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세시풍속과 우리음식 : 삼월 삼짇날, 봄소풍 가서 꽃전 붙여 먹자! 본문

먹는 이야기

세시풍속과 우리음식 : 삼월 삼짇날, 봄소풍 가서 꽃전 붙여 먹자!

독립출판 무간 2016. 8. 31. 07:13

꽃전 먹는 봄소품, 삼월 삼짇날(음력 3월 3일)

 

삼월 삼짇날은 봄기운이 약동하는 계절로 봄을 대표하는 명절입니다. 음력 3월이면 강남 갔던 제비도 돌아오고 나비도 나타납니다. 그래서 이 때쯤부터 사람들은 작년에 제비가 지어 놓은 제비집을 고쳐 주며 제비를 기다립니다.

 

또 야산에 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피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삼월 삼짇날엔느 지천으로 핀 진달래꽃이 음식 재료로 한몫을 합니다. 먼저 진달래 화전을 부쳐서 조상의 사당에 올렸습니다. 그런 뒤 여인들은 가까운 야산으로 소풍을 갑니다.

 

옛날 여인들은 거의 외출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꽃 피고 새 우는 좋은 계절을 즐기지 못한다면 너무 억울했을 겁니다. 그래서 이 날만큼은 여인들도 봄소품을 갔습니다. 이 봄소풍을 '화전놀이'라고 불렀습니다. 소풍 가서 화전을 부쳐 먹으며 놀았기때문이지요.

 

(DAUM 백과사전)

 

여인들은 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핀 시냇가에서 솥뚜껑이나 예날 프라이팬이라고 할 수 있는 번철을 돌 위에 걸쳐 놓고 진달래 화전을 부쳐 먹었습니다. 조선 시대의 시인 임제는 화전놀이 장면을 다음과 같이 시로 읊고 있습니다.

 

작은 시냇가에서 솥뚜껑을 돌에다 받쳐

흰 가루와 맑은 기름으로 진달래꽃 지지네

젓가락 집어들고 부쳐 놓은 떡 먹으니

향기가 입에 감돌아 일 년 봄빛을 뱃속에 전하네

 

이 시에서도 말하고 있듯이 화전은 찹쌀 반죽에 꽃을 섞거나 장식으로 꽃을 붙여 기름에 지져 먹는 것을 말합니다. 화전에는 진달래꽃만 넣는 것이 아니라 계절마다 좋은 꽃을 넣었습니다. 봄에는 분홍빛 진달래로, 여름에는 붉은 장미나 맨드라미로, 가을엔 노란 국화로 화전을 만들었습니다. 꽃이 없는 겨울에도 붉은 마른 대추와 까만 석이버섯을 오려 떡 위에 꽃처럼 붙인 화전을 만들었습니다. 꽃의 향과 꽃의 모양이 그대로 살아 있는 화전은 우리 조상들의 멋을 느낄 수 있는 음식입니다.

 

조선 말기에는 궁중에서도 화전놀이를 했습니다. 궁녀들은 창덕궁 후원(지금의 비원)의 옥류천에 나가서 진달레꽃을 따 화전을 부쳐 먹으며 놀았습니다. 임금님도 행차하셨다고 합니다. 또 나라에서 노인잔치를 열어 노인들도 봄기운을 한껏 즐기에 했답니다.

 

삼짇날에는 진달래 화전 외에도 붉은 오미자물에 꿀을 타서 진달래꽃을 동동 띄운 오미자 음료수를 마셨답니다.

 

(김아리 글 / 정수영 그림, 밥 힘으로 살아온 우리 민족)

Comments