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23.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 이것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이 많지 않다." 본문
希言自然 23
希言. 自然! 故飄風, 不終朝. 驟雨, 不終日. 孰爲此者? 天地. 天地尙不能, 而況於人乎! 故從事於道者. 道者, 同於道. 德者, 同於德. 失者, 同於失. 同於道者,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同於失者, 失亦樂得之. 信不足, 有不信.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 이것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이 많지 않다. 저절로 그러함! 회오리바람은 한나절을 불지 못한다. 소나기는 하루를 내리지 못한다. 그것을 움직이고 일삼는 자, 누구인가? 하늘과 땅. (그러한) 하늘과 땅조차 오히려 오래 가지 못하거늘,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야! 그러므로 (사람은 하늘과 땅이 쫓고 따르는) 도道를 실천해야 한다. (그러므로) 도道를 실천하는 자, 도道에 어우러지게 된다. 덕스러움德을 얻는 자, 덕스러움德에 아우러지게 된다. (반대로, 도道에 대한 실천과 덕스러움德에 대한 얻음을) 잃어버리는 자, (그것을) 잃어버림에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된다. 도道에 어우러지는 자, 도道 또한 (그와 어우러짐) 그것을 얻음을 즐기게 된다. 덕스러움德에 아우러지는 자, 덕스러움德 또한 (그와 아우러짐) 그것을 얻음을 즐기게 된다. (그것을) 잃어버림에 어우러지고 아우러지는 자, (그것을) 잃어버림 또한 (그를 잃어버림) 그것을 얻음을 즐기게 된다. (왜냐하면, 도道는 실천할 수 있는 바이고, 덕스러움德은 얻을 수 있는 바인데, 그것이 그러함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면, (그것에 어우러지고 아우러짐에 대한) 믿지 못함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天地之間, 只自然. 兩字, 可以盡天地之理. 希, 少也. 謂此二字, 其言不多. 而天地之理, 不過如此而已.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 무릇 “自然.” (“自然”, 이) 두 글자는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理를 대변(代辯; 盡)할 수 있다. “希”는 (정도나 범위가 작거나) 적다少(는 뜻)이다. (따라서 “希言.”) 이 두 글자는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 그(것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이 많지 않음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 (“希言.” 이 두 글자는)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에 대해 할 수 있는 “말”, 그것은 “自然”), 이것과 같음에 불과할 따름(이라는 뜻)이다.
飄風, 驟雨, 雖天爲之. 而亦不終朝, 不終日. 人之得喪窮達, 又豈可常哉?
“회오리바람”, “소나기”는 무릇 “하늘”(과 “땅”)이 그것을 움직이고 일삼는다爲. 그러나 무릇 (“회오리바람”은) “한나절을 불지 못하고”, (“소나기”는) “하루를 내리지 못한다.” (그런데) “사람”의 (움직이고 일삼는 바인) “얻음得”·“잃음(喪; 失)”·다함窮·이름達이 무릇 어찌 “오래(常; 久)” 갈 수 있겠는가?
從事於道者, 言學道者也. 道, 行也. 德, 得也. 可行. 則行. 我亦無違焉. 可得. 則得. 我亦無違焉. 同者, 隨順. 而無違之意.
“從事於道者”는 이른바 “도道”를 배우는學 사람이다. “도道”는 (내가 “따르고 일삼는”, 다시 말해) 실천하는 바(行; 본질體·본성性·自然)이다. “덕스러움德”은 (내가 “따르고 일삼음”으로써) “얻게 되는 바(得; 작용用·행위命·무위無爲)”이다. (다시 말해, “도道”는 내가) 실천(行; 從·事)할 수 있는 바이다. 따라서 (나는 “도道”를) 실천하게 된다. (따라서) 나는 무릇 (“도道”를) 거스름이 없게 된다(無違; 同). (다시 말해, “덕스러움德”은 내가) “얻을” 수 있는 바이다. 따라서 (나는 “덕스러움德”을) “얻게 된다.” (따라서) 나는 무릇 (“덕스러움德”을) 거스름이 없게 된다. “同”은 “따르고(隨; 從)” “쫓는다(順; 事)”(는 뜻)이다. 다시 말해, 거스름이 없다는 뜻이다.
可行, 我亦樂得之. 可得, 我亦樂得之. 可失, 我亦樂得之. 行止, 得失. 我皆樂之.
(“도道”는 내가) 실천할 수 있는 (바인)데, (따라서 내가 “도道”를 실천하게 되면) 나는 무릇 “그것을 얻음을 즐기게 된다.” (“덕스러움德”은) 얻을 수 있는 (바인)데, (따라서 내가 얻게 되면) 나는 무릇 “그것을 얻음을 즐기게 된다.” (반면에, “도道”와 “덕스러움德”은) 잃어버릴 수 있는 (바인)데, (따라서) 나는 무릇 “그것을 잃어버림을 즐기게 된다.” (“도道”에 대한) 실천이 멈춰지게 되면, (“덕스러움德”에 대한) “얻음”이 잃어버려지게 된다. (따라서) 나는 무릇 (“얻음”을 “잃어버림”) 그것을 즐기게 된다.
此, 所以爲知道之士. 然此事, 須信得及方可. 若信處, 纔有未足, 則於此有不能自信者. 故曰: 信不足, 有不信.
이것이 “도道”를 배우는知 사람이 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해, (“도道”를 배우는) 그 일事은 무릇 (“도道”가 배울 수 있는 바임에 대한) “믿음”이 “얻어지고” 이내 무릇 가능하다. 만약, (“도道”가 배울 수 있는 바임에 대한) “믿음”의 자리(處; 정도나 범위)가 무릇 충분하지 못함을 가지게 되면, 따라서 (그 일) 그것은 저절로 믿을 수 없는 바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믿음이 부족하면, 믿지 못함이 생겨난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25장. "사람은 땅을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0) | 2020.01.30 |
---|---|
노자권재구의 24. "일부러 일삼아 발을 드는 사람은 오래 서 있지 못한다." (0) | 2020.01.28 |
노자권재구의 22. "휘어지라, 따라서 온전해진다." (0) | 2020.01.19 |
노자권재구의 21. "언제 어디서나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왕성한 덕스러움의 모습" (0) | 2020.01.15 |
노자권재구의 20. "학문을 버리면 근심할 거리가 없어진다." (0) | 202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