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45장 왕필주 "큰 이룸은 결함이 있는 듯하지만, 그 일삼음에 폐해가 없다" 본문
제 45 장
대성약결大成若缺, 기용불폐其用不弊.
대영약충大盈若沖, 기용불궁其用不窮.
대직약굴大直若屈.
대교약졸大巧若拙.
대변약눌大辯若訥.
조승한躁勝寒, 정승열靜勝熱, 청정위천하정淸靜爲天下正.
큰 이룸은 결함이 있는 듯하지만, 그 일삼음에 폐해가 없다.
크게 찬 것은 텅 빈 듯하지만, 그 일삼음에 멈춤이 없다.
아주 곧은 것은 굽은 듯하다.
아주 뛰어난 기예巧는 서투른 듯하다.
아주 훌륭한 논변辯은 어눌한 듯하다.
분주함은 추위를 이기고, 고요함은 더위를 이기며, 맑음과 고요함이 천하를 바르게 한다.
大成若缺, 其用不弊.
(도道는) 만물을 따라서 이룬다. 한결같은一 모양象을 일부러 일삼지爲 않는다. 따라서 “결함이 있는 듯하다”는 것이다(隨物, 而成. 不爲一象. 故若缺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大成”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는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비유한다.
왕필주 “隨物, 而成”에서 隨物은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不爲一象”은 “하나로 모아서 합침이나 하나씩 나누어 가름을 견지하지 않는다(不持全別 : 제41장 왕필주)”는 뜻으로서,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성, 변화성, 자기 원인성 내지 자기 충족성을 무시한 채,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통합하거나 분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大盈若沖, 其用不窮.
(도道는) 크게 차서 충족되어 있다. 만물을 따라서 더불어 한다與. (자신의 입장 또는 공적을) 내세우거나愛 우쭐거리지矜 않는다. 따라서 “텅 비어 있는 듯하다”는 것이다(大盈, 充足. 隨物, 而與, 無所愛矜. 故若沖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大盈”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비유한다.
왕필주 “隨物, 而與”에서 隨物은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다는 의미이며, 與는 제41장 왕필주 “貸之, 非唯供其乏而已. 一貸之, 則足以永終其德”과 의미가 통하는데, ‘도道의 움직임’ 내지 ‘도道의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이 만물 각자의 움직임이나 일삼음, 만물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와 언제나 ‘함께 하며’ 어디서나 ‘어울리는’ 것으로서(同通 : 제40장 왕필주), 만물 각자에 내재함을 암시하는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大直若屈.
(도道는) 만물을 따라서 곧게 한다. 곧게 하지만, (일부러 일삼은) 한결같음一에 머물지在 않는다. 따라서 “굽은 듯하다”는 것이다(隨物, 而直. 直, 不在一. 故若屈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大直”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비유한다.
왕필주 “隨物, 而直”에서 隨物은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直, 不在一”은 “하나로 모아서 합침이나 하나씩 나누어 가름을 견지하지 않는다(不持全別 : 제41장 왕필주)”는 뜻으로서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성, 변화성, 자기 원인성 내지 자기 충족성을 무시한 채,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통합하거나 분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大巧若拙.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大巧은 (만물 각자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에 따라서 그릇을 만든다. 일부러 꾸며서造 다르게 보이게 하거나異 일부러 일삼아서爲 바르게 고치지端 않는다. 따라서 (그렇게 하는 경우에 비해서) “서툰 듯하다”는 것이다(大巧, 因自然, 而成器. 不造爲異端. 故若拙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大巧”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비유한다.
왕필주 “因自然, 而成器”에서 因은 “바탕으로 삼거나 근본으로 삼는다(本, 基 : 제39장)”는 의미이며, 自然은 만물 각자의 본성 또는 본성의 명령에 따르는 모양, 상태, 성질 등을 의미한다.
왕필주 “不造爲異端”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大辯若訥.
훌륭한 말솜씨를 가진 사람大辯은 만물( 각자의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서 말한다. 스스로 일부러 꾸미는造 바가 없다. 따라서 (그렇게 하는 경우에 비해서) “어눌한 듯하다”는 것이다(大辯, 因物, 而言. 己無所造. 故若訥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大辯”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비유한다.
왕필주 “因物, 而言”에서 因은 “바탕으로 삼거나 근본으로 삼는다(本, 基 : 제39장)”는 의미이며, 物은 만물 각자의 본성 또는 본성의 명령에 따른 모양, 상태, 성질 등을 의미한다.
왕필주 “己無所造”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躁勝寒, 靜勝熱, 淸靜爲天下正.
(가을철에) 분주히 준비한 뒤에야, (겨울철의) 추위를 이길 수 있으며, (여름철에) 고요히 일부러 일삼지 않음으로써 더위를 이길 수 있다. 이로써 미루어 보건대, (통치자가) 맑고 고요하면, 천하가 바르게 된다.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지 않아서) 고요하면, 백성物이 (그) 참됨眞을 온전히 실현하게 된다全.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아서) 분주하면, 백성이 (그) 본성性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오직 맑고 고요함으로써 이내 앞서 말한 것과 같은 “큼大”들을 얻게 되는 것이다(躁罷, 然後勝寒, 靜無爲以勝熱. 以此推之, 則淸靜, 爲天下正也. 靜, 則全物之眞. 躁, 則犯物之性. 故惟淸靜, 乃得如上諸大也).
【해 설】
노자가 말한 “淸靜”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비유한다.
왕필주 “靜, 則全物之眞”의 眞과 “躁, 則犯物之性”의 性은 “因自然, 而成器의 自然을 의미한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47장 왕필주 "문 밖에 나가보지 않더라도 천하를 알 수 있다" (0) | 2017.12.19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8장 왕필주 "천하게 도가 있으면, 달리던 말을 세워서 거름을 주는 데 부린다" (0) | 2017.12.18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4장 왕필주 "명예와 자신 중에서 어느 것이 더 가까이해야할 바인가?" (0) | 2017.12.1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3장 왕필주 "천하에서 가장 부드러운 것이 천하에서 가장 딱딱한 것을 부린다" (0) | 2017.12.1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2장 왕필주 "도는 하나와 함께 살고, 하나는 둘과 함께 살며, 둘은 셋과 함께 살고, 셋은 만물과 함께 산다" (0) | 2017.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