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27.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 잘 걸은 걸음은 흔적이나 자취가 없다. 본문

권재산책

노자권재구의 27.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 잘 걸은 걸음은 흔적이나 자취가 없다.

독립출판 무간 2020. 2. 9. 10:13


27

 

 

善行, 無轍跡. 善言, 無瑕讁. 善計, 不用籌策. 善閉, 無關楗, 而不可開. 善結, 無繩約, 而不可解. 是以聖人, 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是謂: 襲明.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不貴其師, 不愛其資, 大迷. 是謂: 要妙.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에 따라) 잘 걸은 걸음은 흔적이나 자취가 없다. 잘한 말은 티나 흠이 없다. 잘하는 셈은 계산도구를 쓰지 않는다. 잘 잠근 것은 빗장을 쓰지 않았는데, 열 수가 없다. 잘 묶은 것은 새끼줄을 쓰지 않았는데, 풀 수가 없다. 그러므로 성인은 언제 어디서나 사람을 잘 구제하는데, 사람을 내버리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언제 어디서나 만물을 잘 구제하는데, 만물을 내버리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이른바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밝음.” 그러므로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에 따라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은 잘하지 못하는 사람의 스승이 된다.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잘하는 사람의 거울이 된다. (그러므로)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길 줄 모르고, 그 거울을 아낄 줄 모르면, 무릇 지혜로움이 크게 미혹되게 된다. 이것이 이른바 미묘하고 오묘한 이치.”

 

 

善言, 善行, 善計, 善閉, 善結, 五者, 皆譬喩也. 其意, 但謂: 以自然爲道, 則無所容力. 亦無所著跡矣.

善言”, “善行”, “善計”, “善閉”, “善結”, 다섯 가지는 무릇 (만물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에 따라 일삼는 모습에 대한) 비유이다. 그 뜻은 무릇 이른바 “(만물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일삼음의) 이치로 삼으면, (일부러 일삼아) 쓰는 바가 없게 되고, 무릇 (일부러 일삼아) 흔적남기는 바가 없게 된다.”

 

 

聖人, 雖異於衆人. 而混然與之而處. 未嘗有自異之心. 所以不見其迹也. 聖人之道, 可以救人. 可以救物. , 於人物也. 亦甚異矣. 而未嘗有棄人棄物之心. 和光同塵. 而與之爲一. 故曰: 襲明. 襲者, 藏也. 襲明, 則莊子所謂: 滑疑之輝也.

(따라서) “성인은 무릇 보통 사람과 (아주) 다르다. 무릇,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그것과 더불어 (하나로) 뒤섞여 그러한 채, (일삼음에) 자리한다. 무릇, 스스로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다른 마음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그 (일부러 일삼은) 흔적을 살필 수 없다. “성인(일삼음의) 이치, 무릇可以 사람을 구제함”, 무릇 만물을 구제함.” (왜냐하면,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그것은 사람만물(이미 들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릇, (“성인은 보통 사람과) 아주 다르다. 무릇, “사람을 내버리거나” “만물을 내버리는마음을 가지지 않는다. (무릇, ) 빛남과도 어우러지고, () 티끌됨과도 아우러진다. 무릇, 그것과 더불어 하나가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襲明.” “감춘다(는 말)이다. (비유컨대) “襲明”, (이것은) 무릇 장자莊子(제물론齊物論에서) 일컬은 바,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밝음(; ·)이다.

 

 

善人, 可以師範一世. 雖異於不善之人. 而天下, 若無不善之人, 則誰知善人之爲善? , 不善人, 乃爲善人之資也. 資者, 言其賴之以自別也.

(만물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에 따라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 무릇可以 천하一世스승이자 모범. (따라서) 무릇, “(그것을) 잘하지 못하는사람과 (아주) 다르다. (그런데) 무릇, 천하가 “(그것을) 잘하지 못하는사람(을 가짐)이 없다면, 누가 “(그것을) 잘하는 사람“(그것을) 잘함을 알아차리겠는가? 이것이 “(그것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이내 “(그것을) 잘하는 사람의 거울이 되는 까닭이다. “는 이른바 (그것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그것을 잘하는”) 사람스승이자 모범으로 삼음으로써 (일삼음 그것이) 스스로 달라진다(는 말)이다.

 

 

此兩句, 又發明上面: 無棄人, 無棄物之意. 若有棄人棄物之心, 則是有師而不知貴, 有資而不知愛. 雖自以爲智, 而不知, 乃迷之大者. 知此道者, 可謂要妙之道.

(다시 말해, “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이 두 문장은 무릇 앞의 無棄人”, “無棄物의 의미를 부연한다. 무릇, “사람을 내버리고” “만물을 내버리는마음을 가진다면, 그러한 사람(그것을 잘하는 사람) “스승으로 삼음을 가지는 바는 있지만, (“스승으로 삼은그러한 사람을) “귀하게 여길줄은 모르는 사람이며, (그것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 “거울로 삼음을 가지는 바는 있지만, (“거울로 삼은그러한 사람을) “아낄줄은 모르는 사람이다. 무릇, ‘자신을 지혜로움(거울이자 스승”)으로 삼음, “지혜롭지못하게 됨, 이내 미혹됨크게 됨.” 이러한 이치를 앎, “미묘하고 오묘한” (일삼음의) 이치(를 앎)이라 일컬을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