같이 하면, “천하(모여들어) “돌아가게 된다.” “”, “천하모범으로 삼음.” “常德”, 무릇 1장이 일컬은 바, “常道.” “不離”, (서로) 벌어지거나 끊어지는 바가 없음. “不忒”, (서로) 어긋나(서 더하)거나벗어나(서 빼야하)바가 없음. “乃足”, 갖추어지고 온전해짐. “嬰兒”, (일부러 일삼은) “이 없음. “無極”, (또렷하거나 뚜렷한 실상이나) 실정이 없음. “”, (비유컨대, 잘리거나 깎이지 않은) 처음통나무.” (1장이 일컬은 바) “天地之始.”

 

 

太樸, 旣散, 而後有器. 卽形而上, 謂之道. 形而下, 謂之器也. 聖人, 以形而上者用形而下者. 則天地之間, 各有其職. 聖人, 兼三才. 以御萬物. 雖職覆, 職載. 亦聽命於我. , 爲天地之間. 官於物者之長也. 莊子曰: 官天地. 天地之職, 亦造化之. , , 守耳. , 離也. 以道制物, 謂之大制. 大制, 則道器, 不相離矣. , 亦無爲, 而爲, 自然, 而然之意.

처음통나무가 무릇 흩어진(; 잘림·깎임)” 다음에 그릇이 생겨난다. (비유컨대) 무릇, “형이상形而上인 바, 그것을 일컬어 라고 한다. 형이하形而下인 바, 그것을 일컬어 그릇(; ·)’라고 한다(形而上者, 謂之道. 形而下者, 謂之器: 주역周易』 「계사상전繫辭上傳右第十二章).” “성인형이상인 바()”로써 형이하인 바(천하)”일삼는다. 따라서 천하天地之間는 각자 그 직분(; )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성인은 삼재(三才; 하늘··사람)어우른다. 다시 말해, 천하萬物아우른다. 따라서 (“천하) 직분(아래로 꺼져) 뒤집히기도 하고, (“천하) 직분(위로 뒤집혀) 솟구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은) 천하본성의 명령(; 自然)따른다. 이것이 (“성인) 천하天地之間일삼는 방식이다. (이것이 성인) 천하어우름오래 가는 까닭이다. 장자莊子(덕충부德充符에서) 일컬었다. “천하天地아우르는 일.” (무릇) 천하天地(각자 그) 직분을 가지는 일, 무릇, (“천하가 각자의 직분) 그것을 일삼게 하고, 그것을 어우러지게 하는 일. (무릇, 그것을) 하나되게 하는 일, (그것을) 아우르는 일, (그것을) 지키는 일일 따름이다. “”, (서로) 벌어지거나 끊어짐. (; 自然···)로써 천하어우름, 그것을 일컬어 大制라고 한다. 로써 천하아우르면, (“천하) (; 自然·)그릇(; 無爲·)”이 서로 벌어지거나 끊어지지” “않는다.” 이것이 무릇 “(임금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으면無爲, (‘천하가 더불어 그것을) 일삼게 되고, (임금이) 저절로 그러하면自然, (‘천하가 더불어 저절로) 그러하게 된다는 뜻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