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21. "언제 어디서나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왕성한 덕스러움의 모습" 본문
孔德之容 21
孔德之容, 唯道是從. 道之爲物, 唯恍唯惚. 惚兮恍! 其中有象. 恍兮惚! 其中有物. 窈兮冥兮! 其中有精. 其精甚眞. 其中有信. 自古及今, 其名不去. 以閱衆甫. 吾何以知衆甫之然哉? 以此.
(언제 어디서나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왕성한 덕스러움德의 모습, 무릇 도道 이것이 따르는 바. 도道의 모습, 무릇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없는 바.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하구나! (그러나) 그러한 가운데 실상을 가진다.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구나! (그러나) 그(러한) 가운데 실정을 가진다. 어둑하고 어둑하구나! (그러나) 그(러한) 가운데 정밀함을 가진다. (그러므로) 그(러한) 정밀한 바는 아주 참되다. (그러므로) 그(러한) 가운데 미더움을 가진다. 아주 먼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이름이 사라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유컨대) 온갖 아름다움은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그러하게 갖추어진 채) 이어지고 이어졌다. 내가 어찌 온갖 아름다움(이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그러하게 갖추어진 채, 이어지고 이어진 바임)을 알겠는가? 도道(가 그것이고, 도道가 그러한 바임을 앎으)로써.
孔, 盛也. 知道之士, 喩道是從. 而其見於外也. 自有盛德之容. 德之爲言, 得也. 得之於己, 曰: 德. 道, 不可見. 而德, 可見. 故以德爲道之容. 孟子曰: 動容周旋中禮, 盛德之至. 與此句差異. 但讀老莊者, 當以莊老字義觀之.
“孔”은 (‘아주 먼 옛날’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끝남이나 다함이 없다는 말로서, 언제 어디서나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왕성하다(盛; 동사動詞)’는 뜻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도道”를 알아차리는 사람, 무릇 (언제 어디서나) “도道, 이것이 따른다.” 다시 말해, (“도道”에 대한 알아차림) 그것이 (언제 어디서나) 밖(外; 실천)으로 드러난다. (다시 말해, “도道”를 알아차리는 사람은) 무릇 “왕성한” “덕스러움德”의 “모습”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德”이 일컬어지는 바, ‘얻는다得’이다. (다시 말해,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그러하게) 자신에게 얻어지게 되는 바, (그것을) 일컬어 “덕스러움(德; 본성).” (다시 말해) “도道”는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없다. 그러나 “덕스러움德”은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있다. 다시 말해, “덕스러움德”은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그러하게 자신에게 얻어지게 되는 바, 다시 말해 언제 어디서나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이 “왕성한”) “도(道; 본성)”의 “모습(容; 物)”이다. (그런데) 맹자孟子는 일컬었다. “(그 일삼음이나) 움직임動의 모습이 언제周 어디서나旋 예禮의 가운데 자리함中은 ‘성대한(盛; 형용사形容詞)’ 덕스러움德에 이름至이다(『맹자孟子』 진심하盡心下).” (다시 말해, 이 한 “孔” 자字가) 이 (두) 문장(에서 그 뜻)이 (‘왕성하다盛’와 ‘성대하다盛’로) 더불어 어긋나고差 다르다異. 따라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를 읽는 사람은 마땅히 『장자』와 『노자』 (속)의 글자(字; “孔”)와 뜻(義; 왕성하다盛)으로써 (『장자』와 『노자』가 전하고자 하는 바) 그것을 헤아려야 한다觀.
唯恍, 唯惚. 言道之不可見也. 雖不可見. 而又非無物. 故曰: 其中有象. 其中有物. 其中有精. 此, 則眞空, 而後實有也.
“唯恍唯惚.” 이른바, “도道”는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없다(는 뜻)이다. (“도道”는) 무릇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없다. 왜냐하면, 무릇 (“도道”는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있는 만물things·event과 같은) “모습(物; 容)”(을 가짐)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필 수 있는 사물이나 사건과 같은 “모습”을 가짐이 ‘있는’ “덕스러움德” 그것은 “무릇 도道의 모습 이것이 따른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한) 그(러한) 가운데 ‘실상象’을 가진다.”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한) 그(러한) 가운데 ‘실정物’을 가진다.”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한) 그(러한) 가운데 (‘실정’에 어긋나지 않고 ‘실정’에 벗어나지 않는) ‘정밀함精’을 가진다.” 이것이 무릇 (종밀이 일컬은) “텅 빈 바空, (따라서) 참된 바眞, 그리고 있는 바有 (따라서) 실상에 어긋나지 않고 (실정에) 벗어나지 않는 바實(7장 권재주)”(라는 말의 뜻)이다.
其精甚眞. 其中有信. 此兩句, 發明無物之中, 眞實有物, 不可以爲虛言也. 信, 實也.
“其精甚眞. 其中有信.” 이 두 문장은 ‘(또렷하고 뚜렷한) “모습”(을 가짐)이 없는 가운데 또렷하고眞 뚜렷한實 “모습”을 가진다는 말이 빈 말이 될 수 없음’을 부연한다發明. “信”은 실제적이다實(는 뜻)이다.
道之名, 在於古今. 一日, 不可去. 而萬善, 皆有此出. 衆甫, 衆美也. 閱, 歷閱也. 萬善往來, 皆出此道也. 以此者, 以道也. 言衆甫之所自出, 吾何以知其然? 蓋以此道而已. 此等結語, 亦其文字之精處.
“도道”의 “이름名”은 “아주 먼 옛날”이나 “지금”이나 (만물에) 자리한다. 단 하루도 (그것에서) “떨어질去” 수 없다. 다시 말해, (비유컨대) 온갖 ‘착한 바(善; 만물)’는 무릇 “그것”을 가지고有 태어났다出. “衆甫”는 (비유컨대) “온갖” ‘아름다운 바(美; 만물)’이다. “閱”은 이어지고歷 “이어졌다閱”(는 말)이다. “온갖(萬; 衆)” ‘착한 바’가 “가고(往; 去)” 옴(來; 生·出)은 무릇 이 “도道”에서 (생기고) 나왔다. “以此”는 ‘以道’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吾何以知衆甫之然哉? 以此.” 그 뜻은) 이른바, (비유컨대) “온갖 아름다운 바”가 저절로 (생겨) 나온 곳所, “내가 어찌 그(것이 무엇이고, 그것이) 어떠한 (것인)지 알겠는가?” 무릇, 그(것이) “도道”(이고, 그것이 그러한 것임을 앎으)“로써”일 따름이다. 이와 같은 맺음말, 무릇 (노자의) 그 문장(文; 구조)과 문자(字; 의미)의 정밀한 면모處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23. "하늘과 땅 사이의 움직임과 일삼음의 이치, 이것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이 많지 않다." (0) | 2020.01.23 |
---|---|
노자권재구의 22. "휘어지라, 따라서 온전해진다." (0) | 2020.01.19 |
노자권재구의 20. "학문을 버리면 근심할 거리가 없어진다." (0) | 2020.01.11 |
노자권재구의 19.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성스러움을 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을 멀리하면" (0) | 2020.01.06 |
노자권재구의 18. "큰 도가 망가지고 어그러지면" (0) | 2020.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