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25장. "사람은 땅을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본문
有物混成 25
有物混成, 先天地生. 寂兮! 寥兮! 獨立而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吾, 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 故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 域中有四大, 而王處一焉.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천지만물의 ‘저절로 그러함自然’인) 속성·섞임·이룸을 가지고 있는 바, (도道이다. 그것은) 하늘과 땅 (그리고 만물)의 생겨남보다 앞선다.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구나! 이어지고 이어지는구나! 언제나 천지만물과 함께 있고 어디서나 천지만물과 함께 하며, (그러므로) 오래 가고, (그러므로) 바뀌지 않는다. 나아감이 줄기차고 멈춤이 없다. 천지만물이 말미암아 생겨나는 바이다. 나는 그 이름을 (어떻게 지어 붙여야 할지) 알지 못하겠다. (그러므로)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글자로 써서 “도道”라고 일컫는다.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여 “큼大”이라 일컫는다. “큼大”, 이른바 “감逝.” “감逝”, 이른바 “멀어짐遠.” “멀어짐遠”, 이른바 “돌이키고 돌아가야 하는 바反.” 왜냐하면, 도道도 “큼大”이고, 하늘도 “큼大”이며, 땅도 “큼大”이고, 임금도 무릇 “큼大”이기 때문이다. “큼大”의 위상이 네 가지가 있는데, 무릇 임금이 (그) 하나에 자리한다. (그런데 ‘임금’은 ‘사람’ 가운데 자리한다. ‘사람’은 ‘하늘’과 ‘땅’ 가운데 자리한다. ‘사람’의 위상은 ‘하늘’이나 ‘땅’보다 “크지” 않다. ‘도道’의 위상은 ‘자연自然’보다 “크지” 않다. 그러므로 “큼大”의 위상은 ‘사람·땅·하늘’, ‘도道’, ‘자연自然’, 세 가지이다. 그러므로) ‘사람’은 ‘땅’을 법칙으로 삼아야 하고, ‘땅’은 ‘하늘’을 법칙으로 삼아야 하며, ‘하늘’은 ‘도道’를 법칙으로 삼아야 하고, ‘도道’는 ‘자연自然’을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有物混成, 道也. 無極而太極也. 其生, 在天地之先. 言天地自是而出也.
“(‘천지’만물의 ‘저절로 그러함自然’인) 실정(物; 性·命), 섞임(混; 움직임·일삼음), 이룸(成; 생겨남·자라남)을 가지고 있는 바有”, “도道”이다. (비유컨대, 노자가 일컬은 “도道”는 주돈이周敦頤가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일컬은) “무극無極이자, 태극太極”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도道”) 그것의 “생겨남”은 “하늘과 땅 (그리고 만물의 생겨남)보다 앞”에 자리한다在. 이른바, “하늘과 땅” (그리고 만물)은 (“도道”) 그것으로부터 (말미암아) 생겨났다(는 뜻)이다.
寂兮! 寥兮! 不可見也. 獨立而不改, 常久而不易也. 周行而不殆, 行健而不息也. 可以爲天下母, 天下萬物之所由生也. 吾不知其名, 不可得而名也. 名, 不可得. 字之曰道. 字者, 代名之謂也.
“寂兮! 寥兮!”, (그 형태와 상태를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없다(는 말)이다. “獨立而不改”, 언제나 만물과 함께 있고 어디서나 만물과 함께 하며, (따라서 아주 먼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이어지고 이어져서) 오래 가며, (따라서 그러함이)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다. “周行而不殆”, “나아감”이 줄기차고健 멈춤息이 없다(는 말)이다. “可以爲天下母”, “천하”만물이 말미암고 생겨나는 바(라는 말)이다. “吾, 不知其名”,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일 수 없다(는 말)이다. (“도道”는) “이름”,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일 수 없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字之曰道.” “字”는 (“천하”만물의 “속성物”·“섞임混”·“이룸成”을 “가지고 있는 바有”)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글자로) 대신한다는 말謂이다.
曰道, 不足以盡之. 又强而名之曰大. 大, 不足以盡之. 又名之曰逝. 逝者, 往也. 不可追逐也. 逝, 不足以盡之. 又强而名之曰遠. 遠者, 不可近也. 不可得而親附也. 遠, 又不足以盡之. 又强而名之曰反. 反者, 復歸於根之意也.此, 皆鼓舞之文. 在莊子, 此類, 尤多. 或, 以反爲反求諸身, 則非矣.
(그런데) “도道”라는 “일컬음(曰; 字)”은 (“도道”가 그러한 바임) 그것을 온전하게 표현하기盡에 부족하다. 따라서 (노자는 다시금)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이름 지어 붙여” “큼大”이라 “일컬었다.” (그런데) “큼大”(이라는 “일컬음”)은 (“도道”가 그러한 바임) 그것을 온전하게 표현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노자는 다시금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이름 지어 붙여” “逝”라고 일컬었다. “逝”는 (쫓아서 뒤따라) 간다往(는 말)이다. (다시 말해, “큼大”이라는 “일컬음”은 “도道”가 그러한 바임을) 뒤쫓아 따라갈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감逝”은 (“도道”가 그러한 바임) “그것”을 온전하게 표현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노자는 다시금)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이름 지어 붙여” “遠”이라 일컬었다. “遠”은 (반대로 “그것”과 서로) 가까워질 수 없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반대로 “그것”과 서로 눈을) 마주하거나親 (서로 등을) 기댈附 수 없다(는 뜻)이다. “遠”(이라는 “일컬음”)은 따라서 (“도道”가 그러한 바임) “그것”을 온전하게 표현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노자는 다시금)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이름 지어 붙여” “反”이라 일컬었다. “反”은 (“도道”가 그러한 바임, 다시 말해 “도道”가 “가지고 있는有” “속성物”·“섞임混”·“이룸成”의) 본질(根; 體)을 돌이켜야 하고復 (그러한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歸는 뜻이다. 이것은 무릇 (“도道”가 그러한 바임, 다시 말해 “도道”의 그러한 본질을 ‘돌이키고’ 그러한 본질로 ‘돌아가기’를) 독려하는 문장文이다. 『장자莊子』에 이러한 종류(類; 文)가 아주 많다. 혹자或는 (노자가 일컬은) “反(돌이키고 돌아가다; 동사動詞)”(의 뜻)을 (공자孔子가 일컬은) “(문제의 원인과 대안을 다른 사람에게서 찾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자기 자신에게서 찾는다(反求諸其身: 『중용中庸』, 14장)”라고 할 때의 “反(반대로; 부사副詞)”로 삼는데, 잘못이다.
域中有四大, 王居其一. 蓋言人, 居天地之間. 但知有王之爲大. 而不知王之上. 其大者, 又有三焉. 然而人則法地. 地則法天, 天則法道. 道, 又法於自然. 是, 自然, 又大於道與天地也. 其意, 但謂: 道至於自然, 而極. 如此發揮, 可謂奇論.
(“域中有四大, 而王處一焉.”) “네 가지의 큰 위상域이 있는데”, “임금”이 그 “하나”에 자리한다居(는 뜻)이다. (왜냐하면) 무릇, 이른바, “사람”은 “하늘”과 “땅” ‘가운데間’ 자리하는 바居이기 때문이다. (“임금”은 “사람” ‘가운데’ 자리하는 바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무릇, “임금”은 (“사람” ‘가운데’) “큼”이 됨爲을 가지는 바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임금”(의 “큼”)은 (“땅”이나 “하늘”보다) 높은 수준上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노자가 일컬은) 그 “큼”(의 “위상”)은 무릇 (“땅·사람·하늘”, “도道”, “자연自然”) 세 가지이다. 따라서 (노자가 일컬은 바) “사람”은 무릇 “땅을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땅”은 무릇 “하늘을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하늘”은 무릇 “도道를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도道”는 무릇 “자연(自然; 저절로 그러함)을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은 “자연自然”이 무릇 “도道”, “하늘(·사람·)땅”보다 (“위상”이) “크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 뜻은 무릇 이른바 “‘도道’는 ‘자연自然’에 이르고(至; 法), 따라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有’ ‘속성物’·‘섞임混’·‘이룸成’의 본질根·體을) 다하게 된다(極; 用).” 이와 같은 펼침發과 이끎揮, 뛰어난奇 논리(論理; 論)라 할만하다.
【해 설】
주돈이(周敦頤, 1017~1073)는 자字가 무숙茂叔, 호號가 염계濂溪이다.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다오현道縣에서 태어났다.
1036년, 20세에 홍주洪州 분녕현分寧縣의 주부主簿가 되었고, 이어 남안南安에 사법관司法官으로 부임했다. 이후, 주로 각 현顯의 지사地師를 역임했는데, 지남강군知南康軍이 마지막이었다.
중국 송宋나라 유학儒學의 형이상학적 사유는 주돈이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말해지는데, 같은 시대 장재(張載, 1020~1077)의 사상과 더불어 『태극도설太極圖說』, 『통서通書』에 보이는 주돈이의 사상은 제자였던 정호(程顥, 1032~1085)·정이(程頤, 1033~1107)를 통해 이어졌고, 송나라 도학道學의 방향을 정하는 단초가 되었기 때문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28. "그 수컷됨으로써 그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지 마라." (0) | 2020.02.16 |
---|---|
노자권재구의 27.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 잘 걸은 걸음은 흔적이나 자취가 없다. (0) | 2020.02.09 |
노자권재구의 24. "일부러 일삼아 발을 드는 사람은 오래 서 있지 못한다." (0) | 2020.01.28 |
노자권재구의 23.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 이것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이 많지 않다." (0) | 2020.01.23 |
노자권재구의 22. "휘어지라, 따라서 온전해진다." (0) | 2020.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