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1장 본문
道可道 1
道, 可道. 非常道. 名, 可名. 非常名. 無名, 天地之始. 有名, 萬物之母. 故常無, 欲以觀其妙. 常有, 欲以觀其徼.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도道’는 말해지거나 쓰여질 수 있다. (그러나 말해지거나 쓰여진 ‘도道’는 언제 어디서나 그 본질이) 변하거나 바뀌지 않는 ‘도道’가 아니다. (대상의) ‘이름名’은 붙여지거나 불려질 수 있다. (그러나 대상에 붙여지거나 불려진 ‘이름’은 언제 어디서나 그 본성이) 변하거나 바뀌지 않는 ‘대상名’이 아니다. (그) ‘이름’이 없는 바, 잠잠하고 조용한 마음. (그) ‘이름’이 있는 바, (요란하고 시끄러운 마음) 만물이 생겨난 시작점.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나 (그 ‘이름’이) 없는 바여야 하는데, 그 오묘함(妙; 자연自然)을 알아차리고 실천하고자 해야 한다.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나 (그 ‘이름’이) 있는 바이지만, 그 미묘함(徼; 무위無爲)을 알아차리고 실천하고자 해야 한다. (‘이름이 없는 바’와 ‘언제 어디서나 없는 바’) 이 둘은 나온 데를 같이하지만, ‘이름’을 달리하는데, 같이하는 (나온 데) 그것을 ‘어둑함(玄; 妙, 徼)’이라 일컫는다. 어둑하고 또 어둑하구나, 모든 오묘함(과 미묘함)이 나오는 문.
此章, 居一書之首. 一書之太旨, 皆具於此. 其意, 盖以爲道.
이 장은 이 책의 맨 앞에 자리한다. 이 책의 큰 뜻旨은 모두 여기에 들어 있다. 그 (큰) 뜻意은 모름지기 “도道”이다.
本不容言. 纔涉有言, 皆是第二義.
(그런데 “도道”는) 본래 (글자나) 말에 품어질容 수 없다. 재주纔가 뛰어나涉 (글자나) 말로 품어낸다有 할지라도, 모름지기 (글자나 말로 품어낸) 그것은 (제1의 뜻, 다시 말해 “도道”에 대한 지시指示로서 그 ‘자체體’가 아닌) 제2의 뜻義 (다시 말해 “도道”에 대한 상징象徵으로서 그 ‘이름用’)이 된다.
常者, 不變不易之謂也. 可道可名, 則有變有易. 不可道不可名, 則無變無易. 有仁義禮智之名, 則仁者, 不可以爲義. 禮者, 不可以爲智. 有春夏秋冬之名, 則春者, 不可以爲夏. 秋者, 不可以爲冬. 是則非常道, 非常名矣.
“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無爲, 다시 말해 저절로 그러한自然 본질體이 시간이나 공간이나 대상이 변하거나 바뀜에 따라 그 내용이나 정도나 범위가) 변하거나變 바뀌지易 않음(모습)을 일컫는다. (따라서) “(소리로) 말해지거나 (글자로) 쓰일 수 있는 바可道”, (따라서) “이름 붙이거나 이름 불릴 수 있는 바可名”란 곧 변함이 있는 바(有變; “非常道”), 바뀜이 있는 바(有易; “非常名”)이다. (따라서) ‘(소리로) 말해지거나 (글자로) 쓰일 수 없는 바(不可道; “常”으로서의 “道”)’, (따라서) ‘이름 붙이거나 이름 불릴 수 없는 바(不可名; “常”으로서의 “名”)’란 곧 변함이 없는 바(無變; 본질體로서의 “道”), 바뀜이 없는 바(無易; 본성體로서의 “名”)이다. (예를 들어)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이름(名; “可名”)이 일삼아지면有, ‘인仁’은 ‘의義’가 될 수 없고, ‘예禮’는 ‘지智’가 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저절로 그러한 ‘본성體’으로서 나누어지거나 갈라질 수 없는 ‘인仁’·‘의義’·‘예禮’·‘지智’가 일부러 일삼은 ‘이름用’으로서 나누어지고 갈라진다. 예를 들어)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이름(名; “可名”)이 일삼아지면有, ‘봄’은 ‘여름’이 될 수 없다. ‘가을’은 ‘겨울’이 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저절로 그러한 ‘기운體’으로서 나누어지거나 갈라질 수 없는 ‘봄’·‘여름’·‘가을’·‘겨울’이 일부러 일삼은 ‘이름用’으로서 나누어지고 갈라진다.) 따라서 (노자는 “道, 可道.”) “非常道.” (“名, 可名.”) “非常名.”이라는 것이다.
天地之始, 太極. 未分之時也. 其在人心, 則寂然不動之地. 太極未分, 則安有春夏秋冬之名? 寂然不動, 則安有仁義禮智之名? 故曰: 無名, 天地之始. 其謂之天地者, 非專言天地也. 所以爲此心之喩也.
“天地之始”는 (42장에서 일컬은 “하나一”로서, 비유컨대) ‘태극太極’(의 모습)이다. (다시 말해, 42장에 일컬은 “둘二”로서, 비유컨대 ‘음陰’과 ‘양陽’으로) 나누어지거나 갈라지지分 않은 모습(時; 始)이다. 그 (모습, 그)것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름으로써) 잠잠하고 조용하며寂然 (따라서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름으로써 일부러 일삼은) 움직임이 없는不動 사람의 마음의 모습地에 비유된다在. (따라서) 나누어지거나 갈라지지 않은 ‘태극太極’인데, (그 모습, 그것이) 어찌 ‘봄’·‘여름’·‘가을’·‘겨울’의 (나누어지고 갈라지는) ‘이름’을 가질 수 있겠는가? 잠잠하고 조용하며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움직임이 없는 (사람의 마음인)데, (그 모습, 그것이) 어찌 ‘인仁’·‘의義’·‘예禮’·‘지智’의 (야단스럽고 시끄러우며,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움직임이 있는) ‘이름名’을 가질 수 있겠는가? 따라서 (노자는) “無名, 天地之始.”라 일컬은 것이다. (다시 말해, 노자가) 일컬은 “天地”, 그것은 모름지기 (우리가 머리 위로 이고 있거나 발로 밟고 있는, 우리가 글자로 쓰거나 소리로) 말하는 (다시 말해, 우리가 감각하고 지각하며 의지하고 행위하는 사물things로서의) ‘천지天地’가 아니다. 그것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름으로써, 잠잠하고 조용하며, 따라서 저절로 그러한 본성에 따름으로써, 일부러 일삼은 움직임이 없는 사람의) 그러한 마음의 모습(心; event)을 비유한다喩.
旣有陰陽之名, 則千變萬化, 皆由此而出. 旣由仁義之名, 則千條萬端, 自此而始. 故曰: 有名, 萬物之母. 母者, 言自此而生也. 母者, 言自此而生也.
모름지기, (글자로 쓰이거나 소리로 말해지는 바로서) ‘음陰’과 ‘양陽’이라는 ‘이름’이 생겨나면有, 바야흐로 (그 ‘이름’, 그것이) 천千 가지로 변하(여 나누어지)게 되고變, 만萬 가지로 바뀌(어서 갈라지)게 되는데化, (그러한 결과用, 그것은) 모두 (이러한 원인體) 이것을 말미암고由, (이것을 말미암아) 생겨난다出. 모름지기, (글자로 쓰이거나 소리로 말해지는 바로서) ‘인仁’과 ‘의義’라는 ‘이름’이 생겨나면有, 바야흐로 (그 ‘이름’, 그것이) 천千 가지로 (변하여) 나누어지게 되고條, 만萬 가지로 (바뀌어) 갈라지게 되는데端, (그러한 결과用, 그것은 모두 이러한 원인體) 이것으로부터自 (말미암게 되고) 시작되게 된다始. 따라서 (노자는) “有名, 萬物之母.”라 일컬은 것이다. “母”는 말하자면 이것으로부터自 (말미암아졌고), 생겨났다生는 것이다.
常無常有兩句, 此老子敎人究竟處. 處人世之間, 件件是有. 誰知此有, 自無而始? 若以爲無則又有, 所謂莽莽蕩蕩, 招殃禍之事. 故學道者 常於無時, 就無上究竟, 則見其所以生有者之妙. 常於有時, 就有上究竟, 則見其自無而來之徼. 徼卽禮記所謂: 竅於山川之竅也. 言所自出也. 此兩欲字, 有深意. 欲者, 要也. 要如此究竟也.
“常無(, 欲以觀其妙.) 常有(, 欲以觀其徼.)” 두 문장, 이것은 노자가 “(이것을) 알아차리고究 실천하라竟”고 세상 사람들을 가르치는 바에 해당된다處. 사람들의 세상 사이에 해당되는 바處, 모두(件件; 常) 그 (‘이름’이) ‘있는 바(有; 常有)’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 그) 누가 그것이 (모두 ‘이름’이) ‘있는 바有’임(을 알아차리고 실천하며, 세상 사람들, 그 누가 그것이 모두 ‘이름’이) ‘없는 바(無; 常無)’로부터 말미암고, 생겨남始을 알아차리고 실천하는가知? (따라서) 만약, (노자의 가르침을) 가볍게 여기고無, (따라서) 또한 지나쳐 버린다면有, 이른 바 실상에 어긋나게 되고莽莽, (따라서 또한) 벗어나게 되며蕩蕩, (따라서) 재앙殃을 부르게 되고招, (따라서 또한) 화禍를 일삼게 된다事. 따라서 (노자가 일컬은) “도道”에 대해 배우는 사람은 (그 ‘이름’이) ‘없는 바無’와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데常 자리해야 하고時, (그 ‘이름’이) ‘없는 바無’에 나아가 (그것에 대해) 알아차리고 실천함을 (받들어) 높여야 하는데, 따라서 (그렇게 하는 사람은 그 ‘이름’이) ‘있는 바有’가 (되돌이켜야 하고) 되돌아가야生 하는 바인 그 “오묘함(妙; 무위無爲)”을 미루어 헤아리게 된다見. (따라서 노자가 일컬은 “도道”에 대해 배우는 사람은 그 ‘이름’이) ‘있는 바有’와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데 자리하지만, (그 ‘이름’이) ‘있는 바有’에 나아가 (그 ‘이름’이 없는 바, 그것에 대해) 알아차리고 실천함을 (받들어) 높여야 하는데, 따라서 (그 ‘이름’이) ‘없는 바無’로부터 말미암고自 생겨나는來 (바인) 그 “미묘함(徼; 자연自然)”을 미루어 헤아리게 된다. “徼”는 곧 『예기禮記』가 일컫는 바, “산 줄기나 물 줄기가 처음으로 시작되는 장소이다竅.” 말하자면, (산 줄기나 물 줄기, 그것이) 말미암고自 생겨나는出 바이다. 이 두 “欲” 자字(와 “欲” 자)는 깊은 뜻을 가진다. “欲”은 ‘요要’이다. ‘요要’는 ‘(이 두 “妙” 자와 “徼” 자의 뜻) 그것을 알아차리고 실천해야 한다’는 말과 (뜻이) 같다.
有與無, 雖爲兩者. 雖有異名, 其實同出. 能常無常有以觀之, 則皆謂之玄. 玄者, 造化之妙也. 以此而觀, 則老子之學, 何嘗專尙虛無? 若專主於無, 則不曰: 兩者, 同出矣?
(“無名, 天地之始. 有名, 萬物之母. 故常無, 欲以觀其妙. 常有, 欲以觀其徼.”에서) “有(有名, 常有)”와 “無(無名, 常無)”가 모름지기 두 번 나온다爲. (그런데) 모름지기 (“無名”에서의 ‘無’와 “常無”에서의 ‘無’는 그) “‘이름’을 달리할” 뿐, 그 실상(實; 의미)은 “나온 데出를 같이한다.” (“有名”과 “無名”의 체제에 따라) “常無(名)”와 “常有(名)”(의 체제)로써 (그 “같이하는 나온 데”를) 미루어 헤아리건대觀, 모름지기 아마도 이른 바 그것은 (‘이름’에 대한) “어둑함(玄; ‘이름’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음)”이다. (다시 말해) “어둑함玄”은 (“도道”의) 일삼음造과 움직임化의 “오묘함(妙; 무위無爲·자연自然)”(에 대한 상징)이다. 이것으로써 (저것을) 미루어 헤아리건대, 모름지기 노자의 가르침學이 어찌 무릇 오직 실상에 어긋나고 벗어나는虛 “無”를 (받들어) 높인 것이겠는가? 모름지기, (노자는) 오직 “無”에 대해 실상에 어긋나거나 벗어나지 않았는데主, 따라서 (노자는) 일컫지 않았는가? “(此)兩者, 同出(而異名).”
玄之又玄. 衆妙之門. 此卽莊子所謂: 有始也者. 有未始有始也者. 有未始有夫未始有始也者. 但贊言其妙而已. 初無別義. 若曰: 一層上又一層, 則非其本旨. 衆妙, 卽易所謂: 妙萬物者也. 門, 言其所自出也.
“玄之又玄. 衆妙之門.”(에서, ‘玄之又玄.’) 이것에 대해 『장자莊子』가 일컬은 바, “(그) ‘시작인 바’가 있다면, (그) ‘시작인 바’가 모름지기 아직 시작되지 않은 바가 있을 것이다. (그 ‘시작되는 바가 아직 시작되지 않은 바’가 있다면, 그) ‘시작인 바가 아직 시작되지 않은 바가 모름지기 아직 시작되지 않은 바’가 있을 것이다(「제물론齊物論」).” (이것은) 모름지기 그 (“어둑함玄”의) “오묘함(妙; event)”을 찬탄하고贊, 표현한言 것일 따름이다. (따라서 노자의 그것과) 본질적으로 의미가 차이나지 않는다. 만약, (『장자』가 ‘玄之又玄.’ 이것에 대해 사물things의 “오묘함妙”을 찬탄하고, 표현하듯, 예를 들어) “한 층만큼 높고 또 한 층만큼 높다”라고 일컬었다면, 그것은 (노자의) 본래 취지가 아닌 바가 되었을 것이다. ‘衆妙’는 모름지기 『역경易』이 일컫는 바, “(일부러 일삼지 않더라도 태어남과 동시에 저절로 그러하게 갖추게 되는 만물의 본성으로서, 만물을 무위無爲·자연自然하게 하는 바, 따라서) 만물을 오묘하게 하는 (바, “어둑함玄”, 그것을 찬탄하고, 표현한) 것이다(妙萬物而爲言者也: 「설괘전說卦傳」 제6장).” ‘門’은 말하자면 그 (‘衆妙’가) ‘말미암고 생겨나는 바’이다.
此章, 人多, 只就天地上說. 不知老子之意正要, 就心上理會. 如此兼看, 方得此書之全意.
이 장에 대해, 사람들 모두 모름지기 “천지天地”를 (받들고) 높이는 이야기로 알아차린다就. (다시 말해, 사람들 모두 모름지기 이 장이 이야기하는) 노자의 취지意, 근본正, 요체要가 (무위無爲·자연自然한) 마음을 높이고 받들어就, (그렇지 못한 마음을) 되돌이키고理 되돌리고자 하는 것會임을 알아차리지知 못한다. (따라서 이 책을 배우는 사람들 모두) 모름지기 이것을 더불어 미루어 헤아린다면看, 바야흐로 이 책이 이야기하는 (노자의) 취지(意; 正, 要)를 온전하게 알아차리고 실천하게 될 것이다得.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4장 (0) | 2019.10.09 |
---|---|
노자권재구의 3. '뛰어남'으로써 임금의 위상을 높아지게 하지 않음, 백성을 다투지 않게 하는 바 (0) | 2019.10.06 |
노자권재구의 2장. 무엇에 대해 어떻게 여기는 바가 있다 하더라도 마음이 그것에 고정되지 않아야 한다. (0) | 2019.10.05 |
노자권재구의발제 (0) | 2019.09.29 |
임희일, 노자권재구의, 논리들 (0) | 201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