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감산주 14장 본문
14장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 其上不曒, 其下不昧. 繩繩兮! 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 是謂惚恍.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도道) 그것은 살펴보더라도 (뚜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는데,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여 이夷라 일컫는다. 그것은 들어보더라도 알아차릴 수 없는데, 이름 지어 붙여 희希라 일컫는다. 그것은 만져보더라도 알아차릴 수 없는데, 이름 지어 붙여 미微라 일컫는다. (夷, 希, 微) 이 세 글자는 (일부러 일삼아) 따져질 수 없다는 뜻이다. (도道 그것은) 섞여서 하나로 된 바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그 위가 밝지도 않으며, 그 아래가 어둡지도 않다. (그것은) 이어지고 이어져서 끊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일 수 없다. (그것은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텅 빈) 실상物에 대해서 돌이키고, (그것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므로 실상이 없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모양 없는 모양이라 일컬으며, 물건 아닌 물건이라 일컫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슴푸레하고 어슴푸레하다惚恍라고 일컫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맞이하려고 해도, 그 머리를 알아차릴 수 없다. 그것은 따라가려고 해도, 그 꼬리를 알아차릴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은 이어지고 이어진다. 그러므로 성인은) 옛날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도道를 기준으로 삼음으로써, 지금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음을 바로 잡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옛날의 시작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을 알아차린 사람을) 도道를 잇는 벼리紀라 일컫는 것이다.
此言大道體虛, 超乎聲色名相思議之表, 聖人執此以禦世也.
이 장은 말한다. “(만물과 서로 어울리고 아우르는) 큰 도道의 본질體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빔虛인데, (따라서 도道는) 분별思議된 표상(表; symbol)인 (일부러 일삼은) ‘소리聲’·‘색깔色’·이름名·‘상相’에서 벗어나 있는데超,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옛날’의 도道) 그것을 ‘기준으로 삼음으로써’ (일부러 일삼음이 있는 ‘지금’의) 세상을 ‘바로 잡는’ 것이다.” (도道는 일부러 일삼은 ‘소리’·‘색깔’·이름·‘상相’에서 벗어나 있어서, 살펴보거나 들어보거나 만져보더라도, 그 실상을 알아차릴 수 없는 바이지만, ‘옛날’에 시작되어 지금에 이르기 까지, 이어지고 이어져서 끊어지지 않은 바이기 때문이다)
夷, 無色也. 故視之不可見. 希, 無聲也. 故聽之不可聞. 微, 無相也. 故搏之不可得. 搏, 取之也.
“夷”는 (12장에서 말하는 일부러 일삼은) ‘색깔’이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그것을 살펴보더라도” (뚜렷하게) 알아차릴見 수 없다는 것이다. “希”는 (12장에서 말하는 일부러 일삼은) ‘소리’가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그것을 들어보더라도” (뚜렷하게) 알아차릴聞 수 없다는 것이다. “微”는 (불교에서 말하는 일부러 일삼은) ‘상相’이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그것을 만져보더라도” (뚜렷하게) 알아차릴得 수 없다는 것이다. “搏”은 (밖에서) 만져 본 바(之; 감각)를 (안으로) 가져온다(取; 지각)는 뜻이다.
此三者, 雖有此名, 其實不可致詰. 致詰, 猶言思議.
(“夷·希·微”) “이 세 글자”는 비록 그렇게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여질 수는 있을지라도, 그 실상(實; 존재성)이 (일부러 일삼아) 따져질詰 수는 없다는 뜻이다. “致詰”은 (일부러 일삼아) 생각하여 헤아린다(思議; 분별)는 말과 같다.
由其道體混融而不可分, 故爲一.
도道의 본질體은 “뒤섞여서” 어우러진 바로서, (일부러 일삼아) 나누어질 수 없는데, (따라서 『노자』는 그러한 실상) 그것其을 말미암아 (일컬었는데), 따라서 “爲一”이다.
其上日月不足以增其明, 故不皦. 皦, 明也. 其下幽暗不能以昏其體, 故不昧.
“그 위”는 (어슴푸레하게 밝은데, 따라서) 해나 달이 그 밝음을 견주기增에는 부족한데, (따라서 『노자』는 그러한 실상 그것을 말미암아 일컬었는데) 따라서 “不皦”이다. “皦”는 (‘어둠’이 함께 하는) 밝음을 뜻한다. “그 아래”는 어슴푸레하게幽 어두운데, (따라서) 그 몸體을 가릴 수 있을 만큼 어둡지는 않은데, (따라서 『노자』는 그러한 실상 그것을 말미암아 일컬었는데), 따라서 “不昧”이다. (“昧”는 ‘밝음’이 함께 하는 어둠을 뜻한다)
繩繩, 猶綿綿不絶之意. 謂道體雖綿綿不絶, 其實不可名言.
“繩繩”은 이어지고 이어져서 끊어지지 않는다는 말意과 같다. 이른 바, 도道의 본질體은 모름지기 이어지고 이어져서 끊어지지 않는데, (따라서) 그러한 실상(實; 존재성)은 (일부러 일삼아) 이름 붙여지거나名 글자로 쓰여질言 수 없다.
畢竟至虛, 雖生而不有, 故復歸於無物. 杳冥之內, 而至精存焉, 故曰: “無狀之狀.” 恍惚之中, 而似有物焉, 故曰: “無象之象, 是謂惚恍.” 此正楞嚴所謂罔象虛無, 微細精想耳.
(도道는) 언제 어디서나畢竟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 텅 빔虛에 이르는데至, (따라서) 모름지기 (만물을) 생겨나게 하지만, (자신에게) 소유되게 하지 않는데, 다시 말하면故, (도道는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는無 (텅 빈) 실상(物; 작용성)에 대해서 돌이키고復, (그것으로) 되돌아간다歸. (따라서 비유하면) 어둡고杳 어둡지만冥, (그) 실상(存; 존재성)이 뚜렷하게 살펴져 가려짐精에 이르게 되는데,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無狀之狀.” (도道는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채 만물을 일삼기 때문에, 비유하면) 어슴푸레하게 밝고恍 어슴푸레하게 어두워서惚, (그것을 살펴보더라도 뚜렷이 알아차릴 수 없고, 들어보더라도 뚜렷이 알아차릴 수 없으며, 만져보더라도 뚜렷이 알아차릴 수 없는 것인데, 따라서 그것은) 실상(物; 존재성)을 가지는 것과 같은데,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無象之象, 是謂惚恍.” 이것이 바로正 『능엄경』이 일컫는 바, “(크게) 전체罔를 보면 모양象이 텅 비어서虛 (그것이 뚜렷하게 살펴져 가려짐이) 없지만無, 작게微 부분細을 보면 (그) 모양想이 뚜렷하게 살펴져 가려질精 따름이다.”
由其此體, 前觀無始, 故迎之不見其首, 後觀無終, 故隨之不見其後. 此乃古始之道也.
그러한此 (도道의) 본질體 그것其을 말미암(아 헤아리)건대, (따라서) ‘앞’에서 (그것을) 살펴보더라도觀 (그 알아차려지는) 시작始이 없는데, 다시 말하면故 “迎之不見其首”인 것이며, ‘뒤’에서 (그것을) 살펴보더라도觀 (그 알아차려지는) 끝트머리終가 없는데, 다시 말하면故 “隨之不見其後”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乃 “옛날에 시작되어” (이어지고 이어져서 끊어지지 않은) “도道”인 것이다.
上皆曆言大道之妙, 下言得道之人. 然聖人所以爲聖人者, 蓋執此妙道以禦世. 故曰: “執古之道, 以禦今之有.” 吾人有能知此古始之道者, 卽是道統所系也. 故曰: “能知古始, 是謂道紀.” 紀, 網紀. 謂統緖也.
이상(의 문장)은 모두 (만물과 서로 어울리고 아우르는) 큰 도道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이 텅 빈) 오묘함(妙; 본질)을 밝혀서 일컬은 것이고, 이하(의 문구)는 (그러한 큰) 도道를 (알고) 실천하는得 사람에 대해서 일컫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인이 성인이 되는 이유는, 무릇 그러한 오묘한 “도道를 기준으로 삼음으로써”, 세상을 “바로잡기” 때문인데,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執古之道, 以禦今之有.” 우리 중의 누가 “옛날에 시작된” 그러한 도道에 대한 알아차림知이 있다면, (그가) 바로 (이어지고 이어져서 끊어지지 않은) 도道를 이어주는系 벼리統가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은 것이다. “能知古始, 是謂道紀.” “紀”는 그물網의 벼리紀를 뜻한다. 이른 바, 단초統나 단서緖인 것이다.
'감산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감산주 16장 (0) | 2018.12.09 |
---|---|
초벌번역 : 도덕경 감산주 15장 (일부) (0) | 2018.12.07 |
도덕경 감산주 13장 (0) | 2018.11.28 |
도덕경 감산주 12장 (0) | 2018.11.25 |
도덕경 감산주 11장 (0) | 2018.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