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3. '뛰어남'으로써 임금의 위상을 높아지게 하지 않음, 백성을 다투지 않게 하는 바 본문
不尙賢 3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知者, 不敢爲也. 爲, 無爲, 則無不治.
‘뛰어남’으로써 (임금의 위상을) 높아지게 하지 않음, 백성을 다투지 않게 하는 바. ‘얻기 어려운 물건’으로써 (임금의 위상을) 귀해지게 하지 않음, 백성을 도둑질하지 않게 하는 바.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바를 보이지 않음, (백성의) 마음을 어지럽게 하지 않는 바. 그러므로 성인의 다스림, 그 마음이 (일부러 일삼아) 우러러 받들고 따르거나 애틋하게 여기고 그리워하는 바가 없게 함, 그 (무위·자연한 본성에 따라) 배를 채움, 그 의지가 (일부러 일삼아) 뒤쫓아 따라가거나 앞질러 나아가지 않게 함, 그 (무위·자연한 본성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움.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나 백성은 (‘뛰어남’이나 ‘얻기 어려운 물건’과 같은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바에 대해) 알고자 하거나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었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백성으로 하여금 그것에 대해 알고자 하게 하거나 일삼고자 하게 할 줄) 아는 (기지機智나 기교機巧의 마음을 가진) 사람이 (있더라도) 감히 (그러한 마음을 일으키거나) 일삼지 못했다. (모름지기 이것이 성인의) 다스림이고, (모름지기 이것이 성인의) 무위無爲(로써 다스림)이며, (모름지기 이것이 성인의 다스림이) 다스리지 못하는 바가 없는 까닭이다.
尙, 矜也. 我以賢爲矜尙, 則必起天下之爭. 禹惟不矜, 天下莫與汝爭能. 便是此意.
“尙”은 우쭐한다矜는 뜻이다. 임금(我; 치자治者)이 “뛰어남賢”으로써 우쭐한 채, (그 위상位相을) “높아지게 하면尙”, 반드시 (모름지기 그와 같이 되기 위한) 천하(天下; “백성民”)의 “다툼爭”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아주 먼 옛날) 우禹임금은 모름지기 (“뛰어남”으로써) 우쭐(한 채, 그 위상을 높아지게) 하지 않았는데, (따라서 모름지기) 천하가 그汝와 더불어 (그 위상을) “다투어” 내지能 못했다. 이것이 바로便 이 장이 전하고자 하는 뜻이다.
我以寶貨爲貴, 則人必皆有欲得之心, 其弊將至於爲盜.
임금이 값어치 있는寶 “물건貨”으로써 (그 위상을) “귀해지게 하면貴”, 사람들(人; “백성民”)이 반드시 모름지기 그것을 얻(음으로써 그와 같이 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는데, (따라서) 그 폐해(弊害; 弊)가 바야흐로 “도둑질盜을 일삼는爲” 데 이르게 된다.
此二句, 發下面可欲之意也. 人惟不見其所可欲, 則其心自定. 不見可欲, 使心不亂. 此八字最好.
이상此의 두 문장은 이하下面의 “(不見)可欲(, 使心不亂.)”의 뜻을 (밝혀서) 펼친다. 사람이 모름지기 그 (위상을 “높아지게 하거나” “귀해지게 할” 수 있는, “뛰어남”이나 “얻기 어려운 물건”과 같은,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바를 “알지見 못하면”, 그 마음이 저절로 담담하고 조용해진다(定; 寂然: 1장 권재주鬳齋註). “不見可欲, 使心不亂.” (나는 이 장에서) 이 여덟 글자가 가장 좋다.
虛其心, 無思慕也. 實其腹, 飽以食也. 弱其志, 不趍競也. 强其骨, 養其力也.
“虛其心”은 (일부러 일삼아) 우러러 받들고 따르는 바思나 애틋하게 여기고 그리워하는 바慕가 없게 한다는 뜻이다. “實其腹”은 (“그 배”를) 음식으로 가득 차게 한다는 뜻이다. “弱其志”는 (“그 의지”가 일부러 일삼아) 뒤쫓아 따라가거나趍 앞질러 나아가지競 않게 한다는 뜻이다. “强其骨”은 그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힘(力; 역량力量)을 키워준다는 뜻이다.
言太古聖人, 但使民飽於食, 而無他思慕, 力皆壯, 而無所趍競.
다시 말해,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모름지기 “백성”으로 하여금 (“그 배”가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에 따라) 가득 차게 먹게 했고, 따라서 (“그 마음”이)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에 어긋나거나 벗어난 채他, (일부러 일삼아) 우러러 받들고 따르거나 애틋하게 여기고 그리워하는 바가 없게 했으며, (그) 힘(力; “뼈骨”)이 (온전히) 자라나게壯 (함으로써, 그것에 따라 행위할 수 있게) 했고, 따라서 (“그 의지”가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본성에 어긋나거나 벗어난 채, “뛰어남”이나 “얻기 어려운 물건”과 같은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바”에 대해) 뒤쫓아 따라가거나 앞질러 나아가는 바가 없게 했다.
故其民純朴, 而無所知無所欲.
따라서 그 “백성”은 (“그 마음”씀에 있어서, 비유컨대 명주실처럼 어떠한 섞임도 없이) 소박했고(純; 素: 19장), (나무껍질처럼 어떠한 꾸밈도 없이) 투박했으며(朴; 樸: 19장), 따라서 (“그 의지”함에 있어서, “뛰어남”이나 “얻기 어려운 물건”과 같은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바”에 대해) 알고자 하는 바가 (조금도) 없었고, 일삼(아 그것을 뒤쫓아 따라가거나 앞질러 나아가)고자 하는 바가 (조금도) 없었다.
雖其間, 有機巧之心者, 所知雖萌於心, 而亦不敢有作爲也.
(따라서) 모름지기 그러한 (“백성”) 가운데, (그러한 “백성”으로 하여금, “뛰어남”이나 “얻기 어려운 물건”과 같은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바”에 대해 뒤쫓아 따라가게 하거나 앞질러 나아가게 할 줄 아는) 기지(機智; 機)나 기교(機巧; 巧)의 마음을 가진 사람, 모름지기 (그러한 “백성”의) 마음에 (그것에 대해 알고자 하는 바의) 싹을 틔울 줄萌 아는 (기지나 기교의) 마음을 가진 사람이 있더라도, 따라서 모름지기 “감히” (그러한 마음을) 일으키거나作 “일삼지 못했다.”
聖人之治天下也, 如此. 而聖人於世, 亦無所容心. 其爲治也, 皆以無爲爲之, 所以無不治也.
“성인”이 천하를 다스리는 모습은 이와 같았다. 따라서 “성인”이 천하를 다스리던 시대에는 모름지기 (“백성”이 “뛰어남”이나 “얻기 어려운 물건”과 같은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바”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마음이나, 그것을 뒤쫓아 따라가거나 앞질서 나아가고자 하는) 마음을 품는 바가 없었다. (모름지기) 이것이 (“성인”의) 다스림이고, 모름지기 (이것이) “무위無爲”로써 다스림이며, (모름지기 이것이 “성인”의 다스림이) “다스리지 못하는 바가 없는” 까닭이다.
不見可欲, 使心不亂. 言聖人之敎其民, 如此. 使者, 使其民也.
(덧붙여) “不見可欲, 使心不亂.” 말하자면, “성인”은 그 “백성”을 (일깨우고) 가르쳤는데, (그 일깨우고 가르친 바가) 이와 같았다. ‘使’는 그 “백성”이 그렇게 되도록 했다는 말이다.
不尙賢. 不貴難得之貨. 皆恐有以動其欲心也. 動其欲, 亦不止此二事. 但以二者, 言之耳.
(덧붙여)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이 두 문장은) 모두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欲 마음이 일어남動으로써, 생겨나게 되는 바를 걱정한 문장이다. 그(것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心; 마음)가 일어나면, 모름지기 (그에 따라 생겨나게 되는 바, “다툼”과 “도둑질”) 이 두 가지 사안事에 그치지 않는다. (그러나 노자는) 모름지기 (그) 두 가지 (사안으)로써, 그것을 (대별해) 일컬었을 따름이다.
老子憤末世之紛紛. 故思太古之無事. 其言未免太過. 所以不及吾聖人也.
(덧붙여) 노자는 말세末世이던 (당시) 세태(世態; 紛紛)를 비판했다憤. 따라서 아주 먼 옛날(太古; 하夏나라)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던 문화(無事; 무위無爲·자연自然)를 (자신의) 사상적 원류로 삼았다思. (그러나) 그 (내용은 아주 날카로웠지만, 그) 표현言은 크게 지나침을 벗어나지免 못했다. (이것이 노자가) 우리(유가儒家)의 “성인”(반열班列)에 오르지 못한 까닭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5장. "천지는 어질지 않다." (0) | 2019.10.12 |
---|---|
노자권재구의 4장 (0) | 2019.10.09 |
노자권재구의 2장. 무엇에 대해 어떻게 여기는 바가 있다 하더라도 마음이 그것에 고정되지 않아야 한다. (0) | 2019.10.05 |
노자권재구의 1장 (0) | 2019.10.04 |
노자권재구의발제 (0) | 2019.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