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36장 :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다" 본문

초원산책

초원담노 제36장 :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다"

독립출판 무간 2018. 9. 2. 18:07


36

 

 

장욕흡지將欲歙之, 필고장지必固張之. 장욕약지將欲弱之, 필고강지必固强之. 장욕폐지將欲廢之, 필고흥지必固興之. 장욕탈지將欲奪之, 필고여지必固與之. 시위미명是謂微明. , 승강勝剛. , 승강勝强. , 불가탈어심연不可脫於深淵. 방지이기邦之利器, 불가이시인不可以示人.

 

장차 그것을 구부리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펴주어야 한다. 장차 그것을 약화시키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강화시켜 주어야 한다. 장차 그것을 폐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흥하게 해 주어야 한다. 장차 그것을 빼앗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내주어야 한다. 이것을 미명微明이라 일컫는다. 부드러운 것은 딱딱한 것을 이긴다. 연한 것은 굳센 것을 이긴다. 물고기는 깊은 연못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 나라를 날카롭게 하는 기물은 백성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장차 구부리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펴주어야 하고”, “장차 약화시키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강화시켜 주어야 하며”, “장차 폐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흥하게 해 주어야 하고”, “장차 빼앗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내주어야 하는”, 이 네 가지는 (서로가 서로에게) 기대어 있고 엎드려 있으며,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다. 하늘이 움직이고 일삼는 이치와 사람이 살아가는 일에 있어서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바이고, (따라서) 벗어서는 안 되는 바이다. (러한) 실상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일일이 (그것을) 들어 보이기 어렵지만, (러한) 이치는 동이 트면 만물이 뚜렷하게 드러나듯이 (그것을) 알아차리기 쉽다. 따라서 성인은 만물이 변화하는 실상에 대해서 차분하고 느긋한 것이고, (그 이치에 따라서 그것이) 낡아지면 날마다 새롭게 하는 것이다. 무릇, (성인은) “부드럽고” “연한것으로써 딱딱하고” “굳센것을 이기게 한다. () 잡은 바(일삼는 이치)는 지극히 간략하지만, () 쓰인 바(일삼은 실상)는 지극히 신령스럽다. (따라서) 진실로 이 이치를 말미암지 않는다면, 위와 같이 물고기가 연못을 벗어나게 되고”, “나라를 날카롭게 하는 기물을 백성에게 보임으로써, (3장에서와 같이, 백성이 그것을 얻기 위해서) 다툼을 벌이고 도둑질을 일삼게 되며, (물고기가) 물을 잃고 (따라서) 죽게 되며, (33장에서와 같은) ‘스스로를 이기는 사람으로 사는 바탕을 잃어버린 채, 다른 사람으로부터 다스림을 받게 된다. (따라서) 어찌 언제 어디서나 (서로가 서로에게) ‘기대어 있고 엎드려 있는실상을 벗어(나고,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이치를 벗어)나겠는가? (翕張, 弱强, 廢興, 奪與, 是四者, 倚伏, 而相尋. 天道人事之必然, 而莫能逃者. 其數雖微, 而其理易暏. 是以聖人, 超然物化之原, 能敝而日新者. , 以柔弱, 勝剛强. 所操者, 至約, 而所用者, 至神. , 不由是道, 是魚脫於淵, 而以利器示人, 則是振動透露, 失其所以自勝者, 而受制於物. 何能逃於倚伏之恒數乎?)

 

해 설

노자가 , 勝剛, 勝强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부드러운 것이 딱딱한 것을 이긴다거나 연한 것이 굳센 것을 이긴다는 사실이 아니라, “하얀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키듯이”(知其白, 守其黑 : 28), 딱딱하고 굳셈을 이기는 부드럽고 연함을 온전하게 유지하고”(專氣致柔 : 10), 따르는 것”(執大象, 天下往 : 35)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노자가 말한 는 백성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아 다툼을 벌이게 하고, 도둑질을 일삼게 하며(, 爲盜 : 3)”, “눈을 멀게 하고, 귀를 멀게 하며, 입맛을 망가뜨리고, 행동을 어지럽게 함으로써(令人目盲, 令人耳聾, 令人口爽, 令人心發狂, 令人行妨 : 12)”, 단절과 대립, 갈등과 투쟁이 중심이 되는 세상으로 변질시킨다는 의미이다.

노자가 말한 나라를 날카롭게 하는 기물國之利器에는 제2장의 ”, “難得之貨”, 9장의 ”, “”, 12장의 五色”, “五音”, “五味”, “馳騁畋獵”, 13장의 ”, 18장의 ”, “”, “忠臣”, 19장의 ”, “”, “”, “”, “”, 20장의 ”, 24장의 ”, “”, “自見”, “自是”, “自伐”, “自矜”, 27장의 轍迹”, “瑕謫”, “籌策”, “關鍵”, “繩約등이 속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