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29장 왕필주 "장차, 전하를 취해서,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한다면..." 본문
제 29 장
장將, 욕취천하欲取天下, 이위지而爲之, 오견기부득이吾見其不得已. 천하天下, 신기神器.
불가위야不可爲也. 위자爲者, 패지敗之. 집자執者, 실지失之.
고물故物, 혹행혹수或行或隨, 혹허혹취或歔或吹, 혹강혹리或强或羸, 혹좌혹휴或挫或隳. 시이성인是以聖人, 거심去甚, 거사去奢, 거태去泰.
장차, ‘천하’를 취해서,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한다면爲, 나는 그 (일부러 일삼음이) 부득이해야 함을 안다. ‘천하’는 신령스러운 기물(이기 때문)이다.
(그러하므로 ‘천하’는 함부로) 일부러 일삼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함에도 ‘천하’를) 일부러 일삼는爲 사람은 그것을 어그러뜨린다敗. (일부러 일삼아 ‘천하’를) 붙잡는執 사람은 그것을 망가뜨린다失.
만물은 혹은 앞서고 혹은 뒤서며, 혹은 차갑고 혹은 따뜻하며, 혹은 강强하고 혹은 약羸하며, 혹은 위로 솟고 혹은 아래로 꺼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그것에 벗어나) 지나친 것甚을 버리고, 넘치는 것奢을 버리며, 치우친 것泰을 버리는 것이다.
將, 欲取天下, 而爲之, 吾見其不得已. 天下, 神器.
“신령스러움神”은 (드러나는) 형상이 (없어서 그 모습을 살펴볼 수) 없고, (나아가는) 방향이 (없어서 그 기미를 알아차릴 수) 없다. “기물器”은 모여서 이루어진 (바이)다. (“天下”는) ‘형상 없음’의 ‘모임’이다. 따라서 그것을 “神器”라 일컬은 것이다(神, 無形, 無方也. 器, 合成也. 無形以合. 故曰之神器也).
【해 설】
노자가 말한 것처럼 “천하가 신령스러운 기물天下, 神器”인 이유는 첫째 도道가 언제나 ‘천하’와 함께 있고, 둘째 도道가 어디서나 ‘천하’와 함께 하며, 셋째,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로서, 도道가 ‘천하’에 내재하기 때문이다.
왕필주 “무형無形”과 “합성合成”은 “天下”가 ‘실재實在’가 아니라, 일종의 ‘범주範疇’임을 암시하고 있다. 노자가 제25장에서 말한 “域”과 의미가 통한다.
不可爲也. 爲者, 敗之. 執者, 失之.
‘만물萬物’은 (도道가 따르는(道, 法自然 : 제25장)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를 본성으로 삼는다. 따라서 (그러한 ‘만물’이 ‘모여서 이루어진合成’ “천하”, 그것을) 말미암아야지, “일부러 일삼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러한 ‘만물’이 ‘모여서 이루어진’ “천하”, 그것과) 어울려야지通,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붙잡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만물物은 (언제 어디서나) 한결같은常 본성을 소유하고 있는데, (어떤 사람이) 일부러 일삼아 (무엇을) 만듦으로서 (만물로 하여금) “그것을 일부러 일삼게 하면”, 반드시 (그 ‘한결같은’ 본성을) “어그러뜨리게 된다.” 만물物은 (그 ‘한결같은’ 본성에 따라서) 오고 가는데, (그 ‘한결같은’ 본성에 따른 오고 감)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붙잡게 되면”, 반드시 (그 ‘한결같은’ 본성에 따라서 오고 감, 그것을) “망가뜨리게 된다”(萬物, 以自然爲性. 故可因, 而不可爲也. 可通, 而不可執也. 物有常性, 以造爲之, 故必敗也. 物有往來, 而執之, 故必失矣).
【해 설】
왕필주 “물유왕래物有往來”에서 往來는 두 가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往來는 “살아감(生 : 제2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往來는 만물 또는 세계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往來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만물 또는 세계는 다음의 사실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첫째, 만물 또는 세계는 서로 관계한다. 이 때, 관계한다는 것은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둘째, 만물 또는 세계는 부단히 변화한다. 이 때, 변화한다는 것은 운동한다, 작용한다, 활동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와 변화는 스스로 혹은 저절로 이루어진다. 이 때, 스스로 혹은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왕필이 말한 “집지執之”는 그 ‘살아감’이나 ‘관계’를 ‘가로 막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故物, 或行或隨, 或歔或吹, 或强或羸, 或挫或隳. 是以聖人, 去甚, 去奢, 去泰.
무릇, 이와 같은 모든 “或”은 만물物이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라서 그것을) 섬기기도 하고, 거스르기도 하며, 따르기도 하고, 되돌아가기도 하며, 뒤집기도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일부러) 베풀거나, “일삼거나”, “붙잡거나”, 나눠서는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聖人”은 (만물이 본성으로 삼는) 저절로 그러한 바의 지극함을 따르며, (그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르는) 만물萬物의 실정情을 펼친다. 다시 말하면故, (“聖人”은 만물이 본성으로 삼는 저절로 그러한 바, 그것을) 말미암지, (자신이 무엇을) 일부러 일삼지 않는다. (그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르는 만물의 실정, 그것을) 따르지, (자신이 일부러 일삼아 무엇을) 베풀지 않는다. (“聖人”은 일부러 일삼아) 그 (만물이 본성으로 삼는 저절로 그러한 바 또는 그것에 따르는 만물의 실정이) 치우치게 되는惑 원인을 제거한다. 따라서 (만물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 것이며, 만물物의 본성이 저절로 실천(혹은 실현)되게 되는 것이다(凡, 此諸或, 言物, 事, 逆, 順, 反, 覆. 不施, 爲, 執, 割也. 聖人, 達自然之至, 暢萬物之情. 故因, 而不爲. 順, 而不施. 除其所以惑. 故心, 不亂, 而物性, 自得之也).
【해 설】
노자가 말한 “或行或隨, 或歔或吹, 或强或羸, 或挫或隳”는 제28장의 “하얀 것白”이나 “검은 것黑”, “수컷雄”이나 “암컷雌”과 마찬가지로 그 존재양태 내지 존재양식에 있어서 만물 또는 세계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성을 상징한다. 제2장의 “有”와 “無”, “難”과 “易”, “長”과 “短”, “高”와 “下”, “音”과 “聲”, “前”과 “後”, 제22장의 “曲”과 “全”, “枉”과 “直”, “窪”와 “盈”, “幣”와 “新”, “少”와 “得”, “多”와 “惑” 등과 의미가 통한다.
왕필이 말한 “사事, 역逆, 순順, 반反, 복覆”은 제28장 왕필주의 “앞에 섬先”이나 “뒤에 섬後”과 마찬가지로 그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혹은 그것에 따르는 운동양태 내지 운동양식)’에 있어서 만물 또는 세계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성을 상징한다.
왕필주 “장만물지정暢萬物之情”에서 暢은 ‘커지게 하거나伸’ ‘늘어나게 한다張’는 의미이며, 情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따르는 만물 또는 세계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 등을 의미한다.
왕필이 말한 “베푼다施”는 것은 ‘시행施行한다’는 의미이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31장 왕필주 "무릇, 병장기를 아름답게 여김은 상서롭지 못한 일이다" (0) | 2018.03.06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0장 왕필주 "도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사람은 그 임금으로 하여금 무력으로써 천하에 군림하게 하지 않는다" (0) | 2018.03.06 |
왕필산책 : 도덕경 제28장 왕필주 "수컷을 알고, 암컷을 지면, 천하의 시내가 될 수 있다" (0) | 2018.03.04 |
왕필산책 : 도덕경 제27장 왕필주 "잘 다스리는 사람은 허물이 없다" (0) | 2018.03.03 |
왕필산책 : 도덕경 제26장 왕필주 "무거움은 가벼움의 근본이 된다" (0) | 201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