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현영 (19)
독립출판 무간
10. 재영載營 載營章所以次前者, 前章略顯驕矜之過, 謙退之德, 其於修習法門, 猶自未具. 故次一章, 卽廣明內外兩行, 次第功能. 就次一章, 義分三別. 第一, 明拘魂制魄, 守一內修. 第二, 廣顯治國利他之行. 第三, 結歎達道忘功之美. 재영載營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일부러 일삼아) 자랑하고 우쭐함의 허물됨과 겸손하게 물러남의 덕스러움德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그것을 닦거나 익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 장) 다음(에 놓인 장인 이) 한 장은 (덕스러움德으로서의) ‘안’과 (그것을 닦거나 익힘으로서의) ‘밖’이 모두 (함께) 일삼아져야 함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 다음, (‘안’과 ‘밖’이 모두 함께 일삼아진 모습으로서의) 빼어남과 능함에 대해 ..
07. 천지장구天地長久 天地長久章所以次前者, 前章明虛玄至道, 能安立二儀. 故次此章, 卽託於二儀而爲修習之法. 就此章內, 文有三重. 第一, 正擧二儀, 假設問答. 第二, 略顯聖智修營之能. 第三, 結歎聖人獨成尊貴. 천지장구天地長久 장이 앞 장의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텅 빔과 어렴풋함이 끝점에 다다른 도道는 2가지 모습(儀; 하늘과 땅)을 생겨나게 하고安 자라나게立 할 수 있음에 대해 설명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장이 앞 장의 다음에 놓이게 되었는데, 따라서 (이 장은 하늘과 땅인) 2가지 모습, 그리고 (그것이 일삼는 모습처럼) 일삼으며 (그것이 일삼는 모습을) 알아차리고 느끼며修 (배우고) 익히는習 방법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장은 3개의 문단으로 나뉜다. 첫 번째 문단..
06. 곡신谷神 谷神章所以次前者, 前章正明多聞博識, 不如守中. 故次此章, 明只爲守中, 故得谷神不死. 就此章中, 義分兩別. 第一, 顯虛玄至道, 能生立二儀. 第二, 明不斷不常, 而用無勞倦. 곡신谷神 장이 앞 장의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일부러 일삼아) 익히고 배우는 바를 많아지게 하는 일은 ‘중中’을 지키는 일만 같지 못함”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 장의) 다음에 이 장이 놓이게 되었는데, (따라서 이 장은) “‘중中’을 지킴”을 일삼게 되면爲, “계곡의 신령스러운 바”와 “살고 죽는 일에 허덕이지 않게 되는 바”를 알아차리게 되고 느끼게 됨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장은 2개의 문단으로 나뉜다. 첫 번째 문단,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텅 빔과 어렴풋함이 끝점에 다다른 도..
04. 도충道冲 道冲章所以次前者, 前章旣令忘智會道, 妙體一中. 故次此章, 卽明至道以中爲用. 就此一章, 義開四別. 第一, 明雖復以中爲用, 應須遣中. 第二, 顯聖智虛凝, 爲物宗匠. 第三, 示韜光晦迹, 俯應下凡. 第四, 結歎聖人超於萬象之首. 도충道冲 장이 앞 장의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일부러 일삼아 나누고 가르는) 앎智을 잊고 도道와 조화되라, (다시 말해) 어렴풋한 본체體 (곧) 중(中;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있음’에도 집착하지 않고,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음’이라는 이름에도 집착하지 않는 모습)과 하나되라”고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장을 (앞 장의) 다음에 놓았는데, (일삼음에 있어서) 도道(의 끝점)에 다다름至이 ‘중中’으로써 일삼음用임을 설명하기 위해서이다. 이 장은 네 ..
03. 불상현不尙賢 就此一章, 分爲三別. 第一, 汎擧三不以戒行人. 第二, 獨顯聖人虛懷利物. 第三, 重勅學人令忘知會道. 이 장은 세 문단으로 나뉜다. 첫 번째 문단, (도道를) 실천하는 사람들이 경계해야 할 3가지에 대해 설명한다. 두 번째 문단, (마음에) 품은 (일삼고자 하는) 바를 텅 비움으로써 천하를 이롭게 하는 성인에 대해 설명한다. 세 번째 문단, (도道를) 배우는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은 앎知을 잊어버림으로써 도道와 조화되어야 함會을 설명한다. 第一, 汎擧三不以戒行人. 첫 번째 문단, (도道를) 실천하는 사람들이 경계해야 할 3가지에 대해 설명한다. 不尙賢, 使民不爭. (도道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남보다) 잘하는 바를 귀하게 여기거나 대하지 말아야 하는데, (세간의) 사람들이 다투지 않게 하기 위..
02. 천하개지天下皆知 天下皆之章, 卽是第二大段, 第一章, 廣明道法. 此章所以次前者, 前章明有無二觀, 麄妙不同. 故次此章, 卽顯無爲之能, 有爲之弊. 就此章中, 義分爲兩. 第一, 明凡情, 執滯, 顚倒, 生迷. 第二, 顯聖智, 虛凝, 忘功, 濟物. 천하개지 장은 (상권을 크게 나눈 세 단락 중) 두 번째 큰 단락의 첫 번째 장으로서, 도道의 실현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장이 앞 장의 다음에 놓인 까닭은 (자연 곧 도道 곧 만물의 본성 곧 리理 곧 교敎를 실천하는) “유욕有”과 “무욕無”의 2가지 방법觀과 (그) 차이不同에 대한 앞 장의 설명이 거칠고 어렴풋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 장의) 다음에 놓인 이 장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의 효능能과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의 병폐弊에 대해 설명한다. (요컨대)..
01. 도가도道可道 道可道章, 卽是第一大段, 標道宗致. 就此章中, 又開四別. 第一, 略標理敎. 第二, 汎明本迹. 第三, 顯二觀不同. 第四, 會重玄之致. 도가도道可道 장은 (상권을 크게 나눈 세 단락 중) 첫 번째 큰 단락으로 도道에 대해 개요하고 있다. 이 장은 다시 네 개의 문단으로 나뉜다. 첫 번째 문단은 (자연 곧 도道 곧 본성으로서의) 리理와 교敎에 대해 설명한다. 두 번째 문단은 (도道의 자연한) 본체本와 작용迹에 대해 설명한다. 세 번째 문단은 (자연 곧 도道 곧 본성 곧 리理 곧 교敎를 실현하는) 2가지 방법의 차이를 설명한다. 네 번째 문단은 다시 한번 거듭 어렴풋할 것을 강조한다. 第一, 略標理敎. 첫 번째 문단, (자연 곧 도道 곧 본성으로서의) 리理와 교敎에 대해 설명한다. 道可道, ..
게으른 탓이다! 아직, '시작'을 하지 못했다. 이제, '노자의소'를 번역할 수 있겠다. '바탕'을 쌓고 싶어, 도교에 대한 책을 읽었다. 부족하겠지만, 그래도 나름 인식은 생긴 듯하다. 직하학 - 황로학, 우화등선-장생불사, 중현학-불체와 상견 '집중'하는 강도와 빈도를 높여 볼 생각이다! 그러나 차근히... 나 스스로 기대가 된다. 어떻게, 얼마나, 나 자신이 성장할 수 있을지...
2018... 나 스스로 '행복'한 일을 찾은 해. 노자, 그리고 도덕경과 다시 만났다. 왕필, 감산, 이충익, 임희일... 그렇게 4명의 주석가를 만났다. 생각해 보면, 매번 희열을 맛봤던 것 같다. 다시, 또, 성현영을 만나려고 한다. 안다... 지금의 내가 부족하다는 것을. 하지만, 과정에서 '행복'해 할 내가 기대되기에 설렌다. 2021... 새 책을 번역하며, 충만된 시간을 보낼 수 있길, 성장할 수 있길 기원한다! 노자의소... 중국 당나라시대 성현영이 주석한 책이다. 최진석/정지욱이 풀이한 책을 참조할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