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22장 본문

감산산책

도덕경 감산주 22장

독립출판 무간 2019. 3. 30. 20:44



22

 

 

曲則全. 枉則直. 窪則盈. 敝則新. 少則得. 多則惑. 是以聖人一爲天下式. 不自見故明. 不自是故彰. 不自伐故有功. 不自矜故長. 不爭, 故天下能與之爭. 古之所謂 曲則全, 豈虛言哉! 誠全而歸之.

참된 바를 말미암아 휘어지게 하면, 덕스러움이 온전해지게 된다. 상대를 말미암아 자신을 굽히면, 가 펼쳐지게 된다. 모든 물줄기가 모여드는 바인 가장 낮은 땅이 되면, 덕스러움이 채워지게 된다. 때 타거나 해진 옷을 빨거나 꿰매듯 하면, 가 새로워지게 된다.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줄이면, 를 알아차리고 실천하게 된다.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많으면, 를 어그러뜨리거나 망가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하나(; )를 알아차리고 실천함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도를 배우는 모범이 되는 것이다. (지혜로움이나 기교를 밖으로) 스스로 비치게 하거나 빛나게 하지 않는 사람은 밝아지게 된다.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스스로 반드시라거나 마땅히라고 여기거나 말하지 않는 사람은 덕스러움이 성하게 되거나 드러나게 된다.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자신의 공) 스스로 자랑하지 않는 사람은 () 을 잃어버리지 않게 된다.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자신의 재능을) 스스로 의지하지 않는 사람은 재능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무릇, 오직, 다투지 않는데, 그러므로 천하의 누구도 그와 더불어 다투지 못한다. (그러므로) “曲則全이라는 옛말이 어찌 빈말이겠는가!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 휘어지게 되면, 덕스러움) 진실로 온전해지게 되고, (수많은 덕스러움이 저절로 그러하게 모여들게 되며) 되돌아오게 된다.


此承前章言聖人所以道全德備衆美皆具者, 蓋由虛心體道, 與物無競, 故衆德交歸.


이 장은 앞 장을 잇는 장으로서, 이른 바, 성인은 도온전하게 갖추어져 있고, 덕스러움(온전하게) 갖추어져 있으며, (비유하면) 모든 아름다움(이미) 모두 (온전하게) 갖추어져 있는 사람으로서, 무릇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텅 빈 마음을 말미암고, (따라서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알아차리고 실천하며, (따라서) “만물과 더불어 (일부러 일삼아) 다투지 않는데”, 따라서 모든 덕스러움(저절로 그러하게) 모여들고, “되돌아오는까닭이 된다는 것이다.

 

, 委曲. 卽曲成萬物而不遺之意. 謂聖人委曲以御世, 無一事不盡其誠, 無一人不得其所. 譬如陽春發育萬物, 雖草芥毫芒, 春氣無不充足. 若纖毫不到, 則春氣不全. 聖人之於人, 無所不至. 苟不曲盡其誠, 則其德不全矣. 故曰: “曲則全.”

(“曲則全에서)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말미암아 휘어지게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만물萬物(의 저절로 그러함)을 말미암아 휘어지게 하고, 이루어지게 하지, (자신을 말미암아 그것을) 일부러 일삼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른 바, 성인은 (세상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 휘어지게 함으로써, 세상바로 잡는데, (따라서) 참됨(; 본성)이루지 못하는 어떤 사물도 없게 되고, 참된 바(; 본성의 명령)이루지 못하는 어떤 사람도 없게 된다. 비유하면, 따뜻한 봄날(의 기운)만물萬物펼쳐지게 하고 자라나게 하는 모습과 같은데, 보잘것없는 풀 한 포기, 털 한 오라기일지라도, () 봄날의 (따뜻한) 기운(; )이 충분하지 않게 함이 없다. 만약, (그 풀 한 포기) 털 한 오라기에까지 이르지 못한다면, () 봄날의 기운은 온전한것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성인의 세상 사람들에 대한 그것은 이르지 않는 데가 없다. (따라서) 진실로, (세상 사람들의 그 참된 바를) “말미암아 휘어지게 함으로써”, 참된 바를 이루게 하지 못한다면, 그 덕스러움온전한것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曲則全.”

 

枉則直, 屈己從人曰枉. , 伸也. 謂聖人道高德盛, 則大有徑庭, 不近人情. 若不屈己從人, 俯循萬物, 混世同波, 則人不信. 人不信, 則道不信. 由人屈而道伸. 故曰: “枉則直.”

枉則直에서, (저절로 그러한 바·본성·본성의 명령·참된 바에 따라서) 자신을 굽히고”, 상대말미암음, (그것을) 일컬어 이라 한다. “펼쳐진다는 뜻이다. 이른 바, 성인은 도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수준이 높고, (따라서) 덕스러움성하며, 따라서 (만물과 서로 어울리고 아우를 정도로 그 트임이) 큰데, (따라서 보통 사람들과) 크게 차이 남을 가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말미암는) 인정人情을 가까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약, (저절로 그러한 바·본성·본성의 명령·참된 바에 따라서) 자신을 굽히고”, 상대를 말미암지 않은 채, 만물萬物일부러 일삼아 굽히고 쫓아가며, (따라서) 세상을 어지럽힌 채, (그 어지러운 세상의) 일렁임같이하게 되면, 세상 사람들(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자신을) 미더워하지 않게 된다. 세상 사람들(를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자신을) 미더워하지 않게 되면, (자신이 알아차리고 실천하는) 가 미더워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대말미암아 (자신을) “굽히면”, (자신의)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枉則直.”

 

窪則盈, 衆水所聚, 地之最下者, 曰窪. 譬如江海最爲窪下, 故萬派皆歸. 而聖人之心至虛至下, 故衆德交歸, 德無不備. 故曰: “窪則盈.”

窪則盈에서, 모든 물줄기모여드는 , 가장 낮은 땅, (그것을) 일컬어 라 한다. 비유하면, 강과 바다는 모든 물줄기가 모여드는 바, 가장 낮은 땅”, (다시 말하면) 가장 아래가 되는데, 따라서 수많은물줄기모두 (저절로 그러하게 그것들에게로)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성인의 마음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텅 빔에 이르고, (가장) 아래에 이르는데, 따라서 모든 덕스러움(저절로 그러하게) 모여들게 되고, 되돌아오게 되며, (모든) 덕스러움(저절로 그러하게)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窪則盈.”

    

敝則新, 衣之汙損曰敝. 不敝, 則不浣濯, 不見其新. 以其敝乃新耳. 以譬聖人忘形去智, 日損其知見, 遠其物欲, 洗心退藏於密. 欲不敝, 則道不新. 故曰: “敝則新.”

敝則新에서, (비유하면) 옷의 때 탐이나 해짐, (그것을) 일컬어 라 한다. (만약, 옷이) “때가 타거나 해지지않게 되면, 빨려지거나 꿰매어지지 못하게 되는데, (따라서) 새로워진 모습을 살펴볼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때 탐이나 해짐으로써 이내 새로워지게 될따름이다. (이것은) 성인이 (일부러 일삼은) 형상(; )을 잊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을 멀리하는 일에 비유되는데, (불교의 표현을 빌리면, 성인은) 날로 그 (; 알아차림)’(; 헤아림)’을 해지게 하고, 그 바깥 사물과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멀어지게 하며, (그것들이 들어찬) 마음을 씻고, (그것들이) 들어차는 문에서 뒤로 물러나며退, (그것들이 들어차는 문을) 덮어 가린다(주역周易, 계사繫辭). (다시 말하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때 타거나 해지지않게 되면, (때 타거나 해진 옷이 빨려지거나 꿰매어지지 못하게 되듯이) 새로워지지못하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敝則新.”

 

 聖人忘知絶學, 專心於一, 故於道有得. 故曰: “少則得.”

성인은 를 잊어버리고, (일부러 일삼은) “배움을 멀리하며(19)”,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하나(; )에 대해서 마음을 온전하게 가지는데, 따라서 도에 대해서 알아차리고 실천함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少則得.”

 

世人多知多見, 於道轉失. 故曰: “多則惑.”

세상 사람들世人많이 가지고, ‘많이 가지는데, (따라서) 에 대해서 어그러뜨리고, 망가뜨린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多則惑.”

是以聖人因愍世人以多方喪道, 故抱一爲天下學道之式. , 法也.

그러므로 성인은따라서 세상 사람들世人모두多方 어그러뜨리고 망가뜨리게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데,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하나(; )알아차리고 실천함으로써, 세상 사람들天下이 도를 배우는 모범이 되는 것이다.” “모범이 된다는 말이다.

    

智巧炫耀於外曰見. 自見者不明, 故不自見乃爲明耳.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과 기교가 밖으로 비치게 되거나 빛나게 되는 일耀, (그것을) 일컬어 이라 한다. (따라서 그것들을) “스스로 (밖으로) 비치게 하고 빛나게 하는 사람은 밝아지지 못하는데”, 다시 말하면 (그것들을) 스스로 (밖으로) 비치게 하고 빛나게 하지 않는 일이 밝아지는 일일 따름이다.

 

執己爲必當曰是. 自是者不影, 故不自是乃影耳. 影者, 盛德顯於外也.

(상대가 아니라)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반드시라거나 마땅히라고 여기거나 말하는 일, (그것을) 일컬어 라 한다. (따라서) “스스로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반드시라거나 마땅히라고 여기거나 말하는 사람은 덕스러움을 성하게 하거나 (그것을) 드러나게 하지 못하는데”, 다시 말하면 스스로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반드시라거나 마땅히라고 여기거나 말하지 않는 일이 덕스러움이 성하게 되고, (그것이) 드러나게 하는 일일 따름이다. “은 밖으로 덕스러움성하게 하거나(; 실천), (그것을) 드러나게 한다(; 실천)는 뜻이다.

 

誇功, 曰伐. 自伐者無功, 故不自伐乃有功耳.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스스로 자신의) 자랑하는 일, (그것을) 일컬어 이라 한다. (따라서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스스로 (자신의) 을 자랑하는 사람은 () 을 잃어버리게 되는데”, 다시 말하면 스스로 공을 자랑하지 않는 일이 () 잃어버리지 않는 일일 따름이다.

 

司馬遷嘗謂: “韓信, 假令學道謙讓, 不伐其功, 不矜其能, 則庶幾於漢家勳, 可比周召太公之徒矣.” 意蓋出此. 恃己之能曰矜. , 才能也. 自矜者不長, 不自矜者乃長耳.

사마천司馬遷(BC.145~BC.85)은 일찍이 일컬었다. “한신韓信만약假令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를 배워서 겸손하게 물러나, (자신의) 자랑하지 않고, (자신의) 재능(스스로) 의지하지 않았다면, 나라 왕조(창건)에 있어서, (무왕武王을 도와 주나라 왕조王朝를 창건했던 주공(周公; ), 소공(召公; ), 태공(太公; 여상呂尙)의 무리에 비교될 수 있었을 것이다(사기史記, 열전列傳).” (노자) 뜻은 무릇 이것에서 생겨난다. (상대가 아니라 자신을 기준으로 삼은 채, 스스로) 자신의 재능을 의지하는 일, (그것을) 일컬어 이라 한다. “재능才能을 뜻한다. (따라서 상대가 아니라 자신을 기준을 삼은 채, 자신의 재능을) “스스로 의지하는 사람은 재능 있는 사람이 아닌데”, (다시 말하면, 그것을) 스스로 의지하지 않는 사람이 재능 있는 사람일 따름이다.

 

此上四不字, 皆不爭之德也. 惟聖人有之. 故曰: “夫惟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由其聖人委曲如此, 故萬德交歸, 衆美備具. 故引古語以證之曰: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誠全而歸之.”

이상의 네 문구의 모두 (일부러 일삼아) “다투지 않는덕스러움을 뜻한다. 오직, 성인만이 그것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자) 일컬은 것이다. “夫惟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그 성인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아 휘어지게 함委曲이 이와 같은데, 따라서 수많은 덕스러움(저절로 그러하게) 모여들게 되고, 되돌아오게 되며, 모든 아름다움(저절로 그러하게) 갖추어지게 된다備具. 따라서 (노자) 옛말을 인용해서 그것을 증명했는데, 이른 바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誠全而歸之이다.

 

해 설

한신韓信(미상~BC.196)은 회음현(淮陰縣; 지금의 강소성江蘇省 회안시淮安市 회음구淮陰區) 사람이다. 유방(劉邦; 재위BC.202~195)이 한나라를 세우고, 천하를 통일하도록 도와주었지만, 한나라가 세워진 이후, 유방에게 죽임을 당했다.

유방은 한나라 고조高祖로 즉위 후, 공신들을 각지의 제후왕으로 책봉했다. 한신은 제나라 왕에서 초나라 왕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유방은 막강한 군사력과 뛰어난 지략을 지닌 한신을 경계했다.

한신은 초나라 왕으로 책봉되어 임지로 떠난 지 9개월 만에 반란죄로 체포되었는데(BC.201), 한신이 반란을 꾀한다는 밀고密告가 들어오자, 유방은 대신들을 모아 놓고 의견을 물었다. 이에, 진평陳平은 한신의 군사력이 유방의 군사력보다 강하고, 한신이 뛰어난 장수이기 때문에, 그를 토벌할 수 없다고 진언했다. 따라서 운몽雲夢을 순시한 후, 한신의 영지領地 근처에서 제후들을 소집하여, 한신을 참석하게 한 후, 체포할 것을 조언했다. 결국, 반란죄는 입증되지 않았고, 한신은 목숨을 건졌지만, 회음후淮陰侯로 강등되었다.

그 후, 소하簫何가 한신을 찾아왔다(BC.196). 소하는 유방이 진희陳豨의 반란을 평정平定했으니, 입궁入宮하여, 여태후(呂太后; 여치呂雉)에게 축하의 인사를 올리라고 전했다. 소하의 말을 의심하지 않고 입궁한 한신은 곧 매복 중이던 무사들에게 포박되어 살해되었다.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24장  (0) 2019.04.13
도덕경 감산주 23장  (0) 2019.04.08
도덕경 감산주 21장  (0) 2019.01.03
도덕경 감산주 20장 (일부)  (0) 2018.12.28
도덕경 감산주 19장   (0) 2018.12.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