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34. 큰 도는 저절로 그러하게 흘러넘친다! 본문
汎兮! 其, 可左右. 無所係著也. 物物, 皆道之所生. 何嘗辭之? 旣生矣. 何嘗居之, 以爲功?
(“큰 도道”는) “흘러넘친다(汎; 움직인다·일삼는다).” (그런데 “큰 도道”의 “흘러넘침”) “그것은 왼쪽으로도 하고, 오른쪽으로도 간다.” (다시 말해, “큰 도道”의 “흘러넘침”은 “왼쪽”이나 “오른쪽”을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係; 分) 가르는(著; 別) 바가 없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큰 도道”는 ‘저절로 그러하게’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흘러넘친다”는 뜻이다) (따라서) “만물(萬物; 物物)”, (그것은) 무릇 (“큰”) “도道”가 (저절로 그러하게) “낳은” 바이다. (그런데 “큰 도道”가) 어찌 무릇 (자신이 “만물”을 “낳았음”)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말하겠는가”? 무릇, (“만물”은 저절로 그러하게) “생겨나는 바”이다. (그런데 “큰 도道”가) 어찌 (무릇 “만물”을 “낳는” 위상位相) 그것에 (일부러 일삼아) “자리하고居”, 그렇게 함으로써 (“만물”을 “낳음”,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자신의) “공功”으로 삼겠는가?
衣被. 蒙賴也. 萬物, 皆蒙賴. 其, 利. 而道, 何嘗有主宰之心? 湛然而無所欲. 可謂之自小矣. 道, 雖小. 而萬物歸之以爲主. 道, 亦不自知. 豈不謂之大乎? 惟其能小, 所以能大. 聖人之所以不爲大者. 此, 卽守其雌, 爲天下谿之矣.
(“큰 도道”는 “만물”을 ‘저절로 그러하게’) “입혀주고衣, 덮어준다被.” (다시 말해, “큰 도道”는 “만물”을 ‘저절로 그러하게’) 키워주고蒙 길러준다賴. (다시 말해) “만물”은 무릇 (‘저절로 그러하게’) 크고蒙 자란다賴. (다시 말해, “큰 도道”) 그것은 (“만물”을 ‘저절로 그러하게’) 이롭게 한다利. 그런데 (“큰”) “도道”가 어찌 무릇 (“만물”의 큼이나 자람의) “근원이 되거나主” 근본이 되고자宰 하는 마음을 (일부러 일삼아) 가지겠는가? (“큰 도道”는 “만물”의 큼이나 자람의 “근원이 됨”이나 근본이 됨에 대해 마음이) 고요하고 조용하다湛然. 다시 말해, (“큰 도道”는 “만물”의 큼이나 자람의 “근원이 됨”이나 근본이 됨에 대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欲 바(所; 마음)가 없다. (따라서 “큰 도道”) 그것을 ‘스스로(自; 일부러 일삼아)’ (자신의 위상을) “작게 하는 바”라고 일컬을 수 있다. (따라서 “큰”) “도道”는 무릇 (그 위상이) “작다小.” 그런데 “만물”이 (“큰 도道”) 그것에게 “돌아감”으로써 (그것을) “근원主”(이나 근본)으로 삼는다. 그런데 (“큰”) “도道”는 무릇 ‘스스로(自; 일부러 일삼아) (자신이 “근원”이 되거나 근본이 됨을) “알아차리지 않는다.” (따라서) 어찌 (그 위상) 그것을 “크다大”라고 일컫지 않겠는가? 무릇, 그 (‘스스로自’) “작게 됨小”, (‘저절로自’) “크게 됨大”의 까닭. (이것이) “성인”이 “큼”이 되지 않는 까닭이다. (비유컨대) 이것은 무릇 (28장이 일컬은) “그 암컷됨을 지키고”. “천하의 시내가 된다”는 뜻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36장. 일부러 일삼아 구부리면, 반드시 진실로 펴지게 된다. (0) | 2020.05.22 |
---|---|
노자권재구의 35. 임금이 큰 형상을 따르고 일삼으면, 천하가 큰 형상을 따르고 일삼게 된다. (0) | 2020.05.14 |
노자권재구의 33. 다른 사람을 말미암아 아는 사람, 일부러 일삼아 지헤로운 사람 (0) | 2020.04.30 |
노자권재구의 32장. 도는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하다 (0) | 2020.04.26 |
노자권재구의 31. "무릇, 군대를 일부러 일삼는 일을 아름답게 여기는 사람" (0) | 2020.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