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을 (38)
독립출판 무간

충남도의회 마을교육공동체 생태계 조성 정책 연구모임 발족 충남도의회는 마을교육공동체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연구모임을 발족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모임 대표는 김명숙(청양·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맡았다. 모임은 학교와 마을 구성원 등 지역사회가 교육의 주체로 참여하고, 다양한 방식의 교육을 통해 지역 인재가 충남의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으로 성장할 방안을 연구하게 된다. 발족식에서 충남연구원 전지훈 연구원은 "교육공동체의 구성 요인은 학교 공동체(학교), 사회적 배움공동체(지역사회), 교육자치공동체(공적영역)로 구분된다"며 "이들의 유기적인 상호작용과 협력·연대가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다현 공주시청년센터장은 "지자체와 교육지원청의 협력 관계는 아직도 요원하며 마을은 학교를..

11만명이 이 블로그를 다녀갔다... 몇 년이 되었는지, 몇 일이 되었는지 모르겠다... 음... 나는 지금까지 무엇을 이야기했을까? 곰곰히 되돌아봐야겠다! 지금까지 함께 해 주신 분들께 감사하다!
시골 마을이 하나 둘씩 자취를 감추고 있다! 도시로의 인구 이동과 저출산 및 고령화의 늪에 빠진 우리의 시골 마을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다. 한 통계자료를 보면, 2000년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7% 이상)에 들어선 우리나라는, 올해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14% 이..
어제 저녁... 바람이 세차게 불었다. '내일, 행사가 되려나?' 비까지 왔다...! 아침이 되니까, 언제 그랬냐 싶게 맑았다. 그래... '되겠구나' 싶었다. 그렇게... "산내가을한마당"이 시작되었다. "추수감사제" 의식이 있었고, 다같이 점심을 나눠 먹었고, 오후에 "살래장"이 열렸다. 사람이 적으..
생태마을 공동체 풀뿌리는 살아있다! 충북 보은군 마로면 기대리 선애빌마을에서 지난 16~17일 독특한 잔치가 펼쳐졌다. ‘2017년 한국생태마을공동체 네트워크회의 & 잔치’였다. 전국에서 공동체로 살아가고 있거나 기존 마을을 생태마을로 전환하는 운동을 하는 사람들, 공동체적 삶을 ..
누구나 아는 뻔한 거짓말을 들라면, 흔히 '노인 일찍 죽겠다'는 말, '처녀 시집 안 가겠다'는 말, '장사꾼 밑지고 판다'는 말, 이 셋을 꼽는다.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사람이 판치는 세상이 바로 상품 경제 사회, 이른바 자본주의 사회다. 참과 거짓말을 나누는 기준은 간단하다. '있는 것..
참조하세요! 산내면사무소_2015_마을 세대수 및 인구수.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