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19.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을 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을 멀리하면" 본문
絶聖棄智 19
絶聖棄智, 民利百倍. 絶仁棄義, 民復孝慈. 絶巧棄智, 盜賊無有. 此三者以爲文不足. 故令有所屬. 見素抱樸. 少私寡欲.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을 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을 멀리하면, 천하 사람들의 이로움이 백배가 된다.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인仁을 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의義를 멀리하면, 천하 사람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돌이킨다. (임금이 일부러 일삼아 잘 만든) 빼어남을 내버리고, (일부러 일삼아 잘 갈린) 날카로움을 멀리하면, (천하 사람들의 일부러 일삼은) 훔침이나 빼앗음이 없어진다.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과 ‘지혜로움’, 일부러 일삼은 ‘인仁’과 ‘의義’, 일부러 일삼아 잘 만든 ‘빼어남’과 잘 갈린 ‘날카로움’) 이 세 가지는 말단인 바로서 (천하 사람들을 다스리기에) 부족하다. 그러므로 (근본인 바로서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도道를) 따르게 하고, (그것에게) 모이는 바가 있게 해야 한다. (다시 말해, 근본인 도道로서) 소박한 바를 살피고 품게 해야 한다. (말단으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작고 적게 해야 한다.
聖知之名出, 而後天下之害生. 不若絶之棄之. 而天下自利.
“성스러움聖”과 “지혜로움(知; 智)”이라는 (일부러 일삼은) 이름이 생겨나면出, (“천하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얻고자 한다) 따라서 뒤따라 “천하 사람들(天下; 民)”에게 해로움이 생겨난다生. (따라서 그것은) “내버리고絶” “멀리함棄”만 같지 못하다. 따라서 “천하 사람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이롭게 된다.”
仁義之名出, 而後有孝不孝, 慈不慈, 分別之論. 不若絶而去之, 與道, 相忘. 則人皆歸於孝慈之中. 而無所分別也.
“인仁”과 “의義”라는 (일부러 일삼은) 이름이 생겨나면出, (“천하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얻고자 한다) 따라서 뒤따라 (“천하 사람들”에게) “효성스러운 바孝”와 효성스럽지 못한 바, “자애로운 바慈”와 자애롭지 못한 바를 (일부러 일삼아) 나누고分 가르는別 다툼論이 생겨난다有. (따라서 그것은) “내버리고” “멀리함(去; 棄)”만 같지 못하고, (따라서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도(道; 본성)와 더불어 함만 같지 못하며, (따라서 그것은) 모두相 잊음만 같지 못하다. 따라서 “천하 사람들(人; 民)”이 무릇 (저절로 그러한)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의 가운데(中; 道)를 “돌이키게 된다(歸; 復).” 따라서 (“천하 사람들”이 무릇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 가르는 바가 없게 된다.
巧利作, 而後盜賊起. 不若絶而棄之. 卽所謂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也.
“(잘 만든) 빼어남巧”과 “(잘 갈린) 예리함利”(이라는 일부러 일삼은 이름)이 생겨나면作, (“천하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그것을 얻고자 한다) 따라서 뒤따라 (“천하 사람들”에게 일부러 일삼은) “훔침”과 “빼앗음”이 생겨난다起. (따라서 그것은) “내버리고” “멀리함”만 같지 못하다. (따라서) 무릇 (노자가) 일컬은 바, “얻기 어려운 물건으로써 (임금의 위상을) 귀해지게 하지 않음, 백성을 도둑질하지 않게 하는 바(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3장).”
聖智, 仁義, 巧利, 三者, 皆世道日趨於文. 故有此名.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과 “지혜로움”, (일부러 일삼은) “인仁”과 “의義”, (일부러 일삼아 잘 만든) “빼어남”과 (잘 갈린) “날카로움”, (이) 세 가지는 무릇 (17장이 일컬은 “그 아래其次”) “세상의 도道”가 날로 쫓는 “文(말단)”이다. 따라서 (“文”은) 그러한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인) 이름을 가진다.
以知道者, 觀之是文也. 反不足以治天下. 不若屬民而使之. 見素抱樸. 少私寡欲. 而天下自無事矣. 令, 使也. 屬, 猶周禮: 屬民, 讀法之屬也.
따라서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도(道; 근본)를 아는 사람은 “文”이 그러함是을 헤아린다觀. (다시 말해, “文”으로써) “천하 사람들天下”을 다스리기에 부족함을 “돌이킨다反.” (따라서) “천하 사람들”을 (도道에게) “모이게 하고屬” (도道를) 따르게 함使만 같지 못하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근본인) “소박한 바(素·樸; 道)를 살피고 품어라.” (말단인)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私·欲; 文)를 작게 하고 적게 하라.” 따라서 “천하 사람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는 바(事; 文)가 없게 된다. “令”은 따르게 한다使(는 뜻)이다. “屬”은 『주례周禮』가 일컬은 “천하 사람들을 모이게 하고, 나라의 법령을 읽게 했다(屬民, 而讀邦法 『周禮』 「지관사도地官司徒」 당정黨正)”고 할 때의 “모이게 한다”(는 뜻)이다.
此意, 蓋謂: 文治愈勝, 世道愈薄. 不若還淳反朴. 如上古之時也. 此, 亦一時憤世之言.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뜻, (그것은) 무릇 이른바, (말단인) “‘文’의 다스림이 무릇 (도道의 다스림을) 넘어서면勝, 세상의 도道가 무릇 얇아진다薄.” (따라서) “소박한 바(淳; 素)”로 돌아가고還, “소박한 바(朴; 樸)”를 “돌이킴”만 같지 못하다. (다시 말해,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뜻, 그것은 무릇 이른바) 비유컨대, (17장이 일컬은) “아주 먼 옛날(上古; 太上)의 때(로 돌아가고, 그것을 돌이켜야 한다).” (다시 말해) 이 장은 무릇 (노자가 말단인 “文”의 다스림이 아주 두터웠던, 따라서 근본인 도道가 아주 얇아졌던) 당시의 세상을 탄식한 장(章; 言)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21. "언제 어디서나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왕성한 덕스러움의 모습" (0) | 2020.01.15 |
---|---|
노자권재구의 20. "학문을 버리면 근심할 거리가 없어진다." (0) | 2020.01.11 |
노자권재구의 18. "큰 도가 망가지고 어그러지면" (0) | 2020.01.03 |
노자권재구의 17장. "나는 저절로 그러하다." (0) | 2020.01.01 |
노자권재구의 16. "일부러 일삼는 마음이 없는 텅 빔의 극점에 이르라."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