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33. 다른 사람을 말미암아 아는 사람, 일부러 일삼아 지헤로운 사람 본문
智, 私智也. 明, 在內者也. 有力, 角力於外者也. 强, 在內之果也.
(“知人者, 智.”의) “智”, 일부러 일삼은 바가 ‘있는私’ “지혜로움.” (다시 말해, 자기 바깥에 자리하는 바things·event를 기준으로 삼은 “앎知”) (“自知者, 明.”의) “明”, (자기) 안에 자리하는 바(者; 自然)를 기준으로 삼은 “지혜로움”). (다시 말해, 일부러 일삼은 바가 ‘없는’ “앎”) (“勝人者, 有力.”의) “有力”, (자기) 바깥(에 자리하는) 바者에 대해 (일부러 일삼아) “힘力”을 다툼角. (“自勝者, 强.”에서) “强”, (자기) 안에 자리하는 바(之; 志)가 (키워지고) 길러짐(果; 育: 30장 권재주鬳齋註).
自勝者, 强. 勝己之私. 謂之克也. 知足者, 富. 無不足. 則常有餘也.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自勝者, 强.” (무릇, 이것은) “자신의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 마음)를 (‘스스로’) ‘이겨야 한다’”(는 뜻이다). 무릇, 이것이 (공자孔子가 『논어論語』 「안연顏淵」에서 일컬은 “克己復禮”의) “克”(의 뜻)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知足者, 富.” (무릇, 이것은) “충만되지 못하는 바가 없게 된다”(는 뜻)이다. 무릇, (이것은) “언제 어디서나 남는 바를 가지게 된다”(는 뜻)이다.
志勝氣, 則其强也. 不弱. 得其所安. 則久. 而不變. 故曰: 不失其所者, 久. 孔子曰: 朝聞道, 夕死可矣. 死而不亡者, 壽. 亦此, 意也. 此一句, 非言語, 所可解. 自證, 自悟, 可也.
(자신의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이기”고자 하는) “의지志”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일삼고자 하는) 마음氣을 “이김”, 무릇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실천行”하고자 하는 “의지”) “그것”이 (키워지고 길러져) “강함强.” (따라서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한 “실천”이) 약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것이 안정되는 바를 얻게 된다. 따라서 (그것이) “오래 가게 된다久.” 따라서 (그것이 약해지는 바로)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비유컨대, ‘의지’) 그것이 말미암는 바(所; 自然)를 망가뜨리지 않는失 사람은 오래 살게 된다久.” 공자孔子는 (『논어論語』 「이인里仁」에서) 일컬었다. “아침에 도(道; 自然)를 깨치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可.” “死而不亡者, 壽.” 무릇, 이것이 (그것의) 뜻이다. (“不失其所者, 久.”) 이 한 구절은 말言과 글語로써 이해할解 수 있(거나 그것으로써 깨달을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스스로 체험하거나證, 스스로 깨달음悟이 옳다可.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35. 임금이 큰 형상을 따르고 일삼으면, 천하가 큰 형상을 따르고 일삼게 된다. (0) | 2020.05.14 |
---|---|
노자권재구의 34. 큰 도는 저절로 그러하게 흘러넘친다! (0) | 2020.05.03 |
노자권재구의 32장. 도는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하다 (0) | 2020.04.26 |
노자권재구의 31. "무릇, 군대를 일부러 일삼는 일을 아름답게 여기는 사람" (0) | 2020.04.12 |
노자권재구의 30. "도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사람은 임금으로 하여금" (0) | 2020.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