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22. "휘어지라, 따라서 온전해진다." 본문
曲則全 22
曲, 則全. 枉, 則直. 窪, 則盈. 幣, 則新. 少則得, 多則惑. 是以聖人抱一爲天下式. 不自見, 故明. 不自是, 故彰. 不自伐, 故有功. 不自矜, 故長. 夫唯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誠全而歸之.
휘어지라, 따라서 온전해진다. 굽어지라, 따라서 곧아진다. (움푹) 패여라, 따라서 채워진다. 해져라, 따라서 새로워진다. (작고) 적어지면 얻게 되고, (크고) 많아지면 미혹되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텅 비우고, 없게 하며, 부족하게 하는) ‘하나’를 품어서 천하의 모범이 된다.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 가르지 않는데, 그러므로 지혜롭게 된다. 일부러 일삼아 잘난 체하지 않는데, 그러므로 빛나게 된다. 일부러 일삼아 뽐내지 않는데, 그러므로 공功을 가지게 된다. 일부러 일삼아 우쭐하지 않는데, 그러므로 오래 가게 된다. 무릇, 오직, 다투지 않는데, 그러므로 천하가 그와 더불어 다투어 내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주 먼 옛날에 일컬은 바, “휘어지라, 따라서 온전해진다”, 그것이 어찌 빈말이겠는가? (그러므로 그것을) 정말로 온전하게 해야 하고, 그것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能曲, 而後能全. 能枉, 而後能直. 能窪, 而後能盈 能幣, 而後能新. 能少, 而後能多. 此, 皆能不足, 而後能有餘. 能眞空, 而後實有之意.
“휘어”지라, 왜냐하면 (그렇게 된) 다음에야 “온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굽어”지라, 왜냐하면 (그렇게 된) 다음에야 “곧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움푹) 패”여라, (그렇게 된) 다음에야 “채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해”져라, 왜냐하면 (그렇게 된) 다음에야 “새로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작고) 적어”지라, 왜냐하면 (그렇게 된) 다음에야 “(크고)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무릇 부족不足하게 되라는 것인데, 왜냐하면 (그렇게 된) 다음에야 충족함餘을 가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종밀이 일컬은) “텅 빈 바空, (따라서) 참된 바眞”(라는 말의 뜻이며), (그렇게 된) 다음에야 “있는 바有 (따라서) 실상에 어긋나지 않고 실정에 벗어나지 않는 바實(7장 권재주)”(라는 말)의 뜻이다.
少則得, 多則惑. 只是少則多三字. 又紬繹作兩句也.
“少則得, 多則惑.” (이 두 문장은) 무릇 “少則多” 세 글자(의 의미에 지나지 않는 문장)이다. (다시 말해, 노자는) 무릇, (“少則多” 세 글자의 의미를) 모으고紬 풀어서繹 두 문장으로 만든 것이다.
一者, 虛也. 無也. 不足也. 聖人所抱, 只這一伴道理. 所以爲天下之法式. 不自見. 不自是. 不自伐. 不自矜.
“一(道)”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비어 있다. (다시 말해, 그것이) 없다. (다시 말해, 그것이) 부족하다. (일부러 일삼는 바를 ‘텅 비움’, ‘없게 함’, ‘부족하게 함’, 이것이) “성인”이 품는 바, 무릇 (“성인”이) 짝하는這 “하나一”의 이치道이자 원리理이다. (이것이 “성인”이) “천하”의 법칙法이자 “모범式”이 되는 이유이다.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自 나누거나 가르지 않는다.” “일부러 일삼아 잘난 체하지 않는다.” “일부러 일삼아 뽐내지 않는다.” “일부러 일삼아 우쭐하지 않는다.”
皆是不有其有之意. 我旣虛心. 而無所爭於天下. 又何爭之有? 長, 可久也.
(“故明”, “故彰”, “故功”, “故長”은) 무릇 (일부러 일삼아 “見”, “是”, “伐”, “矜”을) 가지지 않지만, (저절로 그러하게 “明”, “彰”, “功”, “長”) 그것이 가져지게 된다는 뜻이다. “내(我; 聖人)”가 무릇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빈 마음인데, 다시 말해 (내 마음에 일부러 일삼아 “明”, “彰”, “功”, “長”을) “다투는 바”가 없는데, (따라서 나에게) 무릇 어찌 “다투는 바”가 있겠는가? “長”은 ‘오래 간다’(는 말)이다.
旣如此說了, 却提起前面曲則全一句, 作如此歸結. 亦是文之奇處. 天地之與我, 無所欠闕. 我, 但當全, 而歸之耳. 又它何所事也? 誠者, 實也. 言實當如此也. 曲, 枉, 窪, 幣. 四句, 皆是設喩. 以發明下面之意而已.
무릇, 이와 같이 이야기되게 되면, 무릇 처음의 “曲, 則全” 한 문장을 (다시) 이끌고 나와서 (그것을) 들어 올리게 되고, 그와 같이 (그것에게로) 되돌아가서 (그것에게서) 끝맺게 됨을 일으킨다. 무릇, 이 장文의 뛰어난 면모處이다. “천하天地”는 “나(我; 聖人)”와 더불어 (“하나一”를 가진다. 따라서) 흠欠이나 티闕가 되는 바(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다. (따라서) “나”는 무릇 마땅히 “(그것을) 온전하게 해야 하고”, 따라서 그것에게 “되돌아가야 할” 따름이다. 무릇, 달리, (나에게) 어찌 일삼아야 할 바가 있겠는가? “誠”은 ‘정말로實’(라는 말)이다. 이른바, ‘정말로’, 마땅히 그와 같이 해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반대로) “曲, 則全. 枉, 則直. 窪, 則盈. 幣, 則新.” 네 문장은 무릇 (이후 문장의 의미에 대한) 비유를 베푼設 것이다. (다시 말해) 이후 (문장)의 의미를 부연發明한 것일 따름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24. "일부러 일삼아 발을 드는 사람은 오래 서 있지 못한다." (0) | 2020.01.28 |
---|---|
노자권재구의 23.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 이것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이 많지 않다." (0) | 2020.01.23 |
노자권재구의 21. "언제 어디서나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왕성한 덕스러움의 모습" (0) | 2020.01.15 |
노자권재구의 20. "학문을 버리면 근심할 거리가 없어진다." (0) | 2020.01.11 |
노자권재구의 19.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을 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을 멀리하면" (0) | 2020.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