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13장 본문
13장
寵, 辱, 若驚. 貴, 大患, 若身. 何謂寵辱若驚? 寵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是謂寵辱若驚.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故貴以身爲天下, 則可寄於天下. 愛以身爲天下, 乃可托於天下.
(일부러 일삼은) 총애를 받게 되면, 욕됨을 당한 듯이, 놀라라. (일부러 일삼은) 귀해짐을 얻게 되면, 몸에 큰 근심거리를 가지게 된 듯이, 놀라라. “寵, 辱, 若驚”, 어째서 그런가? (일부러 일삼은) 총애 받음은 욕됨을 당하는 일이 되기 때문인데, (그러므로) 그것을 얻어도 놀란 듯이 하고, 그것을 잃어도 놀란 듯이 하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寵, 辱, 若驚”이라 일컬은 것이다. “貴, 大患, 若身”, 어째서 그런가? 내가 큰 근심거리를 가지게 되는 이유는, 내가 일부러 일삼는 몸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가 일부러 일삼는 몸을 가짐이 없음에 이르라. (그러므로) 어째서 내가 (큰) 근심거리를 가지게 되겠는가?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몸으로써 천하를 (저절로 그러하게) 귀해지게 할 수 있다면, 천하(가 받들고 높이는 자리)에 대해서 맡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몸으로써 천하를 (저절로 그러하게) 아낄 수 있다면, 천하(의 저울추 역할)에 대해서 맡길 수 있는 것이다.
此言名利之大害, 敎人重道忘身以袪累也.
이 장은 (일부러 일삼은) 이름名과 이로움利의 큰 해로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다시 말하면) 사람들에게 (그것들이 아니라,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는) 도道를 중요하게 여기는 일重에 소매를 걷어 붙이고袪, (그것들을 일부러 일삼는 그) “몸”을 잊어버리는 일忘에 소매를 올려 묶으라累고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寵辱若驚者, 望外之榮曰: “寵.” 謂世人皆以寵爲榮, 卻不知寵乃是辱. 以其若驚. 驚, 心不安貌.
“寵, 辱, 若驚”에서, (일부러 일삼아 세상 사람들에게) 우러러지고望 드러나게 되는外 영화로움榮을 일컬어 “총애 받음寵”이라 한다. (그런데) 이른 바, 세상 사람들은 모두 (그) “총애 받음”을 영화롭게榮 여긴 채, 오히려卻 (그) “총애 받음”이 이내 “욕됨을 당하는 일辱”이 되는 줄 알지 못한다. 따라서 (“총애를 받으면”, 욕됨을 당한) “듯이 놀라라”는 것이다. “驚”은 마음이 편안하지 못한 모습이다.
貴大患若身者, 崇高之位曰: “貴”, 卽君相之位. 謂世人皆以貴爲樂, 卻不知貴乃大患之若身. 以身喩貴, 謂身爲苦本, 貴爲禍根, 言必不可免也.
“貴, 大患, 若身”에서, (일부러 일삼아 세상 사람들에게) 받들어지고崇 높여지는高 지위에 오르는 일位를 일컬어 “귀해짐貴”이라고 하는데, 바로 임금君이나 재상相의 지위에 오르는 일(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른 바, 세상 사람들은 모두 (그) “귀해짐”을 즐겁게 여긴 채, 오히려 (그) “귀해짐”이 이내 “큰 큰심거리”가 되어之 (그) “몸身”과 같이 하게 됨若을 알지 못한다. (그) “귀해짐”이 “큰 근심거리”가 되어 (그) “몸”과 “같이 하게 된다”는 비유는, 이른 바 (그) “몸”이 (불교에서 말하는) ‘고苦’의 근본本이 되고, (그) “귀해짐”이 ‘화禍’의 근원根이 된다는 뜻인데, 말하자면, (그 “귀해짐”을 즐겁게 여기게 되면, 그 “몸”이 그것을 일부러 일삼게 됨으로써) 끝끝내 (‘고苦’와 ‘화禍’를) 면하지 못하게 된다는 뜻이다.
此二句立定, 向下謂而釋之曰: “何謂寵是辱之若驚耶.”
위와 같은 두 문장이 자리하고立定, 이어서向 (“何謂寵辱若驚?”라고) 일컬으며, (그) 아래에서 (그 이유) 그것에에 대해서 밝히고 있는데釋, “어째서 총애를 받으면, 욕됨을 당한 듯이, 놀라야 하는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寵爲下, 謂寵乃下賤之事耳. 譬如僻辛之人, 君愛之以爲寵也. 雖卮酒臠肉必賜之, 非此, 不見其爲寵. 及其賜也, 必叩頭而啖之. 將以爲寵. 彼無寵者, 則傲然而立.
“寵爲下”는 이른 바 (일부러 일삼아) “총애 받음寵”은 이내 비천해지는下賤 일일 따름이라는 뜻이다. 비유하면, (사실은, 그 임금이 내리는 형벌이) 무서워서辛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 그렇게 하)는僻 사람(일 뿐)인데, (그) 임금은 (그것을 알지 못한 채, 자신이 내리는 명령을 그대로 따르는 겉모습) 그것을 아낌愛으로써, (그 사람을) “총애하는” 경우와 같다. 모름지기雖, (그 임금은 다른 어떤 것도 아닌) 반드시 술을 채운 잔과 저민 고기를 그 사람에게 내리고賜, (또한 다른 어떤 것도 아닌 반드시) 그러한 경우가 아니면, 그 임금이 (그 사람을) “총애하는” 모습을 보지 못한다. (그 사람 또한) 그 임금이 (그것을) 내리는 경우에 있어서야, (다른 어떤 것도 아닌) 반드시 머리를 조아린 채, (그 술과 고기) 그것을 (마시고) 먹는다. 모름지기將, (그것이 그 임금이 그 사람을) “총애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그러한 방식으로) “총애 받을” 의사가 없는 사람은 (그 임금이 술을 채운 잔과 저민 고기를 내리더라도) 거만하게 (머리를 들고, 허리를 세운 채, 꼿꼿하게) 서 있는다.
以此較之, 雖寵實乃辱之甚也. 豈非下也? 故曰: “寵爲下.” 且而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也, 患失之. 是則競競得失於眉睫之間, 其心未嘗暫自安. 由此觀之, 何榮之有? 故曰: “得之若驚, 失之若驚.” 此其所以寵是辱也.
이것으로써 (『노자』가 뜻하고자 하는 바) 그것을 살피건대較, 모름지기雖 (그 임금이 그 사람에게 한) “총애”는 사실實 (그 사람을) 아주甚 “욕되게 하는” 일이다. (그런데) 어찌 (일부러 일삼아 “총애 받음”이 이내) “비천하게 되는 일下이 아니겠는가?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寵爲下.” 또한, ‘아직未’ (“총애 받음”) 그것을 얻지 못했다면, 그것을 얻기 위해서 “근심하게 된다.” ‘이미旣’ 그것을 얻었다면, 그것을 잃지 않기 위해서 “근심하게 된다.” 따라서 언제나眉睫之間 (그것을) 얻기 위해서 다투게 되고競, (그것을) 잃지 않기 위해서 싸우게 되는데競, (따라서) 그 마음이 잠시라도嘗暫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自 편안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을 말미암아 (『노자』가 뜻하고자 하는 바) 그것을 살피건대觀, (그런데) 어찌 영화로움榮이 있겠는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得之若驚, 失之若驚.” 이것이 (일부러 일삼은) “총애”가 “욕됨”이 되는 이유이다.
貴大患若身者, 是以身之患, 喩貴之患也. 然身, 乃衆患之本. 旣有此身, 則饑寒病苦, 死生大患, 衆苦皆歸, 必不可免. 故曰: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無身, 則無患矣. 故曰: “及吾無身, 吾有何患.”
“貴, 大患, 若身”, 이것은 (일부러 일삼는 그) “몸”이 “근심거리”가 된다는 뜻으로써, (일부러 일삼은 그) “귀해짐”이 “근심거리”가 됨을 비유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然, (일부러 일삼는 그) “몸”은 이내 모든 “근심거리”의 근본本이 된다. (불교의 표현을 빌리면) ‘이미旣’ 그 “몸”을 가졌기 때문에, 배고픔饑, 추위寒, 질병病, 고통苦, 죽음死 (등)의 “큰 근심거리”가 생겨나게 되고, 모든 ‘고苦’가 모두 (그것에게) 되돌아가게 되는데歸, (따라서) 끝끝내 (그러한 ‘고苦’를) 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따라서 나에게 그러한) “몸이 없게 된다면”, (나에게 또한 그러한) “근심거리”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일컬은 것이다. “及吾無身, 吾有何患.”
然位, 乃禍之基也. 旣有此位, 則是非交謫, 冰炭攻心, 衆毀齊至, 內則殘生傷性以滅身, 外則致寇招尤以取禍, 必不可逃. 故曰: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貴.” 無貴, 則無患矣. 故曰: “貴大患若身.”
다시 말하면然, (일부러 일삼은) 지위位는 이내 ‘화禍’의 근원基이 되는 것이다. (불교의 표현을 빌리면) ‘이미旣’ 그러한 지위를 가졌기 때문에, 옳음是과 그름非으로써 서로交 질책하게 되고謫, (차가운) 얼음冰과 (뜨거운) 숯불炭로써 (서로의) 마음을 공격하게 되며, 수많은衆 훼방질毀과 마름질齊로써 (서로를) 대하게至 되는데, 따라서 안으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삶의 의지生가 꺾이게 되고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본성性이 다치게 됨傷으로써,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몸”이 망가뜨려지게 되며滅, 따라서 밖으로 방해꾼寇이 불려들여짐招에 이르게 되고, 또한 (그러한) ‘화禍’를 당하게 됨取으로써, 끝끝내 (그러한 ‘화禍’에서) 벗어나지逃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유하여) 일컫건대, “내가 ‘큰 근심거리’를 가지게 되는 이유는 내가 일부러 일삼아爲 ‘귀해짐’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에게 그러한) “귀해짐”이 없게 되면, (또한 나에게 그러한) “근심거리”가 없게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貴, 大患, 若身.”
筆乘引王子搜, 非惡爲君也, 惡爲君之患也. 蓋言貴爲君人之患. 莊子曰: “千金重利, 卿相尊位也.” 子獨不見郊祀之犧牛乎. 養食之數歲, 衣以文繡, 以入太廟. 當是之時, 雖欲爲狐豚, 豈可得乎. 斯言貴爲卿相者之患.
초횡(焦竑, 1541~1620)의 『초씨필승焦氏筆乘』에 따르면, “왕자 수搜는 임금의 지위를 일삼는 것爲을 싫어했던 것이 아니라, 임금으로서의 근심거리를 일삼는 것爲을 싫어했던 것이다.” 무릇, 이른 바, (일부러 일삼아 임금으로서) “귀해지게 되면”, 임금의 지위를 가진 사람으로서의 “근심거리”를 일삼게 된다爲. (따라서) 『장자』는 일컬었는데, “천금千金은 (세상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는重 이로움利이고, 재상卿相은 (세상 사람들이) 높이 받드는 지위이다.” (그런데) 그대 혼자만獨 교사(郊祀; 천자天子가 천지天地에 지내는 제사)에 제물로 받쳐지는 소를 보지 못했단 말인가? 몇 해 동안 먹이고 길러서, 글과 그림을 수놓은 옷을 입혀서, 태묘太廟에 들여 보낸다. 그 때가 돼서야, (산과 들을 뛰어다니는) 여우나 (제물로 쓰이지 않는) 돼지가 되고자 한들, 어찌 그렇게 될 수 있겠는가? (『장자』, 「열어구列禦寇」) 이것이 이른 바 (일부러 일삼아) “귀해지고”, 재상의 지위를 일부러 일삼은爲 사람들의 “근심거리”이다.
老子言苟知身爲大患不可免. 則知貴爲大患, 亦不可免也. 然且世人不知貴爲大患, 返以爲榮. 愛身取貴, 以致終身之累.
『노자』는 (그 일부러 일삼는) “몸”이 “큰 근심거리”를 일삼고爲, (따라서 그 “몸”이 없게 되지 않으면, 그 “근심거리”를 끝끝내) 면하지 못하게 됨을 진실로苟 알아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또한 그 일부러 일삼은) “귀해짐”이 “큰 근심거리”를 일삼으며爲, 또한 (따라서 그 “귀해짐”이 없게 되지 않으면, 그 “근심거리”를 끝끝내) 면하지 못하게 됨을 (진실로) 알아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그) “귀해짐”이 “큰 근심거리”를 일삼는다는 것을 알지 못한 채, (그 “귀해짐”으로) 되돌아감返을 영화로움榮으로 여긴다. (그) “몸”을 아낀 채, (그) “귀해짐”을 취하는데取,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저절로 그러한 그) “몸”이 다함에 이를 때까지 (그것에) 누(累; 害)를 끼치게 된다.
皆非有道之所爲也. 唯有道者, 不得已而臨蒞天下, 不以爲己顯. 雖處其位, 但思道濟蒼生, 不以爲其榮. 此則貴爲天下貴, 非一己之貴. 如此之人, 乃可寄之以天下之任.
(따라서 그것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바를 따르는) 도道를 (알고) 실천하는有 사람이 일삼는爲 바가 아닌 것이다. (따라서) 오직 도道를 (알고) 실천하는有 사람은 부득이하게 “천하”를 맡아서臨 다스리는데蒞, (그러한 때조차) 자신己을 드러나게顯 하지 않는다. 모름지기, 그 지위에 머물지만, 다만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도道를 헤아리고思 (그것에 따라서) 백성蒼生을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濟 뿐, 자신其을 영화롭게榮 하지 않는다. 이것은 곧 (자기 한 몸의) “귀해짐”이지만, “천하”의 “귀해짐”을 일삼는爲 일인데, (사사로이) 자기己 한 몸一의 “귀해짐”을 일삼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일삼을之 수 있는 사람은 이내 (“천하”) 그것을 “맡김”으로써, “천하”가 받들고 높이는 지위에 자리하게任 할 수 있는 것이다.
然有道者, 處崇高之位, 雖愛其身, 不是貪位慕祿以自保. 實所謂衛生存身以行道. 是則愛身, 乃爲天下愛其身, 非私愛一己之身. 如此之人, 乃可托以天下之權.
다시 말하면然, 도道를 (알고) 실천하는有 사람이 (세상 사람들이) 받들고 높이는 지위에 머무는 것은, 모름지기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저절로 그러한 백성의) “몸”을 “아끼기” 위해서이지, (그) 지위를 (일부러 일삼아) 구하거나, (그) 봉록을 (일부러 일삼아) 바람으로써, 일부러 일삼아自 (그것을)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다. 진실로, 이른 바, (그 저절로 그러한 백성의) 삶生을 보호하고衛, (그 저절로 그러한) “몸”을 보존함存으로써,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도道를 실천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자기 한) “몸”을 “아끼는” 일이지만, 이내 “천하”가 그 “몸”을 “아끼도록” 일삼는爲 일로서, 사사로이 자기 한 “몸”을 “아끼는” 일이 아니다. 이와 같이 일삼을之 수 있는 사람은 이내 (“천하” 그것을) 맡김으로써, “천하”의 저울추權가 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若以此爲君, 則無爲而治. 以此爲臣, 則功大名顯. 故道爲天下貴也. 故曰: “貴以身爲天下, 則可寄於天下. 愛以身爲天下, 乃可托於天下.”
만약, 그러한 사람이 임금이 된다면, 무위無爲할 것이고, (그것으로써) 다스릴 것이다. (만약) 그러한 사람이 신하가 된다면, (그) 공功이 크게 이루어지고, (그) 이름이 (크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道가 “천하”에서 “귀하게” 일삼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貴以身爲天下, 則可寄於天下. 愛以身爲天下, 乃可托於天下.”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벌번역 : 도덕경 감산주 15장 (일부) (0) | 2018.12.07 |
---|---|
도덕경 감산주 14장 (0) | 2018.12.01 |
도덕경 감산주 12장 (0) | 2018.11.25 |
도덕경 감산주 11장 (0) | 2018.11.23 |
초벌번역, "도덕경 감산주" 10장 (0) | 2018.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