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29장 왕필주 "장차, 전하를 취해서,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한다면..." 본문

왕필산책

왕필산책 : 도덕경 제29장 왕필주 "장차, 전하를 취해서,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한다면..."

독립출판 무간 2018. 3. 5. 08:28


29

 

 

, 욕취천하欲取天下, 이위지而爲之, 오견기부득이吾見其不得已. 천하天下, 신기神器.

불가위야不可爲也. 위자爲者, 패지敗之. 집자執者, 실지失之.

고물故物, 혹행혹수或行或隨, 혹허혹취或歔或吹, 혹강혹리或强或羸, 혹좌혹휴或挫或隳. 시이성인是以聖人, 거심去甚, 거사去奢, 거태去泰.

 

장차, ‘천하를 취해서,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한다면, 나는 그 (일부러 일삼음이) 부득이해야 함을 안다. ‘천하는 신령스러운 기물(이기 때문)이다.

(그러하므로 천하는 함부로) 일부러 일삼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함에도 천하) 일부러 일삼는 사람은 그것을 어그러뜨린다. (일부러 일삼아 천하) 붙잡는 사람은 그것을 망가뜨린다.

만물은 혹은 앞서고 혹은 뒤서며, 혹은 차갑고 혹은 따뜻하며, 혹은 강하고 혹은 약하며, 혹은 위로 솟고 혹은 아래로 꺼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그것에 벗어나) 지나친 것을 버리고, 넘치는 것을 버리며, 치우친 것을 버리는 것이다.

 

 

, 欲取天下, 而爲之, 吾見其不得已. 天下, 神器.

신령스러움(드러나는) 형상이 (없어서 그 모습을 살펴볼 수) 없고, (나아가는) 방향이 (없어서 그 기미를 알아차릴 수) 없다. “기물은 모여서 이루어진 (바이). (“天下) ‘형상 없음모임이다. 따라서 그것을 神器라 일컬은 것이다(, 無形, 無方也. , 合成也. 無形以合. 故曰之神器也).

 

해 설

노자가 말한 것처럼 천하가 신령스러운 기물天下, 神器인 이유는 첫째 도가 언제나 천하와 함께 있고, 둘째 도가 어디서나 천하와 함께 하며, 셋째,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로서, 천하에 내재하기 때문이다.

왕필주 무형無形합성合成天下실재實在가 아니라, 일종의 범주範疇임을 암시하고 있다. 노자가 제25장에서 말한 과 의미가 통한다.

 

 

不可爲也. 爲者, 敗之. 執者, 失之.

만물萬物(가 따르는(, 法自然 : 25)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를 본성으로 삼는다. 따라서 (그러한 만물모여서 이루어진合成 천하”, 그것을) 말미암아야지, “일부러 일삼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러한 만물모여서 이루어진’ “천하”, 그것과) 어울려야지,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붙잡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만물(언제 어디서나) 한결같은본성을 소유하고 있는데, (어떤 사람이) 일부러 일삼아 (무엇을) 만듦으로서 (만물로 하여금) “그것을 일부러 일삼게 하면”, 반드시 (한결같은본성을) “어그러뜨리게 된다.” 만물(한결같은본성에 따라서) 오고 가는데, (한결같은본성에 따른 오고 감)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붙잡게 되면”, 반드시 (한결같은본성에 따라서 오고 감, 그것을) “망가뜨리게 된다”(萬物, 以自然爲性. 故可因, 而不可爲也. 可通, 而不可執也. 物有常性, 以造爲之, 故必敗也. 物有往來, 而執之, 故必失矣).

 

해 설

왕필주 물유왕래物有往來에서 往來는 두 가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往來살아감(: 2)”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往來는 만물 또는 세계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往來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만물 또는 세계는 다음의 사실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첫째, 만물 또는 세계는 서로 관계한다. 이 때, 관계한다는 것은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둘째, 만물 또는 세계는 부단히 변화한다. 이 때, 변화한다는 것은 운동한다, 작용한다, 활동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와 변화는 스스로 혹은 저절로 이루어진다. 이 때, 스스로 혹은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왕필이 말한 집지執之는 그 살아감이나 관계가로 막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故物, 或行或隨, 或歔或吹, 或强或羸, 或挫或隳. 是以聖人, 去甚, 去奢, 去泰.

무릇, 이와 같은 모든 만물(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라서 그것을) 섬기기도 하고, 거스르기도 하며, 따르기도 하고, 되돌아가기도 하며, 뒤집기도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일부러) 베풀거나, “일삼거나”, “붙잡거나”, 나눠서는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聖人(만물이 본성으로 삼는) 저절로 그러한 바의 지극함을 따르며, (그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르는) 만물萬物실정을 펼친다. 다시 말하면, (“聖人은 만물이 본성으로 삼는 저절로 그러한 바, 그것을) 말미암지, (자신이 무엇을) 일부러 일삼지 않는다. (그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르는 만물의 실정, 그것을) 따르지, (자신이 일부러 일삼아 무엇을) 베풀지 않는다. (“聖人은 일부러 일삼아) (만물이 본성으로 삼는 저절로 그러한 바 또는 그것에 따르는 만물의 실정이) 치우치게 되는 원인을 제거한다. 따라서 (만물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 것이며, 만물의 본성이 저절로 실천(혹은 실현)되게 되는 것이다(, 此諸或, 言物, , , , , . 不施, , , 割也. 聖人, 達自然之至, 暢萬物之情. 故因, 而不爲. , 而不施. 除其所以惑. 故心, 不亂, 而物性, 自得之也).

 

해 설

노자가 말한 或行或隨, 或歔或吹, 或强或羸, 或挫或隳는 제28장의 하얀 것이나 검은 것”, “수컷이나 암컷과 마찬가지로 그 존재양태 내지 존재양식에 있어서 만물 또는 세계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성을 상징한다. 2장의 ”, “”, “”, “”, “”, “”, 22장의 ”, “”, “”, “”, “”, “등과 의미가 통한다.

왕필이 말한 , , , , 은 제28장 왕필주의 앞에 섬이나 뒤에 섬과 마찬가지로 그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혹은 그것에 따르는 운동양태 내지 운동양식)’에 있어서 만물 또는 세계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성을 상징한다.

왕필주 장만물지정暢萬物之情에서 커지게 하거나’ ‘늘어나게 한다는 의미이며,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따르는 만물 또는 세계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등을 의미한다.

왕필이 말한 베푼다는 것은 시행施行한다는 의미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